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편집자의 서재] L의 운동화
  • 환경과조경 2016년 8월
그림82.png
김숨 | 민음사 | 2016

 

 

『L의 운동화』의 주인공은 실력을 인정받은 예술 작품 복원 전문가다. 이야기는 어느 날 그에게 운동화 복원 의뢰가 들어오며 시작된다. 복원함의 유리창 너머로 마주한 운동화의 고무 밑창은 거의 다 떨어져 나갔고, 손끝으로 건드리면 당장에라도 내려앉아 먼지가 되어버릴 것처럼 낡았다. 심지어 왼쪽 한 짝은 어디로 갔는지, 보관함에는 오른쪽 운동화만이 덩그러니 놓여있다. 이런 낡은 운동화가 소중히 보관되고 있는 이유는, 운동화의 주인이 ‘L’이기 때문이다. 소설에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L은 ‘6월 항쟁’의 도화선이 된 청년 이한열이다. 1987년 6월 9일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6·10대회 출정을 위한 연세인 결의대회’에 참여했던 그는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머리를 맞았고, 현장에는 최루탄 냄새가 밴 오른쪽 운동화만이 남았다. 작년은 이한열의 28주기였고, 미술품 복원 전문가인 김겸 박사가 3개월에 걸쳐 운동화의 복원 작업을 진행했다. 책의 저자인 김숨은 김겸 박사의 연구소에서 복원 작업을 지켜보았고, 그 과정을 소설로 재탄생시켰다.

해외 작품을 소개할 때면, 번역에 애를 먹을 때가 있다.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 나빌레라”1를 영어로 완벽하게 옮길 수 없듯이, 다른 나라의 언어에도 한국어로 대체할 수 없는 단어나 문장들이 있다. 결국 문장의 맥락이나 작품의 사진을 보고 유추해 적절한 단어를 고르게 된다. 처음에는 멋모르고 했던 일인데, 시간이 흐를수록 어렵게 느껴진다. 과연 내가 고른 단어가 맞는 것일까. 내가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이나 가치관이 정보를 왜곡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시간에 쫓겨 섣부르게 판단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인지 『L의 운동화』가 느릿하게 그려내는 운동화 복원 과정이 내겐 그다지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았다. 오히려 주인공의 끈기와 깊이가 부러웠다.

소설은 총 271페이지인데, 그중 본격적인 복원 작업이 담긴 지면은 118페이지뿐이다. 전체 분량의 채 반도 되지 않는다. 그 나머지 페이지는 복원 작업에 들어가기 전 끊임없이 계속된 주인공의 고민과 생각들이 차지했다. 주인공은 자신이 운동화복원 작업의 적임자임을 알지만 의뢰를 받아들일지 말지 고민한다. 한참 후에야 의뢰를 받아들이기로 한 뒤에는, L에 의해 운동화가 어떻게 변형되었을까 생각하기 시작한다. “L에게 척추 측만증이 있었다면 어깨가 평형을 잃고 한쪽으로 기울었을 것이고, 기운 쪽 발 운동화 밑창이 그렇지 않은 쪽 운동화 밑창보다 빠르게 닳았을 것이다”2 이어 그는 L이 걸을 때 왼발에 더 힘을 주었을지, 오른발에 힘을 더 주었을지 또 보폭은 어땠을지 생각한다. 그 이유는 “습관뿐 아니라 성격과 기질이 그

사람의 옷과 신발과 가방 같은 물건에 고스란히 기록된다는 것”3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L의 운동화는 단순한 신발 하나가 아니다. 과거 L의 친구였던 이는 편지로 “제 친구 M도, J도, L도, K도 R도 운동화를 신고 다녔습니다. 그러니까 L의 운동화는 저의 L의 운동화는 … ‘우리 모두’의 운동화이기도 했던 것입니다”4라고 말한다. 운동화에는 L의 모습이 담겨있으

며, 그가 살았던 시대와 그 당시 일어났던 사건을 넘어 L과 함께했던 모든 이들을 대표한다. 주인공이 L의 운동화를 소중하게 다루는 만큼, 김숨 역시 L을 조심스럽게 그려나간다. L의 모습은 주변 사람들의 기억을 통해서 어렴풋이 서술되며, 담담한 서체는 독자에게 눈물을 강요하지 않는다. 대신 복원 작업을 상세하고 느리게 묘사하며 그 사이사이 주인공의 고민을 숨이 막히도록 빽빽하게 늘어놓는다. 그 과정과 고민들을 통해 L의 운동화가 지닌 무거움

을 간접적으로 느끼게 된다.

최소한의 복원을 할지, 레플리카 방식의 복원은 어떨지, 운동화 끈을 풀지 말지 고민하는 주인공을 보니 자연스럽게 잡지 편집 작업이 연상됐다. 작품에는 작가의 가치관이 담기기 마련이고, 작품을 설명하는 사진은 여러 가지 기법을 사용해 의도를 드러낸다. 활기찬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노출 시간을 늘려 사람들이 움직이며 남기는 궤적을 찍기고 하고, 밑에서 올려다보는 구도를 사용해 수목이나 구조물의 웅장함을 강조하기도 한다. 긴 수평선이 주는 안정감은 바닷가의 평화로운 풍경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된다. 이런 의도를 잘 파악해야 작품을 잘 소개할 수 있는데, 꽤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주인공은 운동화의 고무 밑창을 복원하기 위해 에폭시수지를 주입한 후, 이틀 내내 L의 운동화를 바라보기만 한다. 밑창이 딱딱하게 변하기를 기다리며 그저 운동화가 담긴 플라스틱 상자의 온도와 습도를 확인할 뿐이다. 잡지의 마감 기간, 교정부호 하나 없이 깨끗한 교정지를 눈앞에 둔 내 모습이 떠오른다. 꼼꼼히 살폈는데도 오타나 비문을 찾을 수 없을 때, 불안함에 원고를 더 샅샅이 뒤지게 된다. 한참을 들여다보면 모든 문장이 어색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오타는 꼭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툭 튀어나와 나를 민망하게 만든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더 어려울 때가 있다. 뭔가를 할 때보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