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앞의 상징적 가로를 하드스케이프 중심의 권위적 공간이 아닌 한국적 정서가 담긴 도시 풍경으로 제안한다. 오랫동안 단절됐던 보행의 흐름을 다시 잇고, 광화문광장 일대를 한국적 아름다움을 느끼며 산책할 수 있는 온화한 일상 공간으로 되돌리고자 한다. 권위를 상징하는 풍경이 아닌, 주변 경관을 수용하고 시민 활동을 포용하는 공간으로 변화시킨다.
새로운 광화문광장은 서구식의 위요된 광장이 아니라 남산과 백악산으로 탁 트인 조망을 제공하는 개방형 광장으로 거듭날 것이다. 차선이 축소된 광화문광장은 대로의 일부가 아닌 온전한 광장으로 기능하게 된다. 광장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해치마당을 옮겨 이용 가능한 면적을 확대하고, 인접 건물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동서 간 보행 연결성을 높인다. 차도로 분리됐던 역사광장과 시민광장은 험프 포장으로 연결한다.
전략
한국적 경관을 통한 시적 함축: 역사광장은 복원 중심의 정적인 공간이며, 시민광장은 시민 활동을 수용하는 동적 공간이다. 두 광장을 흙으로 포장해 육조거리에 대한 기억을 상기시키고, 한국적 경관을 연출함으로써 하나의 공간으로 느껴지게 한다. 삼군부 터에 위치한 정부청사 건물은 일부만 파빌리온 형태로 남기고 나머지는 철거하여 광화문 풍경을 바라보는 공간으로 활용한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댓글(0)
최근순
추천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