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그리는, 조경] 첫 조경 드로잉
  • 환경과조경 2019년 5월
undefined
그림 1. Frederick Law Olmsted and Calvert Vaux, The Greensward Plan of Central Park, 1858
 

19세기 중반 미국에서는 조경과 관련된 큰 사건들이 일어났다우선 조경이라는 전문 분야가 확립됐다.전문 분야를 가리키는 우리말 조경가/조경에 해당하는 영어 랜드스케이프 아키텍트/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가 만들어지고 분야의 정체성이 확립되었다.엄밀히 말해 첫 조경’ 드로잉이 그려진 시기다이전 연재에서 다뤘던 대개의 드로잉 유형이 용도에 따라 전문화됐다공모전 드로잉으로는 대중과 의사소통하기 수월한 투시도가 중요하게 이용됐고공사를 위해서는 수치 정보가 정확히 기입된 평면도와 입단면도 같은 투사 드로잉이 사용됐다현재 조경 계획과 설계에 빈번하게 이용되는 기법인 경관 정보의 맵핑과 지도 중첩(map overlay)방식도 이 시기에 처음 등장한다.

 

센트럴 파크 공모전 드로잉

우리가 공원이라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곳 중 하나인 센트럴 파크가 조성된 것도 바로 이 시기다. 1857년 개최된 뉴욕의 센트럴 파크 설계공모전(Plans for the Central Park)에서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1822~1903)와 칼베르 보(Calvert Vaux)(1824~1895)의 출품작 그린스워드(Greenswar)d’ 계획이 채택되어 조성된다(그림 1)서른세 개의 출품작 중 가장 늦게 제출된 그린스워드는 가로 8피트세로 3피트에 달하는 마스터플랜과 이를 설명하는 열두 장의 일러스트레이션 보드(이 중 열한 장이 남아 있다)설계 설명서로 구성되었다.2  옴스테드와 보의 드로잉을 보면 알 수 있듯이그들의 안은 이전의 영국 풍경화식 정원 양식의 영향권에 있다마스터플랜에서 보이는 구불구불한 길과 잔디가 무성한(greensward)지형은 풍경화식 정원을 연상시키며공원의 주요 전망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풍경과 공원의 모습을 묘사한 투시도 드로잉은 옴스테드와 보가 그리는 센트럴 파크의 분위기를 잘 묘사하고 있다.그린스워드 계획의 마스터플랜은 다른 출품작과 마찬가지로 공모전의 지침에 따라 먹(India ink)과 세피아 톤으로 그려졌다부지의 현재 모습과 설계 이후의 모습을 그린 아홉 쌍의 이미지 중 설계 이후를 보여주는 세 쌍의 이미지는 유화로 공들여 마무리되었다(그림 2, 3, 4).4 이러한 회화적 묘사 기법은 미국의 야생지(wilderness)풍경을 화폭에 담은 당대의 허드슨 강 화파(Hudson River School)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5  


흥미로운 점은 현존하는 그린스워드 계획 드로잉 중 마스터플랜과 다른 드로잉 한 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투시도의 형식을 취한다는 사실이다예외인 한 장에서 위쪽 정원 아케이드 빌딩은 입면으로아래쪽 화원은 평면으로 그려졌다.이러한 요소는 공모 지침의 필수 요구 사항이었기 때문에 넣었던 것이며공모전 당선 이후 옴스테드와 보의 구체적 설계 과정에서는 자취를 감춘다짐작하자면옴스테드와 보는 센트럴파크를 여러 장의 풍경으로 구성된말하자면 완벽히 그림 같은 공원으로 만들고 싶었던 것 같다. ...(중략)...

 

환경과조경 373(2019년 5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정리 

1. 영어 landscape architect/ure의 기원과 전문 분야의 탄생 과정에 관한 연구로 다음을 참조할 것. Joseph Disponzio, “Landscape Architecture/ure: A Brief Account of Origins”,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 Designed Landscapes 34(3), 2014, pp.192~200; Charles Waldheim, “Landscape as Architecture”,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 Designed Landscapes34(3), 2014, pp.187~191. 우리말 조경의 명칭과 전문 분야의 성립 과정에 관한 연구로는 다음을 참조할 것우성백, “전문 분야로서 조경의

명칭과 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 Morrison H. Heckscher, Creating Central Park,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8, p.26. 그린스워드 계획의 설계 설명서는 다음 책에 실려 있다. Charles E. Beveridge and David Schuyler, eds., The Papers of Frederick Law Olmsted: Volume Creating Central Park 1857-1861,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3, pp.117~187.

3.

옴스테드와 보의 그린스워드 계획은 풍경화식 정원의 영향을 받았지만조금 다른 미학을 추구했다. 18세기 초중반 영국에서 유행한 풍경화식 정원이 목가적 풍경을 지향했다면그린스워드 안은 목가적 풍경과 함께 미국의 거칠고 손대지 않은 야생지를 감상하는 자연 문화를 반영하기도 했다흔히 18세기에서 19세기 초까지의 영국의 정원을 뭉뚱그려 풍경화식 정원이라 부르고그러한 공원이 구현한 목가적 풍경을 픽처레스크 미학으로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다그러나 엄격한 의미에서 픽처레스크는 18세기 말 영국의 아마추어 정원 이론가인 윌리엄 길핀(William Gilpin, 1724~1804), 유브데일 프라이스(Uvedale Price, 1747~1829), 리처드 페인 나이트(Richard Payne Knight, 1750~1824)가 정원 설계 방법에 대해 논쟁을 벌이면서 만들어낸 하나의 미학적 범주다그들은 당대에 지배적 미적 범주였던 미와 숭고의 중간에 위치하는 자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제3의 범주인 픽처레스크를 제시했다픽처레스크는 통제할 수 없는 자연의 숭고의 특징을 어느 정도 길들인 것으로대체로 자연의 울퉁불퉁하고 거칠고 갑작스러운 변화를 의미했다이러한 픽처레스크 미학 혹은 길들여진 숭고의 미학은 19세기에 미국으로 수용되어 초월주의 자연 문학과 허드슨 강 화파의 회화에 적용되면서야생 자연에서의 명상적 감상을 추구하는 초월적 숭고(transcendental sublime)로 변모하게 된다옴스테드와 보가 센트럴 파크에 만들어내고자 한 자연은 그러한 미국적 숭고의 미학이 반영된 자연이다국내 연구로 다음을 참조할 것이명준·배정한, “숭고의 개념에 기초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학적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40(4), 2012, pp.78~89.

4. 그린스워드 계획이 혁신적이라 평가받은 이유는 공원을 가로지르는 도로를 공원 아래로 감추어 보이지 않게 하고 보행로 유형을 다양하고 유기적으로 디자인했기 때문이다공모전 출품작에 대한 설명으로 다음을 참조할 것. Charles E. Beveridge and Paul Rocheleau, Frederick Law Olmsted: Designing the American Landscape, New York: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1995, pp.54~55; Sara Cedar Miller, Central Park, an American Masterpiece: A Comprehensive History of the Nation’s First Urban Park, New York: Abrams, 2003, pp.81~88; Morrison H. Heckscher, Creating Central Park , pp.20~24.

5. 옴스테드와 보는 센트럴 파크를 설계하고 조성할 때 허드슨 강 화파의 영향을 받았다예컨대 보의 아내 메리 멕엔티(Mary McEntee)의 형제는 허드슨 강 화파에 속하는 저비스 맥엔티(Jervis McEntee, 1828~1891)였고옴스테드와 보는 그에게 그린스워드의 설계 이전과 이후의 드로잉을 그리도록 부탁했다고 한다또한 옴스테드와 보는 허드슨 강 화파의 유명 화가인 프레드릭 처치(Frederic Edwin Church, 1826~1900)와도 친분이 있었다. 1871년 보의 제안에 따라 옴스테드는 처치를 센트럴 파크 공사 감독 위원으로 임명한 바 있다. Mark R. Stoll, Inherit the Holy Mountain: Religion and the Rise of American Environmentalis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p.98.

 

이명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조경 설계와 계획역사와 이론비평에 두루 관심을 가지고 있다박사 학위 논문에서는 조경 드로잉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현대 조경 설계 실무와 교육에서 디지털 드로잉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했고현재는 조경 설계에서 산업 폐허의 활용 양상조경 아카이브 구축, 20세기 전후의 한국 조경사를 깊숙이 들여다보고 있다가천대학교와 원광대학교서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조경비평 봄과 조경연구회 보라(BoLA)’의 회원으로도 활동한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