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이명준 (june2@hknu.ac.kr)
  • 환경과조경 2022년 11월

지난 『환경과조경』 지면(2019년 3월호)에서 광장의 정치성에 관해서는 충분히 논의했다. 여러 논객이 말했듯이 광화문광장 디자인을 정치라는 프레임으로 논의하는 것은 우리 조경가에게는 소모적이다. 광장의 탄생이, 그리고 그간 광화문광장의 쓰임새와 그에 따라 만들어진 상징이 결코 무정치적이었다고 할 수는 없지만, 광장의 정치성에 관한 논조가 민주주의의 본질과 광장의 기능의 관계와 같은 생산적인 내용이 아니라 특정 정파의 상대편을 공격하기 위한 정치 논리에 봉헌하는 메타포로 사용되는 현실이 아쉽다. 프랑스 정치철학자 자크 랑시에르가 진단하듯, 현재 민주주의의 위기는 우리의 목소리를 대표한다고 여겨진 대의제 시스템의 위기다. 그러므로 광장은 그러한 특정 정치 집단이나 권력의 소유물로서가 아니라 그간 소외되어온 수많은 주체의 목소리가 울릴 수 있는 무대로 기능하면 된다.


설계가의 역사학

새로운 광화문광장은 막 50년을 지나고 있는 한국 조경의 궤적에서 한국의 역사와 정체성의 공간화 방식으로 중요하게 논의할 만한 작품이다. 역사가가 유물, 유적, 문화재를 사료로 간주하고 원형의 보존에 관심을 가진다면, 설계가는 그 사료의 가치를 고려하고 창의적으로 활용해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가는 방안을 탐구한다. 설계가는 제도의 한계에 봉착하더라도 잔존하는 유적, 이제 사라졌지만 분명 존재했던 장소에 대한 대중의 기억을 다양한 방식으로 공간에 불러들인다. 어느 부지에나 역사는 누적되어 있기 마련이지만, 역사가 중심 문제로 제기되는 공모전의 출품작을 들여다보는 것은 무척 흥미롭다. 설계가가 역사를 공간화하는 여러 방식 중에는 현실 제도 아래에서 도저히 실현 불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창의적 아이디어는 우리가 역사를 새롭게 경험하고 대면하는 대안적 방법을 제공한다. 경직된 현실 제도에 균열을 일으켜 세상을 변화시킬 힘이 오히려 설계가의 상상적 역사학에 있다고 믿으며, 그런 미래를 상상하면 즐겁다.

 

설계가가 역사학을 풀어내는 방법은 다양하다. 누군가는 부지에 잔존하는 구조물이나 지층을 비롯해 역사를 간직한 물질을 이용해 방문객이 과거를 체험하게 한다. 잔존하는 물질이 역사적 가치가 높으면 원상태로 남기고, 상대적으로 가치가 덜하면 창의적으로 변형한다. 적당한 물질이 없을 경우 새로운 구조물과 시설을 만들어 장소가 지닌 상징성이나 대중이 지닌 집합 기억을 상기시키기도 한다. 역사를 공간에 물질화할 때 과거의 형상을 그대로 빌려오기도 하며, 단순한 형태로 추상화하거나 재해석하기도 한다. 눈에 잘 띄지는 않지만 역사적 상징, 옛 조경과 건축 설계의 원리나 구조를 빌려 부지의 얼개를 짜고 생태 시스템을 구축하기도 한다.

 

lmj01.jpg
한우드엔지니어링, 여의도광장 공원화 현상설계 당선작, 1996

 

한국의 정체성 공간화하기

조경가는 오래 전부터 한국의 정체성을 공간에 구현하는 방식을 탐구했다. 한국성을 늘 과거형으로만 다뤘던 건 아니지만 대체로 조경가는 그것을 역사에서 끄집어내고자 했다. 정체성은 고정된 실체라기보다 어떤 본질을 간직한 채 끊임없이 변화한다.1 어느덧 반세기를 넘어선 한국 조경에서 한국성의 내용과 이를 공간에 구축하는 방법도 부단히 달라졌다.

파리공원(1987)은 예술 작품으로 평가되는 한국 조경의 초기 작품 중 하나로, 한국성을 공간에 투영한 대표적인 작업이다. 대부분의 조경가는 태극무늬를 변형해 얻는 조형적 공간 구성과 패턴이 인상적이라고 상찬했지만, 전통 문양과 전통 정원 요소의 직설적 모방에 대해서는 못마땅하다는 시선이 제기되기도 했다.2

 

여의도공원(1999)은 조경 설계에서 전통을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 회의론을 불러일으켰다. ‘여의도광장 공원화 설계현상공모’(1996) 출품작들은 대체로 전통 사상을 구조와 기능으로 변역하지 않고 그 어휘를 공간을 단순히 분할하는 도구로 차용했다. 장소의 성격을 고려한 재해석 없이 전통 조경 시설을 늘어놓기에 급급했다.3 이후 전통에 대한 현대적 해석의 실험은 한동안 자취를 감추었다(물론 희원(1997)처럼 전통의 정수를 현대적으로 재현하는 좋은 작품은 만들어졌다). 전통 시설물의 외피를 두른 시설이 양산되어 전국 곳곳에 심겨졌지만 정작 우리의 옛 역사를 현대적 어휘로 번역하는 실험은 부족했다. 도리어 전통 요소를 뒤처진 것으로 치부하고터부시한 게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 조경가는 전통에 대해 우상파괴자(iconoclast)가 되는 대신 반-전통주의(anti-traditionalism)를 자처한 것 같다.

 

밀레니엄을 전후로 조경가들은 부지의 먼 역사가 아닌 근대 이후의 역사를 탐닉하기 시작했다. 학계는 지역성과 장소성,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탐구했고, 실무에서는 가동을 멈춘 산업 경관을 오픈스페이스로 전환하는 설계가 많아졌다. 폐허의 거친 물성은 조경가의 상상력을 자극했고, 이러한 근현대 산업 역사의 영웅화에 눌려 부지의 오랜 역사는 묻혔다. 현대 조경의 걸작으로 손꼽히는 선유도공원(2002)에서 조선시대의 기억을 환기시키는 선유정이 공원의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고전통을 직설적으로 흉내 낸 전통 시설물이라는 이유로 비평 대상이 되기도 했다.4

 

lmj02.jpg
선유도의 선유정 Ⓒ서울연구원

 

시간은 흘러 전통에 대한 우리의 생각도 진화했다. 대중의 취향이 변했다. 서울 한복판에서 스스럼없이 한복을 입고 활보하는 젊은이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조경 설계에서 전통을 다루는 새로운 감수성이 출현했다. 역설적이게도 외부인의 시선을 경유하여 전통의 디자인 요소로서의 가능성이 실험됐다. 외국인의 관점을 오리엔탈리스트의 약탈적 시선으로 낙인찍는 대신 그들에게 없는 한국만의 특성을 보는 하나의 시선으로 받아들일 자신감이 우리에게 생겼는지도 모르겠다.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2012) 당선작 ‘치유의 공원(Healing: The Future Park)’은 한국의 전통 사상을 관념적으로 다루지 않고 자유로운 형태 생성의 디자인 모티브로 이용했다. 일견 클리셰처럼 다룰 가능성이 농후한 오작교를 새 모양의 장식이 달린 아름다운 교각 구조물로 디자인했고, 다목적 오픈스페이스 역할을 했던 전통 요소인 마당을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적재적소에 배치했다.5 삼천리금수강산 모티브는 지형을 만드는 틀이자, 도시 주변에 산재한 계곡을 비롯해 수려한 경승지를 즐겼던 옛 산수 문화의 현대적 복원에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그간의 문제는 전통이라는 소재가 뒤쳐진 데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이를 디자인하는 감각이 새롭지 못했던 것에 있었다.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2019) 당선작 ‘깊은 표면(Deep Surface)’은 조경가의 역사학이라는 타임라인에서 이 다음에 위치하는 중요한 작품이다.


깊은 표면의 분위기

깊은 표면은 형용 모순적 어휘로 이루어진 이름이다. 지하 도시와 지상을 연결하는 실체적 행위를 연상시키면서도 다소 형이상학적으로도 들리는 오묘한 언어였다. 깊은 표면이 제안한 광장의 분위기는 ‘역사’와 ‘일상’으로 대표된다.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 동상을 슬며시 밀어내 친근한 조각품처럼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동상이 지배하던 광장의 위엄을 누그러뜨리고, 대신 그곳에 조선시대의 상징적 경관을 복원했다. 깊은 표면의 조감도는 북악산-광화문-광화문광장으로 이어지는 축을 강조해 조선시대의 역사성을 강화했다. 북악산을 살짝 비켜 앉힌 광화문의 아름다운 경관, 산세와 추녀선이 그려내는 유려한 하늘선이 막힘없이 드러났다.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광장 양측에 도열한 재질과 형태가 불균질한 거대한 건물군의 파사드를 캔버스 삼아 한양의 내사산을 투영해 한국적 경관을 재구성했다. 동궐도와 경기감영도를 비롯한 옛 산수화와 현재 서울의 색감을 제대로 파악해 묘사한 한 폭의 그림이었다.이 조감도는 West 8이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 당선 이후 선보인 산수화풍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했다. 치유의 공원의 이미지는 공모전 이후 그린 관념적 그림이다. 깊은 표면의 이미지는 더 나아가 도면으로 구현됐다. 북악산과 광화문이라는 실재하는 경관, 내사산이 투영된 미디어 파사드라는 경관에 둘러싸인 나를 상상했다. 근래 유행하는 몰입형 미디어 아트를 경관 디자인에 활용한 흥미로운 시도로 보였다.6

 

lmj03.jpg
‘깊은 표면’ 조감도

 

 

환경과조경 415(2022년 11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1. 최정민, “현대 조경에서의 한국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각주 2. 박준서, “기념성과 실용성의 조화”, 『환경과조경』 2005년 1월호, pp.124~125; 배정한, “한국 조경의 변화와 주요 작품”, 『한국조경의 도입과 발전 그리고 비전: 한국조경백서 1972-2008』, 환경조경발전재단, 2008, pp.246~247.

각주 3. 조경진, “패러노이아: 의미과잉 속의 한국현대조경”, 『Locus 2: 조경과 비평』, 조경문화, 2000, pp.131~147.

각주 4. 배정한, “시간의 정원, 발견의 디자인”, 『조경의 시대, 조경을 넘어: 배정한 조경비평집 1』, 도서출판 조경, 2007, p.62

각주 5. Myeong-Jun Lee, “Transforming Post-industrial Landscapes into Urban Parks: Design Strategies and Theory in Seoul, 1998–present”, Habitat International 91. 2019, pp.1~13.

각주 6. Myeong-Jun Lee, “Ecological Design


이명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오랫동안 공부하다가 2020년, 안성으로 이사와 한경대학교 친구들과 즐거운 일상을 보내고 있다. 최근에 코로나에 확진되었다. 이때다 싶어 원고를 썼다. 지루하고 권태로운 격리 생활에서 벗어나 저 문만 박차고 나가면 바로 광장이겠지 상상하면서 원고를 마무리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