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ying to find the course for the U.S. army base in Yongsan as a park
·일시_ 2007년 1월 11일|목|13:30
·장소_ 한국과학기술회관 대강당
·주최_ 환경과조경|(재)희망제작소 부설 세계공원연구소
·주관_ 월간 환경과조경
·사진_ 김태우 실장
·정리_ 백정희 기자
·좌장_ 임승빈 서울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토론_ 배정한 단국대 환경조경학과 교수
성종상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이수학 아뜰리에 나무 소장
이일훈 건축가, 후리건축
정욱주 서울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전공 교수
최원만 신화컨설팅 부사장
임승빈 : 상당히 의미있는 토론회인 것 같다. 앞서 정욱주 교수가 만원짜리 돈 몇장을 책 속에 묻어두었다가 나중에 발견해도 기쁜데 백년동안 잊고 지냈던 땅을 돌려받았는데 얼마나 기쁜일인가라고 했는데 그 말에 참 동감하면서 기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많은 책임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백여년 만에 우리에게 이런 기회가 주어졌는데 사실상 이렇게 남게된 것은 어떻게 보면 군사기지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지금 어떤 모습이겠는가. 이미 난개발이 되었을 수도 있기에 그런 의미에서는 한편으로 다행이라는 생각도 든다. 지금 우리에게는 커다란 사명감과 함께 좋은 공원을 만들어야 하는 의무가 있다고 본다. 만약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서 오히려 지금이 아닌 앞으로 백년이상 군사기지로 유지되었다가 백년 후의 세대에게 이러한 기회가 주어지는 것이 낫지 않았을까하는 평가가 나오게 된다면 어떻겠는가. 따라서 용산공원의 미래의 모습, 용산공원이 담아야하는 내용들을 논하는 이러한 자리가 상당히 중요하다. 우리 모두가 중지를 모아 세계에 내어놔도 부끄럽지 않은 훌륭한 공원, 국토의 튼튼한 심장역할을 할 용산공원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실질적인 토론이 될 수 있도록 토론자들의 깊이있는 의견을 들어보기 위해 3단계로 나누어 토론하도록 하겠다. 우선 토론자들이 자신이 생각하는 용산공원의 모습, 발제자들의 코멘트등을 말씀해주시고, 이어서 발제자들이 토론자들의 토론에 대한 답변 내지는 추가제안 등을, 다음으로 토론과 추가답변 이후에 모아지는 의견들에서 용산공원의 방향에 대해 제안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의 방향에 대한 토론자들의 의견(장단점, 실현가능성), 그리고 플로어의 의견을 들어보겠다. 첨언하자면 사실 방향도 중요하지만 이슈가 되고 있는 용산공원의 지하부 복합개발이나 주변부 개발, 비용문제, 시기 등 현실적인 문제들을 포함하여 여러 의견들을 들어볼 수 있으면 좋겠다. 마지막으로 용산공원에서 반드시 지켜져야할 점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짚어보았으면 한다.
… 중략…
임승빈 : 지금까지 2시간 넘게 토론과 재토론이 이어졌다. 정리를 하자면 용산공원을 어떻게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있었다.
오늘 기억에 남는 공원은, 이름을 짓지 말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아무래도 삼겹살공원, 고어텍스공원, 필로티공원 등이 기억에 남는데, 역시 이름을 갖든 갖지 않든 용산의 문제는 앞으로 계속 연구하고 의견수렴을 거쳐야 할 것이다. 또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지하개발과 비용조달 문제에 대하여는 심층적인 토론이 이루어지지는 못했으나 공원이용자를 위한 최소한의 시설도입, 그리고 개발을 통한 비용조달보다는 국가가 조성하고 관리하는 방향이 타당하다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본다.
용산기지가 반환되면 어떻게 만들자보다는 그동안 금단의 땅이었으니 우선 담장부터 허물고 시민들이 자유롭게 마음껏 몇 년동안 거닐어보고 방향을 정해도 되지 않겠는가 하는 의견도 상당히 설득력이 있지 않았나 싶다.
여러 가지 좋은 의견들이 나왔는데, 용산공원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하는 오늘의 고민은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5, 10년의 긴 시간에 걸쳐 계속될 과정이기에 그 시작점이 될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장기적인 안목으로서 너무 조급하게 생각지 말고 선유도공원, 하늘공원, 서울숲에서 있었던 공원의 진화처럼 용산공원의 어떠한 진화가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 앞으로 긴 시간동안 찾아나가는 과정으로써 오늘의 토론회는 상당히 의미가 있었던 것 같다. 지금까지 발제자, 토론자분들께서 오랜 시간 진지한 논의를 이끌어 주신데에 감사드리고, 특히 긴 시간동안 자리를 함께 해주신 청중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