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마주하는 건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이미지다. 최적의 콘셉트를 꺼내기 위한 아이디어 스케치, 하나의 선을 도출하기 위해 그린 곡선과 직선, 마우스와 키보드로 만든 수많은 도면. 이 같은 중간 작업물들은 최종 이미지를 완성하기 위한 여정에서 쉽게 사라지곤 한다.
하지만 안동혁(HLD 소장)은 설계 과정에서 탄생한 이미지들에 주목했다. 그는 “원론적으로 하는 말이 아니라 설계에서 정말 과정이 중요하다. 이미지를 설계 최종 단계의 레프리젠테이션을 위해 만드는 방식도 물론 존재한다. 하지만 중간 과정으로서 이미지 작업의 효용 가치 또한 높다. 설계안이 좋은 공간으로 구현될 것인지 검토하기 위해, 또는 공간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판단하고 보완하기 위해 이미지 작업을 하기도 한다. 실 제로 좋은 공간에서는 어느 방향으로 카메라를 향해 도 좋은 사진이 나온다. 설계로 구현하고자 하는 공간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한다.
지난 5월 22일부터 6월 5일까지 삼청동 가모갤러리에서 열린 안동혁의 개인전 ‘인공자연: 그리고 그 무대의 뒷편’은 중간 작업물의 가치를 보여주는 전시다. 2006년부터 2022년까지의 작업물은 안동혁이 디자인 행위를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인공의 자연을 만들어왔는지 보여준다. 통념적 자연 또는 조경의 이미지와 대척점에 있는 듯 보이는 인공적 결과물, 완성된 현실의 공간을 그대로 엿볼 수 있는 작업물, 그 공간을 만들기 위한 중간 작업물과 예술적 영감을 현실화하기 위한 스터디 작업물까지 다양한 층위의 작품이 전시됐다. 그는 인공자연 전을 “조경이 콘텐츠인 미술전의 실험”이라고 표현한다. 인공자연이란 무엇이고, 그의 실험에는 어떤 이야기들이 담겨 있을까. 아직 한낮의 햇볕이 뜨겁지 않은 6월의 어느 날, 안동혁을 만나 대화를 나눴다.
인공자연 전의 초석은 오래 전부터 놓여 있었다. 안동혁은 조경 설계를 통해 만들어지는 중간 과정물이 회화나 조각 같은 미술 전시의 콘텐츠로 충분히 가치가 있다는 생각을 예전부터 해왔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을 여러 사람과 논의할 기회가 있었는데, 운 좋게도 그 자리에 함께한 가모갤러리의 관장이 이전에 하지 않았던 독특한 전시가 될 것 같다며 초청 전시를 제안했다.
원대한 비전을 품고 기획한 전시는 아니었지만 뜻밖의 수확이 있었다. 안동혁은 “조경에 관한 전문 지식이 없는 대중과 조경의 접점이 생겼다는 점이 큰 의의다. 전시 중 일반 관람객에게 가장 많이 들은 이야기가 ‘조경이 이런 것도 하는 줄 몰랐어요’였다”며 “이번 전시가 미약한 시작이지만 전문 조경인과 일반 대중 사이의 연결고리, 조경과 미술 두 영역의 연결고리로 기능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환경과조경 411호(2022년 7월호) 수록본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