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제15회 올해의 조경인 [특별상]: 김남춘
  • 환경과조경 2012년 12월

Kim, Nam Choon
(사)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회장,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교수

환경 보호에 앞장서는 조경가
기후변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자연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폭우나 폭설 등 자연재해의 빈발로 자연환경 훼손이 심각해지면서 자연을 보호하고 복원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조경학과 교수가 자연환경 보호에 앞장 선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수상한 것은 개인으로서도 매우 의미가 있는 사실이지만, 사회적으로 조경분야의 위상을 높인 하나의 사건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 국가에서는 1978년부터 자연보호헌장을 선포해 자연환경 보호에 앞장 선 이들에게 상을 수여하고 있는데, 김남춘 교수는 환경부와 함께 ‘생태계보전협력금반환사업’이 초기에 정착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고, ‘자연마당 조성사업’ 등의 활동에 주력해온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이외에도 자연환경복원발전재단을 설립해 환경복원분야의 사회적,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특히 비탈면 녹화 지침을 제도화함으로써 이전까지 무분별한 녹화가 이루어지던 비탈면에 다양한 식생 연출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에 대해 그는 “어떠한 사업이든
제도적으로 뒷받침돼야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앞으로 조경분야가 주도하는 환경복원의 제도적 틀을 만드는데 더욱 주력할 것”이라는 의사를 밝혔다. 그는 환경, 생태 복원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관련 제도마련에 힘쓰면서도 실제 복원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조경설계와 시공의 역할을 정립하는 일과 자연환경을 어떻게 시민들에게 접근시켜야 할지를 끊임없이 고민하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복지차원에서 생태와 복원으로의 접근 시도
‘생태계보전협력금반환사업’은 환경이나 생태의 중요성을 알리고, 생태복원분야의 기술발전을 이루기 위해 김남춘 교수가 주력해서 추진한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김 교수가 이 사업에 주력한 까닭은 자연환경 복원사업을 활성화함으로써 균등한 생태복지를 제공하고, 생태복원 관련 신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자연마당 조성사업’이다. 그는 도심지 안에 버려진 땅을 회복시키는 이 사업을 통해 도시민들에게 질이 높은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김 교수는 이 사업이 “자연환경과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발전하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에 생태복원기술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높을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 사업은 내년에도 계속 이어질 예정으로, 공원과는 또 다른 생태광장 또는 마당 같은 공간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견되어 조경분야에서 모색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김남춘 교수는 지난 한해 가장 이슈가 되었던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의 당선팀인 ‘West 8 + 이로재 컨소시엄(미래를 지향하는 치유의 공원)’의 일원으로 참여하기도 하였다. 컨소시엄 내에서 식재설계 및 복원과 관련한 역할을 맡아 (사)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를 통해 생물다양성 증식의 명장을 비롯한 생물, 생태 전문가들을 동원하여 용산공원 대상지의 생태계를 깊숙이 파고들어 공원에 접목시키려 노력했다.
“앞으로 들어서게 될 용산공원은 우리나라 생태복원기술이 총망라된 만큼 살아 숨 쉬는 한국의 대표적인 국가공원이 될 것입니다. 조경 설계와 시공부문에서도 생태적인 측면으로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렇듯 환경복원 작업에서 다양한 시도를 선도하는 그에게서 자연환경 보호에 대한 남다른 시각을 엿볼 수 있다. 

환경복원분야에서 조경의 역할을 확대하는 교량으로서
그는 현직 교수인만큼 교육자로서의 책무에도 충실하게 임했는데, 특히 환경복원 육성을 위한 조경분야 인재양성에 열의가 높다. 조경을 전공하는 학부생들에게 생태적인 마인드를 정립시키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 강의에 전념하고 있으며, 대학원 박사과정에서도 환경복원 전공과목들을 중점 강의하고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에는 직접 환경조경학과 대학원을 설립, 국내 최초로 환경복원전공을 개설하여(1998)년 많은 조경인들이 자연환경관리 및 생태복원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올 여름에는 (사)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를 통해 ‘환경복원학교’라는 교육프로그램을 신설해 각광을 받았는데, 환경복원 및 생태 관련 전문가들로 강사진을 꾸려 현직 환경부 고위직도 직접 와서 수강할 정도로 호응이 높았다.
또한 그는 환경부에서 추진하는 자연공원기본계획(안) 수립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한 바 있다. 이는 기존에 ‘보존’ 위주로 이루어지던 자연공원정책이 ‘현명한 이용’ 측면으로 변화된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를 통해 조경의 참여 기회가 늘어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인터뷰가 끝나갈 무렵 그는 “현재는 조경분야의 위기라는 말들을 많이 하는데, 이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조경이 지금보다 시야를 넓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환경복원, 생태에 대한 이해를 더욱 높이고 환경복원과 생태적인 측면을 발전시켜서 사회적으로 인정받아야 한다는 거죠. 조경하는 사람들이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문제에 대해서 지금보다 많은 생각을 해야 할 시점”이라고 하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를 이끄는 동안 우리 조경분야의 일자리와 문화, 먹거리를 만들어내는데 더욱 주력할 것”이라는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환경, 생태복원분야가 조경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내다보며 기회가 왔을 때 놓치지 않도록 환경복원의 전문성을 갖춘 조경가 배출에 혼신의 힘을 기울이고 있으며, 환경복원분야를 통해 조경의 운신 폭을 넓히고자 끊임없이 새로운 연구를 시도하며 노력하고 있다. 오늘도 땀 흘리는 그의 뜨거운 열정에 박수를 보내며, 이러한 그의 노력이 기폭제가 되어 환경복원분야에서 조경의 영역 확대가 가속화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