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리스트
- 한강 여주저류지 및 강천섬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
- ‘한강 여주저류지 및 강천섬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은 4대강 사업을 통해 조성된 대표 수변공간인 여주저류지와 강천섬에 대해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공간으로 이용하기 위한 공간 활용계획, 관광, 레저 사업 및 유지관리 방안 등 다양한 아이디어 발굴을 위해 개최되었다. 이에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미래세대청년의 꿈과 감성을 담는 문화공간 만들기’를 주제로 대한민국 누구나 참여가능한 아이디어 공모를 7월 9일부터 9월 7일까지 총 3개월간에 걸쳐 진행했다. 심사결과 대상 1점환경디자인 부문, 마케팅기획 부문 12점, 환경디자인 부문 12점 총 25점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으며, (주)그람디자인의 ‘미지의 섬에 씨앗폭탄을 던지다’가 대상에 선정되었다. _ 편집자주 위치 _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굴암리 626번지(여주군 강천보 상류 4.6km) 규모 _ 571,000㎡발주 _ 한국수자원공사 당선작Aleatorik Island _ 미지의 섬에 씨앗폭탄을 던지다(주)그람디자인 설계참여자 _ 최윤석, 경정환, 이동은, 오현주 강천섬 그리고 한강이 지닌 자연의 본성인 예측불가능함, 불확정성, 우연성, 자립성은 우리시대 청년들과도 닮아있다. 청년감성문화와 한강자연생태가 융합된 새로운 장소를 만드는데 있어 바로 재미가 있는 적극적 참여를 통하되 그 결과나 모습을 정해놓기보다는 스스로 만들어지는 즉흥성과 우연성에 기대함을 제안한다.우연이 가미된 미지의 아름다움이 있는 공간. 그곳은 청년문화가 스스로 활력을 불어넣고 섬의 꽃과 식물이 스스로 자라나게 만드는 장소. 방문자 모두가 스스로 가꾸는 장소. 스스로섬의 규칙에 따라 스스로 문화와 자연이 상생하는 장소가 될 것이다.
- 제4회 국유지 도시숲 설계 공모대전
- ‘소통과 나눔의 도시숲’을 주제로 한 ‘제4회 국유지 도시숲 설계 공모대전’의 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5월 산림청 주최, (사)한국산림휴양학회 주관으로 진행된 이번 공모는 5월부터 6월간의 공모신청, 9월까지 작품접수와 심사를 거쳐 지난 10월 5일 최종 당선작이 선정됐다. 이번 공모전은 주변과 조화되어 다양한 동·식물이 공존하는 생태적 역할을 수행하고, 소통과 나눔이 이루어지는 도시숲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로 4회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국유지를 대상으로 하여 2014년도 국유지 도시숲 조성사업에 반영코자 기획되었다. 최우수상은 대상지역의 지형과 임산물 그리고 인근의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주)유엔디 강호민의 ‘햇살품은 너른 고양 숲’에게 돌아갔다. 올해에는 최우수상 1작 이외에도 우수상 2작, 장려상 3작 등 총 14작품을 선정하였다. 본지에서는 최우수상 1작, 우수상 2작을 소개한다. _ 편집자주 심사총평생활권 주변에 조성되는 도시숲의 형태와 경관을 정서함양·휴식·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새롭게 디자인한 작품을 선정하여 시상하는 제4회 국유지 도시숲 설계 공모대전이 진행되었다.이번 공모전은 ‘소통과 나눔의 도시숲’이라는 주제가 주어졌으며, 주변과 생태적으로 조화되는 공간조성을 통해 다양한 동·식물이 공존하고, 소통과 나눔이 어우러지는 도시숲을 디자인하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 공원과는 차별화된 녹색 도시숲을 표현하기 위해 참신하고 독창적인 공간설계를 유도함으로써 도시숲에 대한 시민과 학생들의 관심을 제고하고자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조경·산림·건축·도시계획·디자인 등 관련학과 대학생과 일반인이 개인 및 팀으로 참가할 수 있었으며, 설계 대상지는 국유지 도시숲 조성 예정지인 경기도 고양시 고양동, 경북 영주시 가흥동, 경북 상주시 낙양동, 충남 서산시 읍내동, 경남 거제시 장평동 5곳이 설정되었다. 이번 공모전은 지난 공모전과는 다르게 국유지를 대상으로 설계 공모전을 개최하였고, 산림청의 도시숲 정책방향에 맞추어 인위적 시설물 위주를 지양하고 자연에 가까운 산림·자연형 설계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어 2014년도 국유지 도시숲 조성사업 시 활용하고자 하였다. 올해 출품작에 대한 심사는 공공성, 참신성, 기능성, 수목배치 및 선정 등 4개 부분 18개 항목 기준에 맞춰 공정하게 이루어졌으며 공모대전 조직위원회의 심도 있는 회의를 거쳐 배점기준을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주제의 명확성, 지역정체성 구현도, 연결성, 접근성, 지역 중심적 역할(사회성) 등 공공성 30%, 구조적 재해 안정성, 환경적 재해 안정성, 경관적 특성, 생물다양성 배양도, 이용성 및 쾌적성 등의 안정성과 가능성 30%, 디자인의 창의성, Drawing and Rendering 기능, 세부공간의 적절성과 연결성, 도입 시설의 매력도 등 참신성 20%, 향토성(생리 생태적 적응성), 계절감, 조화성, 유지관리의 편의성 등 수목배치 및 선정 20%을 기준으로 출품작 중 1차 심사에서 18개 작품을 우선 선별하였고, 그 후 수차례에 걸친 심사와 결선 투표를 거듭하여 최우수상 1팀, 우수상 2팀과 장려상 5팀 그 외 입선작 6팀을 선정하였다. 수상작 모두 예년에 비해 한결 높아진 수준의 작품들로 우위를 가리기 힘들었지만 미미한 점수 차이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지난해 대비 올해 출품작들의 특징으로는, 패널의 표현기법은 강화되었으나 접근방법의 다양성은 다소 부족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대상지가 국유림으로 변경되면서 대상지별 조사 및 분석이 기본에만 그치면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부족이 방향성 미흡의 결과를 낳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우수상은 일반 참가팀의 ‘햇살품은 너른 고양 숲’이 차지하였으며, 우수상에는 서울대팀의 ‘어우리 숲’, 경희대팀의 ‘배우미 숲’이 당선되었다. 이밖에도 장려상 5작, 입선 6작이 당선되었다. 최우수상은 경기도 고양시 고양동 산23-1번지 일대를 대상으로 역사문화자원이 풍부한 대상지의 잠재력을 살려 성찰의 길, 고행의 길, 교육의 길 총 3가지의 주제로 나누어 각 주제에 맞게 등산로를 계획하였다. 또한 생태 우수로 조성 및 다공질공간을 계획하는 등, 대상지를 생태적·경관적으로 보존하면서, 자연재료들을 적절히 이용하여 새로운 경관과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체험형 도시숲으로 제안하였다는 점을 높게 평가할 수 있겠다. 끝으로 본 공모전은 공모전 자체의 의미보다 산림 즉, 숲과 나무에 대한 관심 유도와 동시에 산림청에서 시행하는 사업의 홍보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산림청의 주최로 공모전을 지속적으로 개최하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바람직하며 고무적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공모전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참여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대상지 선정 및 주제범위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안 범위를 광범위하게 설정함으로써 자유로운 제안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심사위원장 김세천·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3景
- 조경, 건축 그리고 미술의 경계에 서서김준현, 박미예, 이유미 작가의 작품전시회 지난 10월 30일부터 11월 5일까지 서울대학교 우석홀에서 조금 특별한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바로 김준현, 박미예, 이유미 작가의 작품전시회 ‘3景’이다. 오래 전, 단지 경관으로부터 작품의 영감을 얻었을 미술 작가를 꿈꾸었던 이들은 이제 직접 경관을 만들고 평하는 사람이 되었다. 미술과 조소의 울타리를 넘어 조경, 건축과 같은 큰 스케일의 세계에 발을 들여 놓은 그들이지만 문득 작업실에서 수많은 재료들과 씨름하며 작품을 탄생시켰던 그때 그 시절의 감정이 되살아났다고. 그러면서 도면으로 대중을 만나는 것도 좋지만 갖고 있는 감수성과 예술성으로 표현의 경계를 확장하고, 그 작품으로 전시장에서 대중을 만나는 가능성을 찾게 되었다고도 덧붙인다. 이제는 그때 이루지 못했던 부분마저도 또 다른 시선으로 볼 수 있게 되었고, 분야의 벽을 넘나들며 각자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이들이 마음속에 품고 있는 경치는 과연 어떤 것일까? 그 풍경 속으로 들어가 보자.
- 건축도시기행展
- 사진을 통해 들여다본 우리 삶의 궤적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건축사진가’들의 행보 헤이리 아트밸리에 위치한 Gallery MOA(관장 이양호)에서 지난 10월 26일부터 11월 21일까지 ‘건축도시기행’ 사진전이 열렸다. 와이드AR에서 후원한 이번 전시회는 국내에서 활동하는 건축사진가 17인이 건축과 도시라는 각각의 테마를 해석한 작품들을 건축 테마전(10.26~11.9)과 도시 테마전(11.9~11.21)으로 나누어 2회에 걸쳐 전시했다. 전시회에 참여한 작가는 김태오, 김재윤, 남궁선, 윤재혁, 유현민, 이재성, 최충욱, 신경남, 진효숙, 이인미, 윤준환, 박영채, 박재영, 조명환, 김철현, 김재경, 염승훈 등으로, 건축, 도시 그리고 사진과의 인연을 통해 자생적으로 ‘건축사진’분야를 일군 이들이다. ‘건축도시기행展’은 건축사진아카이브 구축을 목표로 기획되어, 전시회를 겸해 ‘건축사진’과 이를 전문으로 하는 작가들을 정리하여 단행본으로 제작하기도 하였다. 전시회 참여 작가이자 전시회를 기획한 김재경 작가(김재경 스튜디오)는 “‘건축사진’은 자생적으로 생겨난 40여 명의 사람들에서 출발했는데, 절반정도는 현장에서 만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그들의 작품을 모음으로써 자료가 될 수 있는 책으로 펴내게 되었다.”고 제작 경위를 설명했다. 그리고 “하나의 건물을 찍는다는 것은 그 건물의 머리부터 발끝까지 스캔하는 것과 같다. 그래서 한 사람이 약 30여 장의 사진을 한 세트로 구성하게 되는데, 세대를 거치면서 방대한 양의 사진이 쌓이게 되며 이는 활용할 수 있는 방대한 자료가 되는 것”이라며, “세대를 넘어가면서 사람이 바뀌어도 누가 활동했었는지 정리를 하면 보다 쉽게 자료를 찾을 수 있는 루트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고 기획 의도를 밝혔다.
- 제4회 인공지반녹화대상
- 제4회 인공지반녹화대상 당선작이 지난 10월 18일 공개되었다. 작품, 기술혁신, 행정분야로 나누어 공모를 진행하였으며 대상 1점, 최우수상 3점이 선정되었다. 영예의 대상은 작품분야에 접수된 ‘부천 소사역 푸르지오 인공지반 녹화’에게 돌아갔으며, 대규모 인공지반 상부에 집중녹화 기술을 효과적으로 접목한 기술력과 전체적인 완성도가 높이 평가받았다. 또한 세대를 아우르는 공간을 조성하여 커뮤니티 공간으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유지관리 측면에 있어서도 주민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_ 편집자주
- 제15회 올해의 조경인 [특별상]: 황지해
- Hwang, Ji Hae(주)뮴 대표 남다른 그녀, 황지해전 세계 정원 예술가들의 꿈의 무대이자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영국의 첼시 플라워쇼에서 지난해 한국의 전통화장실을 주제로 한 ‘해우소 가는 길’로 아티즌 가든(Artisan Garden) 부문 최고상과 금상을 동시에 수상해 전 세계 정원마니아들을 놀라게 했던 황지해 작가. 한국인 최초의 수상자이자 첼시 플라워쇼 사상 처녀 출전으로 수상자가 된 유일한 인물인 그녀가 2012년 또다시 세간의 주목을 끌었다. 올해 또다시 출전한 첼시 플라워쇼에서 ‘고요한 시간: 비무장지대 금지된 정원(Quiet Time: DMZ Forbidden Garden)’으로 쇼가든 부문(200㎡ 규모 대형정원)에서 금상을 수상하여 2회 연속 진출, 2회 연속 금메달 수상이라는 기록을 세운데 이어, 영국왕립원예협회 회장상의 초대 수상자가 되는 등 첼시 180여 년의 역사를 통틀어 찾아보기 힘든 진기록을 세운 것. 특히, 올해 신설된 영국왕립원예협회 회장상은 첼시 전체 참가자 800여 개 기관 중 최고작에게 수여되는 명예로운 상으로, 한국정원이 첫 수상작이 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와 전통, 기록을 중시하는 영국사회에서 또 한 번의 이변을 만들어 낸 점은 황지해 작가만의 능력이자 한국문화계에 큰 쾌거가 아닐 수 없다.“저에게 이런 소중한 마음을 써주신 분들께 먼저 감사드립니다. 더 열심히 하라는 권유와 격려라고 생각하고 주어진 자리에서 더욱 성실한 자세로 임하겠습니다. 드러나지 않은 곳에서 진실 되게 살아가는, 가난하지만 부유한 예술가들과 그리고 우리 조경인들과 이 기쁨을 함께 하겠습니다.” 2012년 이례적인 수상기록을 세워 “디테일의 귀재”, “세계 가드닝의 흐름을 자연주의로 회귀시키는 중요한 전환점”, “첼시 역사상 가장 창조적인 작품 중 하나” 등의 찬사를 받으며 전 세계 언론을 떠들썩하게 했던 황지해 작가. 이젠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정원디자이너로 자리매김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수상보다 올해의 조경인 수상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순박한 미소를 전하는 그녀는 과연 조경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지 문득 궁금해졌다. 조경, 정원 그리고 정원문화“자연과 함께하는 조경가가 가장 본질적이고, 현실적이며, 열정과 미래를 향한 혜안을 가진 사람들이라 생각해요. 잃어버린 가치와 화해하고 회복시키는 작업이 조경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조경분야는 균열과 상처가 있는 곳에 영혼을 어루만질 수 있는 안식처를 제공해 주는 세상에서 가장 고상한 언어로 말하는 분야라 할 수 있지 않을까요.”그녀의 말에서 정원과 조경에 그녀 스스로 부여한 높은 이상과 가치를 느낄 수 있었다. 국제대회에서의 수상은 당연히 이러한 생각에 황 작가만의 풍부한 감성과 예술적 재능이 더해져 아름다운 작품으로 승화된 결과지만, 사실 첼시 플라워쇼나 국제정원박람회에 나가는 것은 하나의 정원을 조성하는 ‘공사’의 개념이기에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주제를 정하고 디자인을 도출해, 컨셉에 맞추어 국내에서 반출한 식물의 개화시기를 맞추는 등 기술적인 부분은 물론이고, 정원문화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요원한 한국의 사회적 상황에서 함께 출전할 스폰서에 대한 부담까지 떠안아야하는 실정이다 보니 참가하는 작가 1인에게 부과되는 부담은 상상 그 이상이다. “지난해 해우소를 마치고 스폰서와 지속적인 연락과 타진을 해나갔습니다. 올해 사이트 배정이 확정되었고, 긍정적으로 추진되고 있었는데, 순탄히 진행되다가 믿고 있었던 마지막 스폰서까지 잃게 되어 한동안 공황상태였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광주시장님을 비롯해 남광건설, 호반건설 등 지역의 기업들과, 런던의 펜셔너들과 한국전 참전용사들이 마음을 모아주어 70명의 기부자와 함께 DMZ Garden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순수하게 작품에 집중하는 것만으로도 어려운 상황에서 기술이나 체력적인 문제보다 예산과 관련한 어려움이 더욱 크고, 출품무산위기에 대한 불안감에 얼마나 마음을 졸였을지 크나큰 압박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하지만, 2011, 2012년 첼시 플라워쇼의 연속 수상 및 2012년 최고상 수상은 물론, 첼시 플라워쇼 수상 경력을 가진 세계 각국의 정원 디자이너들이 세계 최고의 자리를 두고 경쟁을 벌이는 2012 일본 가드닝 월드컵 초청 및 수상, 2013년 쇼몽국제정원박람회 초청 등 자그마한 체구에 가냘픈 몸의 동양 여성이 세계 언론을 집중시키고 유럽 정원분야에 한류를 이끌고 있는 그녀의 모습에서 앞으로 한국 정원문화와 산업의 관심을 끌어올릴 촉매제이자 밝은 청사진이 보이는 듯하다. 작가 황지해의 꿈황지해 작가는 현재 (주)뮴의 대표로서 국내에서의 본업에 충실하면서도 국제대회들에 대한 관심도 늦추지 않고 있으며, 2012년 첼시 플라워쇼 출품작인 DMZ Garden이 퀸 엘리자베스 올림픽파크에 영구적으로 유치됨으로써 정원이 평화의 메신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적인 활동과 노력도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 “지금도 꿈이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어려서 막연하게 작가가 되고 싶었는데, 막상 작가라는 말을 듣다 보니 부끄러워지더군요. 글 쓰는 작가들은 고전이 되는 명서를 남기는데, 저는 글 쓰는 것이 서툰 대신 좋은 책 한 권 같은 정원을 만들고 싶습니다. 정원이 문화와 산업에 있어 두루 중요한 원론적인 이유는 정원이 선진사회 구성원들의 삶의 로망이자 라이프스타일을 이끄는 문화예술의 결정체이기 때문 아닐까요.” 한국의 정원문화 확산을 위해 경제적이고 정치적인 문제와 상관없이 뛰어난 감성과 실력을 겸비한 잠재되어있는 작가들의 생각과 표현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황지해 작가는 현재 우리 정원문화의 한 단계 비상을 꿈꾸며 순천만정원박람회에 집중하고 있는데, 다가오는 순천박람회가 그런 계기의 시작이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갖고 있다. 그 누구보다도 분주했던 올 한 해를 마무리하고 있는 그녀의 꿈과 열정에 이번 제15회 올해의 조경인 수상이 모든 조경인들의 기대와 응원으로 더해져 한류 조경작가로서의 정원문화 외교에 보다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원동력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Take Urban in 72 Hour
- 72시간 속의 키워드 시민과 함께한 72시간서울시(푸른도시국 조경과)는 지난 11월 2일부터 4일까지 72시간에 걸쳐 ‘의자를 설치하라’는 주제로 ‘Take Urban in 72 Hour’ 프로젝트를 도입해 국내에 첫선을 보였다. 박원순 시장(서울특별시)이 제안한 이번 행사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72 Hour Urban Action’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72시간 동안의 작업 과정을 시민들과 함께하고, 설계부터 완공까지 전 과정을 SNS를 통해 생중계함으로써 시민들과의 소통에 가장 중점을 두고 개최되었다.행사를 기획한 배호영 과장(푸른도시국 조경과)은 조경전문가와 시민들이 만나서 같이 공간을 만드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조경을 대중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시민들과의 소통을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의자를 설치하라’는 미션이 주어졌다. 의자라는 제품을 만드는 작업이라면 실내공간 어디서든 디자인해서 생산해내면 되는 작업인데 “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의자를 이용한다는데 조금은 의아함이 들 수도 있다. 그런데 참가팀들에게 주어진 미션은 단순히 의자를 제작하는 것이 아닌, 의자를 ‘설치하라’는 것이었다. 10개의 대상지를 선정하여 각 팀들에게 공간에 적합한 의자를 설치하라는 조건이 주어졌다.이러한 작업은 사실상 조경 작업과 다르지 않다. 대상지를 분석하고 이용자를 고려하여 공간의 성격에 맞는 내용을 넣고, 적합한 시설물을 배치하는 작업이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사실상 휴게공간을 만드는 하나의 외부공간 설계 프로젝트였다. 서울시에서 시민들이 이용하는 외부공간 조성 작업을 시민들과 함께함으로써 시민들과 소통하고, 조경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는 것은 놀라운 발전이다.소통을 위한 다양한 고민들각 팀들은 각자 특화전략을 통해 의자를 설치하여 각각 도드라진 특성을 보였지만, 그 기저에는 소통을 위한 고민이 깔려있다. 최우수작인 ‘잠 못드는 금토일’ 팀은 소통의 키워드를 ‘가족’과 ‘이웃’에서 찾고자 했다. 시대의 변화로 서로간에 대화의 기회가 줄어들면서 잃어버린 관계성을, 함께 무언가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회복하고자 했다. ‘모두가 꿈꾸는 의자’ 팀은 소통의 고리를 파이프라는 소재가 갖는 속성에서 찾고자 하였다. 지하와 지상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파이프라는 소재의 의미를 지상으로 끌어냄으로써 소통이라는 키워드를 끌어내었다. ‘STUDIO terra’ 팀의 김아연 교수서울시립대는 ‘커뮤니티 디자인’과 관련한 작업을 많이 수행했던 만큼 시작부터 시민들의 참여를 어떻게 끌어올릴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다고 한다. 그래서 ‘희망 물고기 낚시터’는 조성과 이용에 있어 시민들이 재미를 느껴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40120’ 팀은 공간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회적 디자인 개념의 시스템적인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했는데, 이를 통해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에는 성공했지만 소규모의 휴게공간을 통해 수익창출 시스템을 담아내기엔 미흡했다는 아쉬움을 남기기도 하였다.이번 프로젝트에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하나의 팀을 이루어 “협업”이라는 형태로 작업을 진행한 모습이 많이 나타났는데, ‘설계공동체 자작’ 팀과 ‘모두가 꿈꾸는 의자’ 팀은 조경과 건축이 공동으로 작업했고, ‘40120’ 팀은 건축, 시각디자인, 경영학과 학생들과 전문가들로 팀을 구성했다.특히 OF’er 팀은 디자이너, 화가, 가구전문가 외에도 홍보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구성원의 명함과 현수막을 따로 제작하고, 페이스북을 개설하여 사전홍보에 주력한 점이 눈길을 끌었는데, 이외에도 “72시간 프로젝트 과정을 동영상으로 만들어 사후홍보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전했다.수상팀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하나의 공통분모를 찾아볼 수 있다. 바로 “조경”이라는 키워드이다. 최우수팀인 ‘잠 못드는 금토일’은 국내 대표조경가 중 한 사람(주)씨토포스 최신현 대표이 팀장을 맡고, 팀원들 또한 조경가 및 그 가족 친지들로 구성되어 있다. 우수팀인 ‘Livestory라이브스토리’는 조경가인 유승종 대표(주)라이브스케이프가 팀을 이끌었고, 또 다른 우수팀인 ‘모두가 꿈꾸는 의자’는 대부분의 팀원들이 조경학과 출신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조경가가 외부공간을 조성하는 작업에서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증명하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조경의 대중화, 한발 앞으로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게릴라 프로젝트인 ‘Take Urban in 72 Hour’는 많은 이들의 호응 속에 성공적으로 종료되었다. 하지만 첫 시도인 만큼 아쉬운 점도 있었는데, 특히 조경가들의 참가가 예상보다 저조했다는 의견들이 많았다. 최신현 대표는 “대중과 만날 수 있는 이런 자리를 통해 외부공간 접근에 대한 조경분야만의 차별화된 방식으로 전문성을 보여주어야 비로소 조경의 가치를 시민들에게 널리 인정받을 수 있다.”며 조경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구했다. 또한 “실제로 이용될 공간을 만드는데 72시간이라는 제한시간은 안전성이나 작품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는데, 행사 시작 전 사전작업이나 사후 정비시간이 따로 주어진다면 보다 완성도 높은 작품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동네의 자투리 공간이다 보니 작업 중 마땅히 쉴 공간이 없어 난감하였다.”는 의견과 “봄이나 시민들이 외부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은 다른 계절에 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번 행사는 비교적 짧은 준비기간을 가지고 개최되었고,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었기 때문에 미흡한 점도 있었다. 누군가는 시간을 가지고 내년에 시작했으면 되지 않겠느냐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Take Urban in 72 Hour’의 역할을 생각한다면 올해 첫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내년에는 더욱 완성도를 높일 수 있어, 조경의 대중화를 앞당기고자 한 주최측의 의지가 돋보인다. 한편 ‘Take Urban in 72 Hour’의 참가팀들은 소통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전략들을 동원해 ‘의자 설치’ 작업에 착수했는데, 본지는 참가작들을 크게 ‘기능Function’과 ‘소재재료, Material’ 그리고 ‘이야기Story’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구분해 소개하고자 한다. 완공된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살펴봤을 때 의자의 가장 원초적인 휴식이라는 “기능”에 주목한 팀이 있는가 하면, 작품을 통해 자신들이 가진 좋은 기억을 시민들과 공유하거나 시민들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 팀이 있었다. 그리고 전혀 다른 용도, 다른 장소에서 쓰이는 “소재”를 이용하거나 새로운 소재를 선보인 팀도 있었다. ‘의자 설치’라는 작업을 통해 휴게공간이 직접 시민들에게 다가가 72시간 동안 만들어낸 이야기, 그 속에 담긴 키워드를 작품을 통해 만나보자.
- 2012 대한민국 조경문화제
- 조경인의 한마당 축제 조경계의 연중 가장 큰 행사이자 조경인 축제 한마당 ‘2012 대한민국 조경문화제’가 지난 10월 22일부터 26일까지 다양한 행사와 범조경계의 참여로 개최되었다. 그동안 ‘조경주간’으로 불리던 것을 2010년부터 ‘대한민국 조경문화제’로 승격하여 타 분야와의 소통을 공표하는 중요한 계기로 삼고 있다. 올해 조경문화제는 제9회 조경의 날 기념식, 제6회 대한민국 조경대상 시상식, 제9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시상식 및 전시회, 2012 조경인 골프대회, 2012 (사)한국조경학회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2012 추계학술답사로 진행되었다. 이제는 조경인의 축제로 자리잡은 ‘2012 대한민국 조경문화제’ 소식을 간추려 전한다. _ 편집자주 10월 22일(월) _ 제9회 조경의날 기념식, 제6회 대한민국 조경대상 시상식10월 23일(화) _ 제9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시상식 및 전시회10월 24일(수) _ 2012 조경인 골프대회10월 26일(금) _ 2012 (사)한국조경학회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 이재영(경기도시공사 사장)
- Lee, Jai Yeong(President of Gyeonggi Urban Innovation Corporation “기존 개발 위주의 도시건설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주민의 삶터와 일터를 경관적으로 아름답고 환경적으로 친밀하게 가꾸는 도시로 조성해야 하며 이러한 노력에 조경분야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지난 10월 22일 조경의날 기념식에서 경기도시공사가 제6회 대한민국 조경대상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조경관련 정책 및 조경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공을 인정받은 것인데, 수상자인 경기도시공사 이재영 사장을 만나 수상소감 및 조경정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보통 공익이 사익에 우선한다고들 말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공익은 상당히 추상적인 개념인 반면 사익은 굉장히 구체적으로 표출되기 마련이다. 그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것이 제일 어려우면서도 중요한 관건이다. 결국 공익을 위한 정책 추진은 공익의 적정점이 어디인지를 파악하고 이를 결정하여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경제 및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일이 많아졌다. 그만큼 주민들의 의견을 수용하면서도 보다 나은 상생의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올바른 정책 추진의 의지가 중요해졌다. 따라서 정책 추진자들이 전문성을 확보해야 함은 물론 주민과 기업 등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의견 조율 등의 선행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남원 몽심재
- Namwon Mongsimjae 남원 몽심재는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내호곡2길 19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숙종 시기 연당 박동식이 지은 호남 상류층 살림집의 전형이다. 면적은 2,253㎡로 경사진 지형을 활용한 건축물로서 현재 안채, 사랑채, 문간채 등이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1984년 1월 14일 중요민속자료 제149호로 지정되었다. Namwon Mongsimjae which is located in 19, Naehogok2-gil, Suji-myeon, Namwon-si, Jeollabuk-do is 2,253㎡ area. It is the representative Mongsimjae that was constructed of wood in 18C that was given by the Park dong sik(1753~1830). The aesthetics of adaptation is connected spatially, topographically and functionally with Sarangchae, Munganchae and Pond. It was appointed as a Important Traditional Cultural Assets No.149 in 14th, January, 1984.
- 다니엘 스토우 식물원
- Daniel Stowe Botanical Gardens 세상을 위한 한 자선가의 선물 노스캐롤라이나의 가장 큰 도시 샬럿(Sharlotte)에서 자동차로 30분 정도 거리에 있는 다니엘 스토우 식물원은 1999년 10월에 문을 연 비교적 새내기 식물원이다. 하지만 식물원이 만들어지게 된 이야기와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알게 된 후, 이곳이 오랫동안 준비하고 기다려온 한 사람의 꿈이 만들어낸 정원이며,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계속해서 성장하게 될 식물원임을 알게 되었다.마치 거대한 궁전의 입구처럼 웅장한 자태를 자랑하는 다니엘 스토우 식물원의 방문자센터는 이른 아침 아직 많은 사람들이 찾지 않아 고요하기만 한 식물원을 더욱더 신비롭게 만들어 주었다. 저 문을 지나면 무엇이 나올까? 잔뜩 기대에 부푼 마음으로 시작한 식물원 투어는 좋은 정원을 찾을 때면 언제나 그렇듯이 한 걸음 한 걸음 새로운 감동과 발견으로 이어졌고, 필자는 어느새 꽃과 나비들이 가득한 정원의 한 가운데서 자연이 내뿜는 깊고도 깨끗한 숨소리에 몰입하고 그 아름다움을 탐닉할 수 있었다. 식물원의 설립자인 다니엘 스토우(Daniel J. Stowe, 1913~2006)는 원래 농업을 주업으로 삼았던 집안에서 태어나 가족들과 함께 1930년대에 직물 제조업을 시작하여 50년 동안 회사의 경영을 맡았다. 스토우 밀스(Stowe Mills)라는 이름의 이 회사는 노스캐롤라이나의 가장 크고 유명한 직물 제조 회사였다. 은퇴 후 그는 1991년 78세 생일을 맞이하여 식물원 조성에 대한 뜻을 밝혔고, 곧이어 자연 그대로의 초원 지역을 비롯한 숲지대 등 1.6제곱킬로미터에 이르는 부지와 함께 1,400만 달러의 자금을 식물원 조성을 위해 내놓았다. 그는 이 식물원이 향후 40년 동안의 정원 조성을 거쳐 국제적으로 이름을 떨칠 만한 식물원이 될 수 있도록 마스터플랜을 마련하였는데, 여기에는 그의 아내 알렌(Alene), 다니엘 스토우 식물원의 첫번째 디렉터가 된 윌리엄 스틸(William L. Steele), 애틀랜타 식물원(Atlanta Botanical Gardens)의 디렉터였던 앤 크램먼드(Ann Crammond), 듀크 전력회사의 회장 윌리엄 리(William Lee), 그리고 조경가 지오프리 로(치Geoffrey Rausch) 등의 도움이 있었다.
- 세종시 중앙녹지공간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 2
- The Master Plan and Schematic Design for Central Open Space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홍수기와 갈수기의 하천 수위변동폭이 세계 최고치에 근접하는 한국의 자연환경에서 하천의 제방이란 생활기반의 안정과 안전을 위해 반드시 유지해야 하는 시설로 인식되어왔고 현재도 그러하다. 수많은 홍수와 태풍을 경험해 온 우리에게 하천이란 생명보다 방재의 의미가 더 큰 목소리를 내어왔다. 많은 비용을 들여 조성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해 온 제방의 철거를 주장한다는 것. 변화를 제시한 것만큼 그에 대응하는 충분한 설득과정과 검증과정이 필요했기에 프로젝트의 시작 단계부터 한편에서는 철회와 변경을 요구받고 다른 한편에서는 계획을 유지하도록 권고받는 상황이 장기적으로 지속되었다. 당선작 선정 이후에 논란의 원인을 제공한 것도 어느 정도는 예견되었고 반대의견 역시 충분히 근거가 있는 의견으로서 당연하게 받아들여야 할 입장이었다. 팀 내부적으로도 단순히 당선작에 반영된 내용이기 때문에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고집하기보다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검증요구에 기꺼이 응하여 풀어나가야 하는 것이 합리적인 프로세스라고 판단하였다.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보다 완화된 표현이 필요하였기에 ‘제방의 철거’는 ‘제방의 후퇴’ 라는 표현으로 대체되었다. 제방의 후퇴에 대한 검증과 설득과정은 2007년 8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만 1년이 소요되었고 2008년 8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청장의 승인을 득하였다. 승인 당시에는 변화의 물꼬를 텄다는 생각과 당선안의 주요전략을 현실화하는데 가장 어려운 고개를 넘기 시작했다는 팀 내부의 자평이 있었지만, 이어진 새 정부의 4대강 사업의 시범 사업 대상지로 중앙녹지공간 금강구역이 선정됨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승인이 철회되어 중앙녹지공간 전체 계획에 대한 조정과 변경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승인의 철회는 현실에 비추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다만 4대강 사업이 완료된 현재 시점에서도 이 땅과 물이 만나는 일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촉발될 많은 가능성들이 여전히 살아있기에 먼 미래의 변화를 희망하며 애써 ‘절반의 계획’ 이라는 소제를 달아 보았다.
- 화성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 1단계 조경기본 및 실시설계 공모
- The Design Competition for Dongtan (2) District Land Development Phase 1 LH는 지난 10월 ‘화성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 1단계 조경기본 및 실시설계 공모’의 당선작을 발표했다. 이번 공모는 ‘자연과 인간, 첨단기술의 어울림’이라는 테마를 중심으로 화성동탄(2) 신도시를 지속가능한 자립형 생활도시로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시행되었다. 당선작인 ‘숲, 개울, 길, 풍경이 만드는 동탄그린인프라’는 산경(山經), 수경(水經), 수기(修己), 승경(勝景)의 네 가지 테마를 전체 대상지에 일관되게 적용하고, 풍부한 수계 및 산지의 자연환경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지역의 정체성을 잘 담아낸 것으로 평가되었다. _ 편집자주 위치 _ 경기도 화성시 석우동, 반송동, 동탄면 일원규모 _ 약 997,833㎡발주 _ LH(한국토지주택공사) 당선작숲, 개울, 길, 풍경이 만드는 동탄그린인프라(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동부엔지니어링(주)+(주)유신 설계참여자 _ 박명권 대표이사, 송영탁 부소장, 하태우, 도유경, 김애경, 이윤영, 최정주, 전주희, 손민아, 윤창락, 장지혜, 정광조((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조의섭 부사장, 채선엽 전무, 이대훈, 김지현(동부엔지니어링(주) 조경부) / 유만재 전무, 김석기 이사, 이현진, 윤진호, 정규현(유신(주)) 지형도나 위성영상을 보면 5산6수(五山六水)로 대표되는 경기도 화성시 동탄2지구가 매우 한국적인 공간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눈치 챌 수 있다. 학창시절, 동고서저(東高西低)니 배산임수(背山臨水)니 하는 한국의 지리특성이나 마을의 조형원리에 대해 한번쯤 들어보지 않은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 산하(山河) 어느 곳이든 위의 조건에 크게 어긋나는 지역과 마을이 있을까마는 동탄이 특별한 이유는 새로 조성해 만들어 나가야하는 신도시이기 때문이다. 합리와 효율, 경제논리에 따라 산허리가 잘리고 물길이 바뀌어 결국 도로와 지번만이 도시를 규정하는 국적불명의 기존 신도시 개발과 궤를 달리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겨있다. 개발이 완료된 이후에도 5산6수가 동탄의 정체성에 기여하고, 주민의 생활에서도 여전히 의미를 가질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다.
- 화성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 1단계 조경기본 및 실시설계 공모
- The Design Competition for Dongtan (2) District Land Development Phase 1 LH는 지난 10월 ‘화성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 1단계 조경기본 및 실시설계 공모’의 당선작을 발표했다. 이번 공모는 ‘자연과 인간, 첨단기술의 어울림’이라는 테마를 중심으로 화성동탄(2) 신도시를 지속가능한 자립형 생활도시로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시행되었다. 당선작인 ‘숲, 개울, 길, 풍경이 만드는 동탄그린인프라’는 산경(山經), 수경(水經), 수기(修己), 승경(勝景)의 네 가지 테마를 전체 대상지에 일관되게 적용하고, 풍부한 수계 및 산지의 자연환경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지역의 정체성을 잘 담아낸 것으로 평가되었다. _ 편집자주 위치 _ 경기도 화성시 석우동, 반송동, 동탄면 일원규모 _ 약 997,833㎡발주 _ LH(한국토지주택공사) 당선작숲, 개울, 길, 풍경이 만드는 동탄그린인프라(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동부엔지니어링(주)+(주)유신 설계참여자 _ 박명권 대표이사, 송영탁 부소장, 하태우, 도유경, 김애경, 이윤영, 최정주, 전주희, 손민아, 윤창락, 장지혜, 정광조((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조의섭 부사장, 채선엽 전무, 이대훈, 김지현(동부엔지니어링(주) 조경부) / 유만재 전무, 김석기 이사, 이현진, 윤진호, 정규현(유신(주)) 지형도나 위성영상을 보면 5산6수(五山六水)로 대표되는 경기도 화성시 동탄2지구가 매우 한국적인 공간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눈치 챌 수 있다. 학창시절, 동고서저(東高西低)니 배산임수(背山臨水)니 하는 한국의 지리특성이나 마을의 조형원리에 대해 한번쯤 들어보지 않은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 산하(山河) 어느 곳이든 위의 조건에 크게 어긋나는 지역과 마을이 있을까마는 동탄이 특별한 이유는 새로 조성해 만들어 나가야하는 신도시이기 때문이다. 합리와 효율, 경제논리에 따라 산허리가 잘리고 물길이 바뀌어 결국 도로와 지번만이 도시를 규정하는 국적불명의 기존 신도시 개발과 궤를 달리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겨있다. 개발이 완료된 이후에도 5산6수가 동탄의 정체성에 기여하고, 주민의 생활에서도 여전히 의미를 가질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다.
- 서울 고덕강일 보금자리주택지구 조경설계 현상공모
- The Design Gcompetition for Godeok․Gangil Bogeumjari Housing Area 지난 10월 말 서울 고덕강일 보금자리주택지구 조경설계 현상공모의 최우수작이 발표되었다. 이에 따라 추정공사비 약 423억 원, 추정용역비 약 13억 원의 기본․실시 설계권은 ‘도시에 스며든 나눔의 풍경, Osmotic Parks’를 제출한 (주)성호엔지니어링과 서인조경(주)에게 부여되었다. 최우수작인 ‘도시에 스며든 나눔의 풍경, Osmotic Parks’는 외부의 변화에 대응하며 주변과의 균형을 통해 항상성을 유지하는 삼투작용을 컨셉으로, 다변화하는 도시문화와 공원의 동적균형을 맞추는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_ 편집자주 위치 _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강일동․상일동 보금자리주택지구규모 _ 약 502,722㎡발주 _ SH공사 최우수작도시에 스며든 나눔의 풍경, Osmotic Parks(주)성호엔지니어링+서인조경(주) 설계참여자 _ 이유경 대표, 최기호 부사장, 박병현, 권진온, 김범준((주)성호엔지니어링)/한선아 대표, 박영준 소장, 이현정, 박협, 김송이, 김은지, 양우성(서인조경(주)) 한강이 만들어준 비옥한 평야, 어린 시절 놀이터가 되어주던 마을 뒷동산, 마음의 위안이 되어주던 소나무 숲… 이 정감어린 옛 마을의 풍경 속에서는 언제나 혼자가 아닌 누군가와 함께하는 나눔의 풍경을 떠오르게 한다. 과거의 기억을 간직한 공원과 새로운 도시, 기존 마을사람들의 옛 추억과 신도시 입주민의 미래에 대한 설레임 등 이질적 간극들에 능동적 균형을 이루기 위해 삼투성을 지닌 공원을 제안한다. 공원의 삼투작용을 통해 사라진 옛 마을의 정감어린 풍경들이 새로운 도시로 스며들어 새로운 나눔의 풍경을 만들어갈 것이다.
- 레이스 거리 부두
- The Race Street Pier 레이스 거리 부두는 델라웨어강 수변공간 위원회(Delaware River Waterfront Corporation, DRWC)가 야심차게 마련한 델라웨어 강변 종합계획의 하나로, 델라웨어강 중심수변공간에 새롭게 실현된 최초의 공공공간이다. 제임스코너 필드 오퍼레이션에서 설계한 이 부두는 도시와 강을 다시 연결해주는 강력한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고, 수변을 활성화하며 필라델피아 시민들을 위한 독특하고 새로운 공공 공원으로서의 부두가 되었다. 당초 시립 11번 부두였던 이곳은 레이스 거리 부두라는 이름으로 개명하고 도시와의 관계를 좀 더 강화함과 동시에 역사적인 옛 이름을 다시 찾게 되었다. 당초의 레이스 거리 부두의 공사는 1896년 시작되었다. 이 공사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2층으로 구성된 큰 건물공사를 포함하고 있었는데 아래층은 선박을 위한 곳이고 위층은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이러한 과거를 반영하는 의미로, 새로 조성된 물리적인 설계안은 두 개 층으로 나누어 계획되었다. 위쪽은 장대한 스카이라인을 따라가는 산책로가 있고 아래쪽은 소극적인 레크리에이션과 사회적인 모임을 위한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역동적인 경사로는 벤자민 프랭클린 다리의 북쪽면을 따라 12피트정도 공중으로 들려 있는데 일정 지점에서 보는 전망을 통해 강변 공간에 도달하고 도시를 향해 뛰어난 경관을 보여주는 감각적인 느낌을 극적으로 보여준다. 햇볕이 충만하게 내리쬐는 아래쪽 테라스의 다목적 잔디밭은 식재지와 앉을 곳을 제공한다. 두 개 층으로 이루어진 이곳은 완만한 앉을 곳이 있는 테라스와 연계되어 있는데 이들은 부두 끝을 감싸며 가장자리와 어울리는 마법 같은 감각을 증폭시켜준다. Landscape Architecture _ James Corner Field OperationsDesign Team _ James Corner, Lisa Switkin, Jayyun Jung, Yoshi Harada, Kimberly CooperConsultants _ Langan Engineering, CHPlanning, VJ AssociatesClient _ Delaware River Waterfront Corp.Location _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Area _ 1 AcrePlanning _ 2009~2010Completion _ 2011Editor _ Son, Seok BeomTranslator _ Seo, Hwa Hyun The Delaware River Waterfront Corporation (DRWC) along with Mayor Nutter officially opened the new Race Street Pier, the first new public space of its kind on the Central Delaware River Waterfront to be realized as part of DRWC’s ambitious new Master Plan for the Central Delaware River Waterfront. Designed by James Corner Field Operations, the Pier will create a strong physical experience that reconnects the City to the River, activates the water’s edge and establishes the pier as a distinctive new public park for the people of Philadelphia. Formerly Municipal Pier 11, the pier was renamed as the Race Street Pier to further reinforce its relationship to the City and reinstate its historic name. Construction of the original Race Street Pier began in 1896 including a large building built on two levels to serve different functions; the lower level for shipping and the upper level for recreation. As a nod to its past, the physical design of the new pier is split into two levels ― an upper level with a grand sky promenade and a lower level for passive recreation and social gathering. A dramatic ramp rises twelve feet into the air along the north face of the Benjamin Franklin Bridge, dramatizing the sense of arriving in the space of the river through a forced one-point perspective and allowing for rare views back to the City. A sun-filled lower terrace supports a multi-purpose lawn, planting beds and seating. The two levels are linked by a generous seating terrace that wraps around the end of the pier and amplifies the sense of magic associated with being on the edge.
- 아모레퍼시픽 뷰티사업장 원료식물원
- AMOREPACIFIC Beauty Campus Botanical Garden 몇 가지 익숙한 문법이 있었다. 구획된 경계를 따라 견고한 담장을 쌓고 담장 앞뒤에 차폐기능이 뛰어나고 공해에 강한 상록의 수벽을 만든다. 사람들의 출입을 경계하고, 시선을 차단한다. 넓은 잔디밭은 군대의 연병장을 연상케 하고, 단차를 이용하여 만든 스탠드는 일시에 모이고 흩어지는 단체행사에 유리한 모양새를 갖는다. 경계는 두터울수록 좋고, 여기에 시설녹지 혹은 완충녹지라는 별칭을 붙이기도 했다. 우리는 흔히 이런 종류의 작업을 ‘공장조경’이라고 불렀던 적이 있었다. 아모레퍼시픽은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제품들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설화수, 마몽드, 이니스프리, 아이오페, 헤라 등의 화장품 브랜드로 잘 알려져 있다. 오산시 외곽에 조성된 가장산업단지에 입주한 뷰티사업장은, 이들 브랜드의 제품들을 만들어내는 생산시설과 물류시설을 통합한 대규모 산업시설지다. 과거의 공장들과는 달리 첨단시설이 고도화된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장산업단지의 절반 이상을 이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산업시설지를 제외한 녹지 면적이 8만 2천 제곱미터에 이른다. 결국 이 사업장의 조경공간의 질이 전체 산업단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사업장의 일부는 사무행정기능, 전시공간, 강의실, 직원들이 사용하는 식당, 휴게실, 스포츠 시설들로 이루어진 복합문화공간의 성격을 갖는다. 그리고 이 복합문화공간의 전면부에 넓은 녹지공간이 펼쳐지는데, 이 영역이 이번 설계 작업의 대상이 되는 곳이었다. 녹지공간의 폭은 대략 80여 미터, 길이는 거의 500미터에 이른다. 이 전체공간을 통칭하여 ‘원료식물원’이라고 부르기는 하지만 기능적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Landscape Architect _ Jeong Young Sun(SeoAhn Total Landscape Co.)+Park Seung Jin(design studio loci)Design Team _ design studio loci(Park Seung Jin, Kang Young Gul, Yoon Il Bin, Kim Soo Min)Architect _ Kim Jong Kyu(K-ARTS)+M.A.R.U.Location _ Gajang Industrial Complex, 0san-si, Gyeonggi-do, KoreaArea _ About 230,000㎡(Total site area)Construction Supervision _ Kim E Sun(SeoAhn Total Landscape Co.)Construction _ Daelim Industrial Co. Ltd.Landscaping _ HANDSEL Green Co. Ltd., Jangwon Landscaping Co. Ltd., Soo Ji Won Landscape Maintenance _ Han Kweon Young, Oh Kyu Cheol, Kim Jong MoonCompletion _ 2012. 6Photograph _ Park Seung Jin(design studio loci)Editor _ Son, Seok BeomTranslator _ Ahn, Ho Kyoon Located at Gajang Industrial Complex on the outskirts of Osan City, Amorepacific Beauty Campus is a large-scale industrial installation integrating a cosmetic products manufacturing plant and a logistics facility. Unlike factories constructed in the past, it is a combination of state-of-the-art facilities equipped with an advanced operation system. The area of a green space on the site is 82,000 square meters, and the quality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Beauty Campus has a great effect on that of the entire Industrial Complex. A part of the campus serves as a multi-cultural space for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exhibitions, lecture rooms, a cafeteria, and fitness facilities. In front of this multi-cultural building is a huge green space of about 80 meters in width and 500 meters in length, which is the location of the design project. The whole area is called ‘raw material botanical garden,’ and i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functional sections. The front of the headquarters, which takes up the largest area, is bisected by linear, narrow waterways into the upper and the lower section. The former is adjacent to the building, where gingko and maple trees were transplanted from the old manufacturing facilities in Suwon,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employees to be reminiscent of past. There are some works made of the recycled parts from production equipment, making distinctive atmosphere. The latter is 1 meter lower than the upper section with the road creating openness and the plants used as raw material being grown in the garden.
- 제15회 올해의 조경인 [학술분야]: 황기원
- Hwang, Kee Won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교수 『경관의 해석-그 아름다움의 앎』의 출판기념식에서 황기원 교수를 처음 만났다. 몸이 불편하니 힘들 법도 한데 언제나 유머 섞인 말투는 오히려 주변 사람들을 편안하고 웃게 만들기까지 했었다. 올해의 조경인 수상자 인터뷰차 찾아간 황기원 교수는 지난해보다 훨씬 편안해 보였다. 스승으로서, 학자로서, 지난 세월 탁월한 조경가의 능력을 보여준 조경 프로젝트까지 황기원 교수의 업적은 ‘제15회 올해의 조경인’ 학술부문 수상자로서의 자격이 충분하다고 심사위원회는 평가했다. “자벌레처럼, 평생 학생들과 걷고 또 걸었습니다. 그뿐입니다. 힘이 되어준 가족과 제자들에게도 감사합니다.” 역경의 순간, 그리고 다시 강단으로서른셋. 처음 서울대 환경대학원에 부임할 당시 황기원 교수의 나이이다. 무척이나 젊은 시절 교단에 올라 교직의 길을 걸어와 이제 곧 정년(2013년 2월)을 앞둔 황 교수의 학창시절 별명이 재미있다. 하버드 설계대학원에서 조경과 도시설계를 전공할 당시, 황 교수의 별명은 ‘프로페서(Professor, 교수)’였다. 세계의 인재들이 모인 하버드에서 ‘프로페서’라는 별명으로 석사과정을 지냈으니, 그의 박식함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높은 경쟁률을 뚫고 록펠러 장학생으로 선발되기도 했다. 2006년 10월, 누구보다 학자로서, 스승으로서, 조경가로서 정진해오던 황기원 교수에게 청천벽력 같은 사건이 발생했다. 리투아니아에서 열린 30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2006년 7월)에 참석했을 때 풍토병에 걸린 것이다.이를 알지 못한 채 제주도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쉴 새 없이 바빴던 황 교수였다. 몇 개월간 방치한 게 화근이 되었고 결국 심장수술과 뇌수술을 견뎌내야만 했다. 다시 강단에 설 수 있었지만 휠체어의 도움을 피할 수는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단에 다시 서겠다는 그의 의지를 누구도 꺾을 순 없었다. 2008년 다시 학교로 복직했고 가족과 연구실 제자들의 도움으로, 무엇보다 본인 스스로의 의지로 열정적인 강의를 이어가고 있다. 긴 시간동안 강의를 이어가자니 체력적인 한계에 부딪히기도 하지만 제자들과 함께할 수 있다는 생각은, 또 올해가 마지막 학기라는 사실이 황기원 교수를 ‘일찍 일어나는 새(early bird)’로 만들고 있다. 조경가 황기원, 학자 황기원기억에 남는 작품 중 파리공원을 꼽았다. 애착도 애착이려니와 한국 조경사에서 파리공원이 차지하는 가치를 인정하기 때문이다. 일화가 하나 있는데, 당시 파리공원을 설계하고 받은 설계비가 ‘88올림픽 경기입장권 1장’이었다. 억울하지 않았냐고 묻자 “그때 당시 염보현 서울시장과의 친분도 한몫했지만 파리공원 자체가 너무 좋아 전혀 개의치 않았다. 그 입장권 1장으로도 충분히 만족했던 것 같다.”고 말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제일로 꼽고 싶은 공원은 올림픽공원인데, 재밌는 사실은 황기원 교수가 계획하고, 제자가 올림픽공원의 리메이킹 작업에 참여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에도 올림픽공원은 황 교수의 즐거운 방문지이다. 올림픽공원, 파리공원 이외에도 소쇄원 복원설계,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박경리 문학공원 등의 유수한 조경작품들도 손에 꼽히는 작품들이다. 학자 황기원이 만든 저서 역시 빼놓을 수 없다. 최근 『경관의 해석-그 아름다움의 앎』, 『도시락 맛보기』, 『한국 행락문화의 변천과정』 등의 책을 출간했다. 『도시락 맛보기』의 경우, IMF 시절(1997년 말) 딱 한 달 만에 써내려간 책이지만, 12년 만인 2009년에 세상의 빛을 보게 되었다. 2011년 펴낸 『경관의 해석-그 아름다움의 앎』은 가르치던 과목 ‘경관의 해석’ 시간에 학생들에게 나눠준 유인물을 엮어 30여 년간 틈틈이 고치고 다듬어 저술한 것이다. 내년 2월, 교수 생활의 정년을 앞두고 그동안의 성취를 집성하기 위하여 펴낸 하나의 ‘경관’인 셈이다. 그의 30여 년의 연구가 빛을 발한 것일까? 이 책은 올해 (사)한국조경학회(회장 양홍모)가 수여하는 우수저술상도 거머쥐는 기쁨을 맛봤다. “경관을 알고 깨닫는 것을 필생의 업으로 삼고 살았습니다. 경관은 적어도 나에게는 그저 조경의 대상이 되는 차원이 아니라, 세상 그 자체, 나와 다른 이들의 삶과 불가분인 세상 그 자체입니다.” 그 뿐이랴, 고된 작업이었지만 정리를 도운 두 딸의 도움으로 나온 책이기에 의미는 더욱 깊다. 나의 자랑스러운 작품, ‘황사단’“누구보다도 더 사랑하는 제자들은 나를 선생보다는 스승으로, 스승보다는 아버지라 불러주는 아이들입니다. 황사단에 있는 이 아이들이야 말로 저의 자랑스러운 작품들입니다.” 눈치 챘겠지만 ‘황사단’은 황기원 교수의 연구실 제자들을 말한다. 즉, 황기원 교수와 함께 답사하고, 연구하고, 때로는 야단도 맞고 동고동락하며, 황기원 교수와 함께 연구실의 추억을 가득 채운 이들이다. 사실 황기원 교수는 ‘아이들’이라고 부르지만 이미 조경분야에서 덕망높고 존경받는, 소위 한가락 하는 인물들이 대부분이다. 장인은 공을 들여 명품을 만들고, 스승은 공을 들여 인재를 키워낸 것처럼 황기원 교수가 심혈을 기울인 작품은 바로 ‘제자’이다. 황기원 교수에게는 자호가 있다. ‘아이들의 벼루’란 뜻을 가진 동연(童硯)이 그것이다. 이 자호에는 황기원 교수가 가고자하는 스승의 길이 담겨있다. “처음 글을 배우는 아이들은 벼루에 먹을 가는 인내를 통해 슬기를 배웁니다. 제가 벼루가 되고 아이들이 먹이라면, 아이들은 번갈아가며 먹을 갈 테고 벼루는 계속 닳겠지요. 하지만 몸이 닳을수록 벼루 속 공간이 더욱 커지는 것도 벼루지요. 그래서 아이들이 즐겨 쓰는 벼루가 되기로 결심했지요.” 제자들이 ‘아버지’라 부를 때 가장 보람을 느낀다는 황기원 교수와 황사단은 이미 가족이다. 불현듯 사제동행(師弟同行, 스승과 제자가 함께 길을 감)이란 말이 떠오른다. 후학양성에 누구보다 매진했던 황기원 교수에게 이번 수상이 그 무엇보다 의미가 있길 바란다.
- 제15회 올해의 조경인 [산업분야]: 한용택
- Han, Yong Taek(주)이노블록 대표이사 “감사합니다. 저에게 과분한 평가를 해주신 것 같습니다. 전 직원이 합심하여 짧은 기간에 높은 성장을 이루어낸 결과에 대한 평가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제15회 올해의 조경인 산업분야에 선정된 한용택 대표는 함께 걸어온 직원들에게 수상의 영광을 돌렸다. 직원들의 발전과 창의성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고 소문난 한용택 대표다운 수상소감이다. 한용택 대표는 토목분야에 가까웠던 보도블록 시장을 조경분야로 흡수시켰고 한국의 보도문화를 한 단계 높인 친환경 보도블록의 선두주자이자 조경의 대중화, 정원문화 창달에 앞장섰다는 호평을 받으며 올해의 조경인으로 선정되었다. 한결같은 신념한용택 대표는 1985년 아버지가 운영하던 블록회사를 이어받았다. 전공과도 무관했고 외환위기 때 몇 년간 2~3억 원씩의 적자를 내다보니 두렵기만 했다는 그는 잠시 업종 전환과 폐업 사이에서 고민을 했다. “아버지가 운영하시던 블록회사를 이어받은 게 1985년입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을 운영한다는 것은 참 어려웠습니다. 외환위기 때는 정말 힘들었죠. 고민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결국 ‘난 이 길이 아니면 죽는다.’는 심정으로 다시 블록으로 승부를 보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마음을 고쳐먹고 독하게 다시 시작하니 길이 보이더군요.” 한용택 대표는 그 당시를 이렇게 회고했다. 그때부터 오로지 블록분야에서 1등이 되겠다는 신념 하나로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을 발이 닳도록 뛰어다니며 기술과 장비를 들여오는데 주력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그는 여타기업보다 높은 품질의 보도블록을 만들 수 있었고 한국의 보도블록을 세계무대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수준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더 큰 목표를 이루기 위해, 제품의 높은 성능과 품질에 비해 여전히 부정적인 보도블록에 대한 시각과 저평가되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그는 앞으로도 기술제휴와 보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 보도문화의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경관개선과 환경을 위해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신제품 출시 현재 이노블록은 2천여 종이 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선두를 지키기 위해 해외 선진기업과 기술제휴를 맺으며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신제품 출시를 위해 힘쓰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최근 기후변화로 심화되고 있는 도시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차열블록의 개발이다. 이 블록은 여름철 태양열이 포장재에 축열되는 현상을 경감시키는 제조기술로 노면온도상승을 저감하여 대도시의 열섬현상을 줄여준다. 3가지 색상을 조화시켜 천연석의 질감을 그대로 재현한 데카스톤은 도시의 경관을 자연친화적으로 개선하는데 앞장섰다. 2013년에는 포장면의 유출량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하수도와 하천의 부하를 낮춰 도시형 수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저류형 포장재도 선보일 예정이다. 이 밖에 환경마크, GR마크, KS인증 등을 통해 외부적으로도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혁신적인 보도블록으로 특허등록 7건, 상표 20건, 의장 31건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연간 3천 톤의 동 슬래그를 재활용하는 등 환경과 경관개선을 위하여 미래형 보도블록의 개발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디자인과 품질을 자랑할만한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라는 한용택 대표는 앞으로도 기술개발에 큰 비중을 둘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러니 경관을 개선하고 환경문제를 해결할 앞으로의 보도블록에 대한 궁금증과 기대감이 증폭되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정원문화에 대한 관심, 조경대중화를 위한 노력한용택 대표는 최근 붐을 일으키고 있는 정원문화에도 관심을 보였다. 얼마 전 성황리에 종료된 ‘2012 경기정원문화박람회’에서는 이노원이라는 참여정원을 조성하여 정원문화 창달에 앞장섰고, ‘201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에는 박람회장에 제품 아웃크라핑과 데카스톤을 대규모로 설치할 예정이다. 그는 세계인에게 한국의 정원과 함께 블록을 알릴 수 있는 기회인지라 벌써부터 설렌다고 하였다. 또한 한용택 대표는 집진 및 방음설비로 직원들의 근무환경 개선과 인근지역의 환경개선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인근 지역사회에 후원과 제품무상지원을 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조경박람회’ 등 중요한 조경관련 행사에 적극적인 참여와 후원을 통해 조경분야의 화합과 발전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한용택 대표는 올해로 5회째 이노블록 시공사진 콘테스트를 개최하고 있다. “시공사진 콘테스트 ‘느낌있는 거리, 아름다운 경관’은 전국에 시공된 이노블록 제품을 찾아 찍은 사진을 누구나 뽐낼 수 있습니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콘테스트인 만큼 다양한 연령과 직업군의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콘테스트를 통해 조경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들도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거리 경관에 대해 생각하고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나지막하게 말하는 그에게서 진심이 느껴졌다. 이밖에도 제품이름으로 4행시 짓기, 각종 박람회나 지자체 행사에서 경품행사를 진행하는 등 끊임없이 대중에게 조경을 알리고 친근감을 느끼게 하며 조경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렇게 대중과 조경의 연결고리를 만들며 생활 속 정원문화 조성에도 앞장서는 한용택 대표의 행보에 열렬한 응원과 박수를 보내며, 이번 올해의 조경인 수상이 그에게 더 큰 세상으로 나가기 위한 자양분이 되었으면 한다.
- 제15회 올해의 조경인 [정책분야]: 김성용
- Kim, Sung Yong 한국토지주택공사 녹색경관처 처장 “한국 조경이 40주년을 맞은 해에 훌륭한 분들과 함께 수상하게 되어서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노력보다는 LH 녹색경관처의 노고를 격려하고 더 많은 역할을 당부하는 상으로 알고, 모든 직원과 함께 수상의 기쁨을 함께 하고자 합니다.” 김성용 처장은 이번 수상의 공을 동고동락하는 직원들에게 돌리며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부단히 자신을 낮추는 모습이지만 그는 지난 2010년 12월부터 LH의 녹색경관처장을 맡아 각종 법령 및 제도개선, 설계 및 공사발주 등을 통해 조경업을 선도하고, 나아가 LH가 공기업으로서 공적 역할을 다하는데 부단히 앞장서 왔다. 실제로 그의 추천서에는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공적들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제15회 올해의 정책분야 수상자로 선정된 김성용 처장을 만나 주요 업적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소수에 불과한 조경직의 권익 향상과 화합 도모김성용 처장의 이번 수상도 그렇지만 올해 LH의 조경직들에겐 기쁨의 순간들이 많았다. 올해 2월초 통합 LH 출범이후 처음으로 시행된 대규모 인사에서 조경직들의 승진이 특별히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2급과 3급을 포함해 총 28명의 승진이 이루어졌고, 부장의 숫자만 해도 전기나 기계직보다 많아 부러움을 사고 있단다. 이에 대해 녹색경관처의 직원들은 최대 공기업의 조경부문 수장으로서 조경직들의 권익향상과 화합하는 조직문화를 만들고자 노력한 김성용 처장의 숨은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입을 모은다. “그동안 주어진 인력에 비해 업무량이 많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조경부서 업무가 직접적인 사업성과 관련이 많지 않으나 실제 주민이 느끼는 체감도에서는 조경의 역할이 상당히 큰 부분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 나름대로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습니다.” 그의 이런 노력 때문일까 올해는 11명의 신입사원 채용과 13명의 고졸자 채용도 이루어져 그동안 적은 인원으로 묵묵히 일하면서도 소외되어온 조경직원들의 인력난을 해소하는데도 일조하였다. 용산공원특별법 등 공원 관련 제도개선에 힘써김 처장은 본지의 올해 10대 뉴스에도 선정된 용산공원과 관련하여서도 특별법을 제정하는데 적극 참여하였다. 용산공원화사업의 기초조사 연구를 LH에서 담당했는데, 연구책임자로서 용산기지 안에 직접 들어가 필지 확인 및 지형도 작성 등 기본계획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주력하였다. 용산미군기지가 다양한 이슈를 안고 있는 만큼 관련부처간의 첨예한 이해관계가 놓인 갈등 사안이 많았는데, 이에 대해서도 현행 법률을 토대로 법안 검토를 지원하는 등 용산공원화 사업의 법적 기반마련에서부터 계획수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책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것이 조경분야가 용산공원 조성의 출발점에서부터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데 기여한 바가 큼은 물론이다. 또한 국토부에서 추진한 공원녹지제도 개선을 위한 TF에도 참여함으로써, 민간참여 공원조성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도 했다. 그는 “공원 일부를 개발한다는 점에서 반대도 예상되었지만 예산이 수반되지 않을 경우 장기 미집행 문제 해소는 요원하므로 일정부분 타협도 필요했다.”며 이를 정책화하기 위해 영국과 일본 등 해외사례를 집중 연구했다. 이때의 연구를 발전시켜 “도시공원부지에서의 개발행위 특례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 논문을 발표했으며, 연이어 이 논문은 LH연구원의 연구·검토과정을 거쳐 국토해양부의 지침으로 작성·배포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총괄디자이너 제도 시행LH의 보금자리주택 최초의 입주지구이자 친환경 단지로 주목받은 강남보금자리 주택지구에도 김 처장과 녹색경관처의 수고가 담겨 있다. 바로 총괄디자이너(ULD: Urban and Landscape Designer) 제도를 도입한 것. 사업을 진행하면서 현장을 수시로 방문했던 김 처장은 대모산과 세곡천 등 뛰어난 자연환경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시행주체와 공종·블록간 디자인 연계가 미흡하고 공간의 분절·폐쇄 등으로 경관 부조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을 발견하여 총괄디자이너 제도라는 새로운 조성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건강한 초록마을’이란 큰 개념을 도출해냈으며 개별 설계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가로경관 및 세곡천변, 공원녹지를 특화하는 한편 통합경관을 구현해냈다. 이런 노력의 결과 강남보금자리 주택지구는 2012년 상반기 한경주거문화대상 단지조경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공사발주 앞당겨 조경건설업계 수주가뭄 해소에 기여처장 취임에 즈음하여 라펜트와 가진 인터뷰에서 그는 “대외적으로 조경설계와 공사 관련 최대 발주기관으로서 LH의 공적 역할”을 강조한 바 있다. 이런 그의 생각은 올해 1조 3천억 원 규모의 조경공사 조기 발주로 이어졌는데, 최근 급랭한 건설경기 침체로 극심한 수주가뭄을 겪고 있는 조경업계에 단비가 되고 있으며, 재정집행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종합조경업의 연간 수주액 규모가 3조 2천억 원쯤인 것을 감안하면 단일기관의 1조 3천억 원의 발주금액은 결코 작지 않은 규모임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특히 지역업체의 수주기회 확대를 위하여 모든 공구를 지역의무 공동도급 방식으로 발주하여 도급액의 40% 이상을 지역업체에 직접 공사를 맡김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도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강남세곡, 강남서초, 고양원흥 보금자리주택지구와 올해 위례신도시 및 화성동탄신도시 등 대규모 설계프로젝트에 대해서도 현상공모를 실시하여 건설경기 위축으로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경설계업체에도 수주기회를 제공함은 물론 설계의 질적 향상과 다양한 테마를 부여해 명품 설계가 되도록 했다. 그의 이야기를 듣다보니 LH의 조경업무의 수장으로서, 공기업의 공적역할을 담당해야 할 책임자로서 안으로는 조경직원들의 화합과 권익을 위해 노력하고 밖으로는 공기업의 공적역할을 감당하기 위해서 불철주야로 노력해온 김성용 처장은 ‘자기와의 약속’을 잘 지키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평소 자신의 지론대로 언행일치를 실천하고 있는 모습을 볼 때 정책분야 수상자로 최적임자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드러나지는 않지만 자신의 위치에서 맡은 바 역할을 묵묵히 해내는 그를 보면서 아름다운 사람의 향기를 느낄 수 있었다.
- 제15회 올해의 조경인 [특별상]: 김남춘
- Kim, Nam Choon (사)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회장,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교수 환경 보호에 앞장서는 조경가기후변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자연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폭우나 폭설 등 자연재해의 빈발로 자연환경 훼손이 심각해지면서 자연을 보호하고 복원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조경학과 교수가 자연환경 보호에 앞장 선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수상한 것은 개인으로서도 매우 의미가 있는 사실이지만, 사회적으로 조경분야의 위상을 높인 하나의 사건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 국가에서는 1978년부터 자연보호헌장을 선포해 자연환경 보호에 앞장 선 이들에게 상을 수여하고 있는데, 김남춘 교수는 환경부와 함께 ‘생태계보전협력금반환사업’이 초기에 정착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고, ‘자연마당 조성사업’ 등의 활동에 주력해온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이외에도 자연환경복원발전재단을 설립해 환경복원분야의 사회적,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특히 비탈면 녹화 지침을 제도화함으로써 이전까지 무분별한 녹화가 이루어지던 비탈면에 다양한 식생 연출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에 대해 그는 “어떠한 사업이든 제도적으로 뒷받침돼야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앞으로 조경분야가 주도하는 환경복원의 제도적 틀을 만드는데 더욱 주력할 것”이라는 의사를 밝혔다. 그는 환경, 생태 복원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관련 제도마련에 힘쓰면서도 실제 복원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조경설계와 시공의 역할을 정립하는 일과 자연환경을 어떻게 시민들에게 접근시켜야 할지를 끊임없이 고민하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복지차원에서 생태와 복원으로의 접근 시도‘생태계보전협력금반환사업’은 환경이나 생태의 중요성을 알리고, 생태복원분야의 기술발전을 이루기 위해 김남춘 교수가 주력해서 추진한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김 교수가 이 사업에 주력한 까닭은 자연환경 복원사업을 활성화함으로써 균등한 생태복지를 제공하고, 생태복원 관련 신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자연마당 조성사업’이다. 그는 도심지 안에 버려진 땅을 회복시키는 이 사업을 통해 도시민들에게 질이 높은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김 교수는 이 사업이 “자연환경과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발전하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에 생태복원기술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높을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 사업은 내년에도 계속 이어질 예정으로, 공원과는 또 다른 생태광장 또는 마당 같은 공간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견되어 조경분야에서 모색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김남춘 교수는 지난 한해 가장 이슈가 되었던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의 당선팀인 ‘West 8 + 이로재 컨소시엄(미래를 지향하는 치유의 공원)’의 일원으로 참여하기도 하였다. 컨소시엄 내에서 식재설계 및 복원과 관련한 역할을 맡아 (사)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를 통해 생물다양성 증식의 명장을 비롯한 생물, 생태 전문가들을 동원하여 용산공원 대상지의 생태계를 깊숙이 파고들어 공원에 접목시키려 노력했다.“앞으로 들어서게 될 용산공원은 우리나라 생태복원기술이 총망라된 만큼 살아 숨 쉬는 한국의 대표적인 국가공원이 될 것입니다. 조경 설계와 시공부문에서도 생태적인 측면으로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렇듯 환경복원 작업에서 다양한 시도를 선도하는 그에게서 자연환경 보호에 대한 남다른 시각을 엿볼 수 있다. 환경복원분야에서 조경의 역할을 확대하는 교량으로서그는 현직 교수인만큼 교육자로서의 책무에도 충실하게 임했는데, 특히 환경복원 육성을 위한 조경분야 인재양성에 열의가 높다. 조경을 전공하는 학부생들에게 생태적인 마인드를 정립시키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 강의에 전념하고 있으며, 대학원 박사과정에서도 환경복원 전공과목들을 중점 강의하고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에는 직접 환경조경학과 대학원을 설립, 국내 최초로 환경복원전공을 개설하여(1998)년 많은 조경인들이 자연환경관리 및 생태복원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올 여름에는 (사)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를 통해 ‘환경복원학교’라는 교육프로그램을 신설해 각광을 받았는데, 환경복원 및 생태 관련 전문가들로 강사진을 꾸려 현직 환경부 고위직도 직접 와서 수강할 정도로 호응이 높았다. 또한 그는 환경부에서 추진하는 자연공원기본계획(안) 수립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한 바 있다. 이는 기존에 ‘보존’ 위주로 이루어지던 자연공원정책이 ‘현명한 이용’ 측면으로 변화된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를 통해 조경의 참여 기회가 늘어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인터뷰가 끝나갈 무렵 그는 “현재는 조경분야의 위기라는 말들을 많이 하는데, 이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조경이 지금보다 시야를 넓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환경복원, 생태에 대한 이해를 더욱 높이고 환경복원과 생태적인 측면을 발전시켜서 사회적으로 인정받아야 한다는 거죠. 조경하는 사람들이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문제에 대해서 지금보다 많은 생각을 해야 할 시점”이라고 하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를 이끄는 동안 우리 조경분야의 일자리와 문화, 먹거리를 만들어내는데 더욱 주력할 것”이라는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환경, 생태복원분야가 조경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내다보며 기회가 왔을 때 놓치지 않도록 환경복원의 전문성을 갖춘 조경가 배출에 혼신의 힘을 기울이고 있으며, 환경복원분야를 통해 조경의 운신 폭을 넓히고자 끊임없이 새로운 연구를 시도하며 노력하고 있다. 오늘도 땀 흘리는 그의 뜨거운 열정에 박수를 보내며, 이러한 그의 노력이 기폭제가 되어 환경복원분야에서 조경의 영역 확대가 가속화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제15회 올해의 조경인 [특별상]: 황지해
- Hwang, Ji Hae(주)뮴 대표 남다른 그녀, 황지해전 세계 정원 예술가들의 꿈의 무대이자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영국의 첼시 플라워쇼에서 지난해 한국의 전통화장실을 주제로 한 ‘해우소 가는 길’로 아티즌 가든(Artisan Garden) 부문 최고상과 금상을 동시에 수상해 전 세계 정원마니아들을 놀라게 했던 황지해 작가. 한국인 최초의 수상자이자 첼시 플라워쇼 사상 처녀 출전으로 수상자가 된 유일한 인물인 그녀가 2012년 또다시 세간의 주목을 끌었다. 올해 또다시 출전한 첼시 플라워쇼에서 ‘고요한 시간: 비무장지대 금지된 정원(Quiet Time: DMZ Forbidden Garden)’으로 쇼가든 부문(200㎡ 규모 대형정원)에서 금상을 수상하여 2회 연속 진출, 2회 연속 금메달 수상이라는 기록을 세운데 이어, 영국왕립원예협회 회장상의 초대 수상자가 되는 등 첼시 180여 년의 역사를 통틀어 찾아보기 힘든 진기록을 세운 것. 특히, 올해 신설된 영국왕립원예협회 회장상은 첼시 전체 참가자 800여 개 기관 중 최고작에게 수여되는 명예로운 상으로, 한국정원이 첫 수상작이 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와 전통, 기록을 중시하는 영국사회에서 또 한 번의 이변을 만들어 낸 점은 황지해 작가만의 능력이자 한국문화계에 큰 쾌거가 아닐 수 없다.“저에게 이런 소중한 마음을 써주신 분들께 먼저 감사드립니다. 더 열심히 하라는 권유와 격려라고 생각하고 주어진 자리에서 더욱 성실한 자세로 임하겠습니다. 드러나지 않은 곳에서 진실 되게 살아가는, 가난하지만 부유한 예술가들과 그리고 우리 조경인들과 이 기쁨을 함께 하겠습니다.” 2012년 이례적인 수상기록을 세워 “디테일의 귀재”, “세계 가드닝의 흐름을 자연주의로 회귀시키는 중요한 전환점”, “첼시 역사상 가장 창조적인 작품 중 하나” 등의 찬사를 받으며 전 세계 언론을 떠들썩하게 했던 황지해 작가. 이젠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정원디자이너로 자리매김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수상보다 올해의 조경인 수상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순박한 미소를 전하는 그녀는 과연 조경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지 문득 궁금해졌다. 조경, 정원 그리고 정원문화“자연과 함께하는 조경가가 가장 본질적이고, 현실적이며, 열정과 미래를 향한 혜안을 가진 사람들이라 생각해요. 잃어버린 가치와 화해하고 회복시키는 작업이 조경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조경분야는 균열과 상처가 있는 곳에 영혼을 어루만질 수 있는 안식처를 제공해 주는 세상에서 가장 고상한 언어로 말하는 분야라 할 수 있지 않을까요.”그녀의 말에서 정원과 조경에 그녀 스스로 부여한 높은 이상과 가치를 느낄 수 있었다. 국제대회에서의 수상은 당연히 이러한 생각에 황 작가만의 풍부한 감성과 예술적 재능이 더해져 아름다운 작품으로 승화된 결과지만, 사실 첼시 플라워쇼나 국제정원박람회에 나가는 것은 하나의 정원을 조성하는 ‘공사’의 개념이기에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주제를 정하고 디자인을 도출해, 컨셉에 맞추어 국내에서 반출한 식물의 개화시기를 맞추는 등 기술적인 부분은 물론이고, 정원문화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요원한 한국의 사회적 상황에서 함께 출전할 스폰서에 대한 부담까지 떠안아야하는 실정이다 보니 참가하는 작가 1인에게 부과되는 부담은 상상 그 이상이다. “지난해 해우소를 마치고 스폰서와 지속적인 연락과 타진을 해나갔습니다. 올해 사이트 배정이 확정되었고, 긍정적으로 추진되고 있었는데, 순탄히 진행되다가 믿고 있었던 마지막 스폰서까지 잃게 되어 한동안 공황상태였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광주시장님을 비롯해 남광건설, 호반건설 등 지역의 기업들과, 런던의 펜셔너들과 한국전 참전용사들이 마음을 모아주어 70명의 기부자와 함께 DMZ Garden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순수하게 작품에 집중하는 것만으로도 어려운 상황에서 기술이나 체력적인 문제보다 예산과 관련한 어려움이 더욱 크고, 출품무산위기에 대한 불안감에 얼마나 마음을 졸였을지 크나큰 압박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하지만, 2011, 2012년 첼시 플라워쇼의 연속 수상 및 2012년 최고상 수상은 물론, 첼시 플라워쇼 수상 경력을 가진 세계 각국의 정원 디자이너들이 세계 최고의 자리를 두고 경쟁을 벌이는 2012 일본 가드닝 월드컵 초청 및 수상, 2013년 쇼몽국제정원박람회 초청 등 자그마한 체구에 가냘픈 몸의 동양 여성이 세계 언론을 집중시키고 유럽 정원분야에 한류를 이끌고 있는 그녀의 모습에서 앞으로 한국 정원문화와 산업의 관심을 끌어올릴 촉매제이자 밝은 청사진이 보이는 듯하다. 작가 황지해의 꿈황지해 작가는 현재 (주)뮴의 대표로서 국내에서의 본업에 충실하면서도 국제대회들에 대한 관심도 늦추지 않고 있으며, 2012년 첼시 플라워쇼 출품작인 DMZ Garden이 퀸 엘리자베스 올림픽파크에 영구적으로 유치됨으로써 정원이 평화의 메신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적인 활동과 노력도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 “지금도 꿈이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어려서 막연하게 작가가 되고 싶었는데, 막상 작가라는 말을 듣다 보니 부끄러워지더군요. 글 쓰는 작가들은 고전이 되는 명서를 남기는데, 저는 글 쓰는 것이 서툰 대신 좋은 책 한 권 같은 정원을 만들고 싶습니다. 정원이 문화와 산업에 있어 두루 중요한 원론적인 이유는 정원이 선진사회 구성원들의 삶의 로망이자 라이프스타일을 이끄는 문화예술의 결정체이기 때문 아닐까요.” 한국의 정원문화 확산을 위해 경제적이고 정치적인 문제와 상관없이 뛰어난 감성과 실력을 겸비한 잠재되어있는 작가들의 생각과 표현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황지해 작가는 현재 우리 정원문화의 한 단계 비상을 꿈꾸며 순천만정원박람회에 집중하고 있는데, 다가오는 순천박람회가 그런 계기의 시작이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갖고 있다. 그 누구보다도 분주했던 올 한 해를 마무리하고 있는 그녀의 꿈과 열정에 이번 제15회 올해의 조경인 수상이 모든 조경인들의 기대와 응원으로 더해져 한류 조경작가로서의 정원문화 외교에 보다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원동력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2012년 조경계 10대 뉴스
- Top 10 News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20121. 용산공원 설계공모, 국가공원법 발의 등 국가공원 가시화 근접2. ‘소통’을 화두로! 조경 관련 단체 다양한 시도 눈길3. 도시농업 품은 경기정원문화박람회4. ‘2012년’에 담겨진 한국조경사5. 조경과 대중의 연결을 위한 서울시의 시도 돋보여6. 황지해 작가, DMZ 정원으로 첼시 플라워쇼 최고상 수상7. 도시숲, 도시텃밭 등 조경 관련 법, 제도 제·개정에 따른 논란8. 최초의 조경직 국가공무원 드디어 선발돼9. 시민참여시대의 확산, 수원그린트러스트 출범10. 2012 여수세계박람회 개최 본지는 매년 송년 특별기획으로 조경 관련 단체장 및 본지 자문위원, 편집위원들과 함께 국내 조경계 안팎에서 있었던 주요 조경계 뉴스들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20여 개 가까운 후보들 중에서 논의 과정을 거쳐, ‘용산공원 설계공모, 국가공원법 발의 등 국가공원 가시화’, ‘조경 관련 단체, 소통을 위한 다양한 시도’ 등을 비롯하여 최종 10대 뉴스를 선정하였으며, 이외에 ‘황지해 작가, DMZ 정원으로 첼시 플라워쇼 최고상 수상’, ‘2012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조경과 대중의 연결을 위한 서울시의 시도’ 등이 비중 있는 이슈로 검토 되었습니다. 2012년 조경계 10대 뉴스의 주요내용과 월별 주요 뉴스 일지를 통해 한해를 되돌아보고, 2013년을 새로운 마음으로 준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지면을 빌어 조경계 10대 뉴스 선정에 참여해주신 선정위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Each year, ELA has selected “Landscape Architecture News of the Year” with the heads of landscape architecture organizations, and our consultants and editorial staff. Out of the 20+ nominees of this year, top 10 major news stories were selected after discussions, which include “Yongsan Park Design Competition” and “Gyeonggi Garden Culture Exhibition” In addition, urban forest act and the legislation and changing of other landscape architectur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ere also discussed a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The feature article on top 10 news stories and monthly hot issues will hopefully provide a chance to look back over the year and prepare for the year ahead.
- 2012년을 마무리하며
- 한국 조경 40돌. 그러나 생일상은 없었다. 아니 예년보다 밥상이 신통치 않았다. 힘들 줄 짐작했었지만 정말 어려운 한 해였다. 그런데도 ‘조경 자격증이 노후보험’이란 현수막이 도심의 자격증 학원 앞에 걸려있다. 중장년층 취득 자격증 순위에선 조경기능사는 4위를 달리며 조경을 유망 업종으로 선전하고 있다. 그렇게 배출된 기능인들이 전문건설업을 쉽게 등록하여 조경공사업 업체수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2010년 현재 1,451개). 조경은 과연 그렇게 노후를 보장해 주는 산업인가? 현실은 그렇지 않다. 전반적인 건설경기 퇴조 속에 조경이란 배는 올 한해 요동을 쳤다. S엔지니어링은 작년 말에 크게 휘청거린 뒤 지금도 회생의 몸부림을 치고 있다. 또 다른 엔지니어링은 휴대폰으로 인원감축을 알린다는 흉흉한 소문이 연초부터 떠돌았다. 지켜보는 이들의 사정도 어렵긴 마찬가지다. 올해 조경 분야에서는 협력사 담당자가 갑자기 바뀌는 경우가 많았다. 경영난에 어쩔 수 없이 직원을 줄인 곳이 허다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정은 설계사무소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원인은 일감 감소이다. 설계물량 감소는 곧 시공물량 감소로 이어진다는 것을 생각하면 긴 한숨이 나온다. 그나마 행정·혁신도시 건설과 4대강 사업에 의존하여 겨우 버텨온 건설사들에게 올 겨울은 빙하기의 시작처럼 여겨진다. 지금의 어려움보다 더 큰 문제는 흐릿한 앞날에 있다. 어려움은 항상 기대와 희망으로 극복할 수 있는데 말이다. 한국건설경영협회가 10월에 연 ‘2013년 건설시장 환경변화와 대응발표회’에서 내년도 전망이 나왔다. 국내 건설시장이 올해보다 1.3% 증가에 그칠 것이라 한다. 건설을 비롯한 모든 시장의 확대는 수요 증가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수요 증가에 반하는 저출산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그 미래는 지금 일본의 모습이다. 저출산 문제는 비정규직으로 대표되는 고용불안, 교육비 부담, 주택문제 등의 사회문제와 도미노처럼 연결된다. 얽히고설켜 쉽게 풀지 못하는 난제들이다. 헝클어진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단칼에 해결한 알렉산더의 지혜가 아쉽기만 하다. 어려운 상황에서 <환경과조경>은 연속특별기획을 마련했다. ‘한국조경의 오늘을 진단하다’가 지난 8월부터 진행되었다. 어려움을 서로 나눔으로써 힘을 얻기 위함이었다. 넉 달에 걸쳐 조경의 각 축을 이루는 여러 실무자들이 오프라인과 온라인상에서 모였다. 문제점 인식과 진단, 그리고 새로운 가능성과 비전을 얘기했다. 이야기의 시작은 3040세대가 이끌었다. 이들은 조경계의 허리층이다. 그동안의 경험으로 이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는 연령대이다. 그러나 ‘끼인 세대’로서 먹고 살기 각박하여 사실상 조경분야와 관계된 일은 관심 밖이라는 말이 나왔다. 뜻밖이었다. 여기저기서 이렇게 튀어나오는 자조어린 언어에서는 현실에 대한 당혹감이 그대로 묻어있었다. 그동안의 공급과잉에 중독되어 더 크게 성장할 동력을 키우지 못했다는 자성도 나왔다. 때문에 ‘풍성한 현상설계나 턴키와 같은 설계 중심의 발주방식으로 조경설계의 르네상스임을 의심하지 않았지만…’이라는 회상에서는 “우리가 거품에 취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들게 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이를 ‘소탐대실’로 표현했다. 조경계 내부의 문제점으로 인접분야와 비교되는 낮은 기술 전문성이 지적되었다. 그럼에도 조경계 내부의 소통과 교육 시스템은 이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고, 지금도 도시숲과 도시농업 등으로 밀고 들어오는 외부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는 진단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매체가 그 분야의 이슈를 꺼내서 건드려야 한다는 언급은 언론 입장에서 매우 교훈적이다. 조경계 전체의 어려움 속에서 매체라고 예외일 수 없다. 내부적인 어려움은 외부적인 의존을 낳고, 그 과정에서 언론의 독립성이 훼손될 빈틈이 생긴다. ‘현재의 매체가 산업계와 함께 움직이는 것 같다’는 지적은 그러한 징조의 포착이리라. 건축계의 〈공간(space)〉지는 이를 차단하기 위해 광고를 일절 싣지 않고, 국제적 수준의 매체로 발전시켰다. 물론 공간건축설계사무소의 물적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러나, 건축인의 관심 부족으로 지금 경영난에 봉착해 있다. 매체는 항상 분야의 고른 발전을 위해 독립성을 지켜야 하고, 시장에선 그 노력을 지켜주어야 함을 잘 보여준다. 뒤를 이은 50대 조경인들의 좌담회에서는 3040세대와는 또 다른 느낌을 주었다. 이미 기성 조경인으로 우뚝 선 분들이어서 그럴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지난 20년간 조경의 황금기를 구가했지만 솔직히 우리 자신의 노력으로 만든 성과가 아니었다.’는 자성은 비슷하였다. 3040세대가 언급한 조경설계의 르네상스가 실은 비정상적인 물량 폭주에서 비롯되었음을 일깨워 주었다. 그리고 그런 거품을 양산했던 아파트 건설경기의 둔화를 자연적인 사회진화현상의 결과로 해석했다.‘눈앞의 이익’이나 ‘당장의 어려움 회피’에만 매달리지 말자. ‘비전’을 스스로 만들어 나가고, ‘이 기회에 먼 시야로 우리 분야의 고유한 가치를 확인하고 재정립해 나가자.’는 당부를 잊지 않았다. 한편, 두 분의 설계종사자는 좁은 시장의 한계를 ‘해외로의 진출’로 뚫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 ‘설계품의 신장’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했다. 해외시장 진출은 3040세대보다 오히려 더 적극적이었다. 해외 진출을 위한 걸림돌인 회사규모나 자본력의 한계 극복을 위해 합자회사운영방식으로 공동투자, 운영관리와 같은 구체적인 제안까지 나왔다. 해외 한인 조경가들의 SNS토론은 조금 관점이 달랐다. 앞의 두 집단과는 다른 얘기들이 많았다. ‘한국적 현실과 동떨어진 이야기’로 치부하여 성토한 열성 독자까지 있었다. 그러나 원래가 타자적인 시각에서 한국 조경의 민낯을 보고자 한 기획이었다. 한국 조경에 대해 ‘틀에 박혀있다.’ 혹은 ‘스타일과 빛’에 대한 논의의 부재가 지적되기도 했다. 그 원인도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폭이 좁다. 둘째, 프로젝트의 타입이 적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이것 역시 근본적으로 시장의 한계에서 비롯됨을 그들도 잘 알고 있었다. 시공인과 교육인의 목소리에서도 흘러나왔다. 그것은 막연한 낙관론, 외형적 성장에 도취, 화수분의 시대 등으로 표현되었다. 모두 지난 시대에 대한 자성이다. 특히 ‘조경의 전문성을 높이는 등의 경쟁력 향상에 게을리 하였다.’는 반성은 앞서 다른 집단에서도 공통되게 나왔던 고백이다. ‘무늬만 전문인’이라는 말로서 전문성 부족을 꼬집었다. 10년 전인 2000년에 440개였던 조경공사업체수가 2010년에 1,451개로 늘어났다. 이렇게 급증한 조경업체가 과연 더 나은 전문성으로 무장하고 있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자. 그렇지만 ‘전반적인 사회분위기가 개발과 조성의 토건시대에서 복지와 문화의 시대로 변해가는 상황에서, 조경이 새롭게 가치를 인정받고 새로운 업역을 확장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일 수 있다.’는 긍정적 해석도 나왔다. 발전은 변화에서 비롯되며 자성은 변화를 추동한다. 여기에 이번 논의의 의미가 있다. 4회에 걸친 기획 논의가 40돌을 넘어가는 한국 조경의 더 나은 발전을 위한 좋은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 도시농사와 암트랙의 교훈
- 미국국영철도회사 암트랙(Amtrack). 철도사업을 목적으로 19세기 중반에 설립되었으며 때마침 불어닥친 서부개척 붐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 20세기 초에 세계최대 철도왕국이 되었다. 2차대전 무렵까지 발전을 거듭했다. 그러나 2차대전은 전투기와 연관된 항공산업을 급성장시켰고, 곧 비행기는 버스와 함께 기차의 경쟁자가 되었다. 암트랙은 점차 경쟁에서 뒤쳐져 20세기 후반에는 적자만 연간 10억 달러에 이르게 된다. 그 때까지도 암트랙의 사명은 오로지 철도사업이었다. 암트랙의 쇠락은 오늘날 마케팅 근시안의 대표사례로 꼽힌다. 만일 철도업으로 한정하지 않고 운송업으로 사업범위를 넓게 규정하여, 고객지향적으로 대응했다면 어떠하였을까? 아마 혁신의 기회는 더 많았을 것이다. 암트랙은 도산이 다가오자 뒤늦게 ‘인간화된 여행’을 내세워 여행 서비스에 초점을 맞췄다. 비로소 넓은 관점에서 다양한 사업전략들이 쏟아져 나왔다. 그러나 이미 넘어간 시장을 돌이키기엔 많이 늦은 시점이었다. 그럼 조경의 사명은 무엇인가? ASLA(미국조경가협회)는 20세기 초에 ‘조경은 인간의 이용과 즐거움을 위하여 토지를 다루는 기술’이라 정의했다. 21세기에 와서는 ‘조경가는 하늘 아래 대부분을 디자인 한다.’고 선언했다. 이것은 조경 대상의 무제한적 확장이다. 최근 갈수록 인접분야와 경계가 희미해지는 상황에서 나온 ASLA의 새 정의는 조경의 외연을 향한 전면전 선포였다. 그런데 과연 조경인들은 그에 걸맞게 공세적인가? 2012년 대한민국 수도권 신도시의 한 아파트 단지에 만들어진 주민텃밭은 놀랄 만큼 인기가 좋다. 희망자가 많아 결국 추첨으로 매년 경작자를 정한다. 그 여파로 최근 설계 중인 신도시와 보금자리 주택설계에는 텃밭이 많이 들어가고 있다. 이렇게 수요자의 욕구는 빠르게 커가고 다른 분야에선 신속히 반응한다. 광역지자체의 농업지원센터에서 대부분 도시농부학교를 열고 있다. 특히 아그로 시티(Agro-city)까지 언급하는 서울시가 제일 재빠르다. 결핍은 욕망을 부르기에 가장 도시화된 곳에서 외려 경작의 욕구가 커졌는지 모른다. 지난 10월에 건축조례를 고쳐 텃밭을 조경시설에 넣었고 11월에는 자투리땅과 유휴 건물옥상, 공·사유지 등을 텃밭으로 활용하는 도시농업육성 및 지원 조례를 공포했다. 이러한 정책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조경계 안에서 적지 않다. 식물과 시설물 같은 조경 재료가 거의 들어가지 않기에 더 그런지 모른다. 그러나 황정임의 연구(2010)를 보면, 이미 전국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20살 이상의 성인 가운데 도시농사를 경험한 경우가 20%에 육박한다. 도시농사를 단순히 농촌향수나 식량자급 정도로 보는 것은 표피적이다. 오히려 일정한 도시화 단계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런 현상이지 않을까? 충분한 여가시간이 있어야 가능할 뿐 아니라 고령화 사회와도 맞닿아있음에 주목하자. 아렌트(Hannah Arendt)식으로 본다면 도시농사는 생존의 목적이 아니기에 노동(labor)일 수 없고 작업(work)에 더 가깝다. 사유지가 아닌 공적 공간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며, 새로운 도시를 위한 시작의 가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행위(action)로까지 격상시켜 볼 수도 있다. 이때의 행위는 르페브르)Henri Lefebvre)가 말한 도시민의 ‘도시에 대한 권리’ 주장으로서, 도시 공간을 충분히 ‘전유할 권리’로 봐야 한다. 소비 중심의 여가활동에서 벗어나 위험사회를 살아가는 대중의 현명한 선택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도시농사는 조경의 외연을 넓히는 길목에 서 있다. 물론 조경인 중에서도 각자의 세부영역에 따라 일시적으로는 이해관계가 엇갈릴 것이다. 그러나 길게 보면 조경 분야의 확장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새로운 이익이 창출될 수 있다. 도시농사 인구가 늘면 결국 새로운 시장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지난 10월 서울시의 도시농업 관할부서 결정에서 시의회가 공원녹지국 대신 타 부서를 선정했음을 잊지 말자. 누구를 탓하랴. 조경 분야에서 도시농사에 대한 충분한 이론개발과 기술축적을 못했기에 가져온 결과일 것이다. 이러한 아픔을 되풀이 하지 않으려면, 조경과 도시농사의 굳건한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일반인들에게 조경과의 연관성을 인정받아야 하고 인접분야와의 논리싸움에서도 져선 안 된다. 이를 위해선 조경계 각 분야에서 공통된 노력이 있어야겠지만, 아예 대학 교과목에 도시농사 관련 과목을 못 박아 둘 것을 제안하고 싶다. 그렇게 되면 누가 조경과의 연관성을 부인할 수 있겠는가? 아울러 자연스럽게 학계의 관련 연구도 촉발시킬 것이다. 그리고 그런 과정을 거쳐 배출된 조경인력은 한결 적극적으로 도시농사를 조경의 영역으로 영토화 할 것이다. 문명의 참된 기준은 그 나라가 어떤 인간을 양성해 내느냐에 달려있기에(Ralph Waldo Emerson), 조경의 미래를 위해선 어떤 인력을 배출하느냐가 항상 중요하다. Amtrak, the national railroad operator of the United States, was established in the mid 19th century. Shortly after its foundation, Amtrak witnessed the beginning of the westward movement, which helped a great deal in making it become the most successful railroad companies in the world by the early 20th century. It continued its growth until the outbreak of the World War II, which l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with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combat planes. Soon enough, planes emerged as the biggest competitor of trains, along with buses. Amtrak, slowly but steadily, fell behind the competition, which resulted in the annual deficit of up to 1 billion dollars in the last 20th century. Until then, the giant corporation had focused solely on operating a railroad. The decline of Amtrak is a classis example of a shortsighted marketing strategy. What if the company had extended its business range, developed into a freight service provider, and become more customer oriented? It would have had much more opportunities of innovation. It was on the verge of bankruptcy that the company shifted its focus to travel service with the slogan of ‘humanized journey.’ Finally a variety of business strategies were invented and implemented, but it was too late to turn the tables around. Then what is the purpose of landscape architecture? 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s(ASLA) stated “landscape architecture is a technique to manipulate land for human use and enjoyment” at sunrise of the 20th century. The organization also claimed, “landscape architects design almost everything under the sun” in this century. This means that the subjects of landscape architecture have become boundless. The new defin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implies that the industry is seeking to extend the scope of its operation when other related industries battle against each other to keep their boundaries. A very important question arises here: are landscape architects in Korea engaged actively enough? It is surprising that a vegetable garden at an apartment complex in one of Seoul’s new towns is so popular among residents that each tiller of the small portion of the land is chosen by lot every year. Reflecting this phenomenon, a vegetable garden is included in an increasing number of new apartment construction projects. The more rapidly the demand of consumers grows, the more quickly the industry reacts to it. Most of the agriculture support centers managed by local government run urban farming schools. In particular,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leading the trend, calling itself ‘Agro-city.’ As scarcity results in desire, an appetite for agriculture may have become the greatest in the most urbanized region. In October, a construction ordinance was revised to include a vegetable garden in the landscape architectural facilities. In November, a urban agriculture development and support ordinance was proclaimed to make use of small pieces of land, rooftops of unused buildings and public and private land as vegetable gardens. Among landscape architects, there is growing concern about the policy.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ducted by Hwang Jeong-im in 2010, however, approximately 20% of the grown-ups living in the metro region of the nation have experienced urban agriculture. It would be off the point to conclude that the popularity of urban agriculture is based merely on the nostalgia for country life and the need for food self-support. Rather it seems to be a natural stage of development as urbanization continues to take place.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trend is closely connected with sufficient leisure time and an aging society. As Hannah Arendt points out, as it is not for survival, urban agriculture is not labor, but work. It can even be considered an ‘action’ as urban agriculture involves showing one’s identity in public space and discovering new possibilities for innovating urban landscape. The ‘action’ in this context refers to asserting ‘a citizen’s right to a city’ according to Henri Lefebvre. This can be a clever choice of the public eager to spend less and enjoy more, living in a high risk society. It seems likely that urban agriculture will extend the scope of landscape architecture. Of course, there can be conflicting interests among different landscape architects. In the long term, however, it will lead to the extension of the industry and new opportunities to make profits. As the number of urban farmers grows, a new market will be created. Please do not forget that the Seoul Metropolitan Council did not choose Parks and Forest Planning Bureau as a primary action agency for urban agriculture.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should have developed competitive theories and techniques. In order not to be faced with another sad experience, the industry needs to find a strong connection between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agriculture, and make people see that these two are closely related. Each section of the industry should work together to achieve this goal, and it will be much more effective if urban agriculture is included in a regular college education. Then no one would den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ustry and urban agriculture. In addition, it would encourage academic researches on the subject. Landscape architects educated in this atmosphere will be knowledgeable about urban agriculture and more active on broadening the horizon of the industry. As Ralph Waldo Emerson once said, the true quality of a civilization depends on what kind of men and women it fosters. In the same manner, the future of landscape architecture relies on what kind of landscape architects it cre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