나무랑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 나무꾼
살아 있는 나무(樹木)를 취급하면서 죽은 나무를 다루기(木手)도 한다. 수목을 이용해 공간을 디자인하는 설계사무소의 대표이자 업계 지인들 사이에선 목수로 통한다. 어쩌다 서울숲 마녀의 집을 만들고 난 뒤부터 비슷한 의뢰가 들어오기도 하고 뭔가 뚝딱 만들어 낼 거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공사 현장에 머물다 보면 무아지경의 쾌감을 주는 것이 있다. 하나는 잡돌들이 널부러져 있는 식재지를 아무 생각 없이 레기질해대는 것이고, 또 한 가지는 목재로 이것저것 만들고 즉석에서 상황에 대응하는 것이다. 식재하기 직전 부드러운 흙 표면이 정갈하게 정리된 모습에 기분이 좋아지고, 목재로 무엇인가를 망치질해대고 갈아내 매끈한 질감을 손으로 만졌을 때도 그렇다. 어쩌다 이렇게까지 나무로 무언가 만들길 좋아하게 되었을까. 성격 탓이다.
어떤 장소를 구상하면서 여러 가지 재질을 고민하다 보면 목재는 수목과 어우러지기에 가장 유연한 소재라고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교목의 수피와 같은 물성으로 있는 듯 없는 듯 자리할 수도 있고 때로는 존재감을 드러내게 할 수도 있다. 그럴 때조차도 어색하지 않다. 유연한 지속성이 오히려 매력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썩거나 파손되는 단점이 새 가변 거리로 느껴지기도 하고, 무엇보다 자연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면 마음이 편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지켜보는 걸 못 참는 성향, 나와봐
왜 나는 원형 톱으로 나무를 켜고 임팩트 드라이버로 박아대기 시작했을까. 다른 재료(예를 들면 석재나 철재)는 현장에서 마주했을 때 가공하거나 변형하기 쉽지 않다. 치밀하게 대비하는 심정으로 상세도를 그려 놓아도 걱정과 불안은 가시질 않는다.
반면 목재는 현장에서 예상이 좀 빗나가더라도 대응이 용이한 편이다. 그 자리에서 가공과 변형되는 모습을 보고 조정해 나갈 수 있다. 직접 수정을 가하기 좋다 보니 톱과 망치를 들게 된 게 아닐까. 거기에 더해 나는 다소 성격이 급하다. 직접 목공을 하게 된 결정적 계기는 (지금도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목수 팀 때문이다. C 사장, 그와 제주도에 스누피가든 호박하우스를 설치하러 간 적이 있다. 준비해간 도면 치수가 주변 비율과 맞질 않아 현장에서 조정하고 남은 목재를 이곳저곳에 활용했다. 한여름 무더운 날씨는 안 그래도 느긋한 C 사장 목수 팀을 더욱 느긋하게 해주었고, 이틀에 한 번 꼴로 쏟아지는 장대비는 내 마음을 초초하게 만들었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나도 옆에서 뭔가를 뚝딱거리고 있었다. 그렇게 지낸 횟수가 누적되다 보니 처음엔 내가 배우는 입장이었는데, 이젠 서로 지적하는 사이가 됐다. 필수적인 것들만 갖춰진 단출했던 공구함이 어느새 목공구로 가득 차 있는 모습을 보면 점점 자신감도 쌓여 간다.
* 환경과조경 433호(2024년 5월호) 수록본 일부
최윤석은 경희대학교에서 환경조경디자인을 전공했고, 2008년 그람디자인을 설립했다. 아이디어와 디자인에서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명쾌함을 추구한다. 2012년부터 활동을 시작한 정원사친구들(gardening friends)은 정원 문화와 관련한 다양한 작업을 통해 창의적이고 감성적인 장소 만들기를 추구하는 집단이다. 정원 문화 그리고 장소나 소재의 가치를 발견해 돋보이게 만드는 것에 관심이 많은 조경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