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독일의 도시설계와 조경설계의 접목
  • 환경과조경 2005년 4월

- Rhein Park 프로젝트를 사례로 -

본고에서는 독일의 조경설계와 도시 설계가 하나가 되는 사례를 필자가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지금 소개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는 필자가 2000년에서 2004년까지 근무하던 Heimer+Herbstreit Umweltplanung 조경과 도시설계 사무실에서 맡았던 일 중의 하나이다.

2001년 필자는 독일의 뒤이스부룩(Duisburg)시로부터 도시계획 마스터플랜의 용역을 맡았다. 뒤이스부룩시는 자연의 선물로 라인강을 끼고 많은 녹지가 있지만 과거 노동자들의 일터로서 (즉, 루르지역(Ruhrgebiet)의 광산 철광 생산지로서의 이미지) 낡은 건축물을 비롯 더 이상 이용되지 않는 철도, 도로 등이 있다. 산업구조가 변경되면서 2000년대를 위한 새로운 탈바꿈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도시계획분야의 새로운 마스터플랜이 요구된 것이다.
2001년 뒤이스부룩시 전체 녹지구조와 도시녹지발전계획에 대한 본 설계사무소의 보고에서, 장기적인 계획 측면에서 도시내부의 "Grn Ring(녹지벨트)"과 강과 인접한 잠재성 높은 도시지역으로의 "Rhein Park"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그 후 2002년 Rhein Park 프로젝트 기본구상과 기본설계용역을 받아 2003년 뒤이스부룩 시에 발표 후 최종적으로 기본구상과 설계의 틀 안에서 설계공모가 이루어졌다. 이 설계안은 향후 2008년까지 구현될 예정이다.


설계 공모 대상지 개요
설계 대상지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지역으로서 루르지역(Ruhrgebiet)에서 산업과 공업이 집약되었던 부분에 속한다.
뒤이스부룩(Duisburg) 남쪽에 위치한 대상지에는 남쪽으로 라인강이 흐르고 있다. 1848년 이래로 공업용지 즉, 철 생산가공지로써 이용되었으며 현재는 압연철사 공장으로 생산공장과 저장창고로 이용되고 있다. 공업용지로써의 대상지 토지이용은 점차적으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옮겨지는 것으로 계획 중이다.
대상지의 규모는 약 63ha에 달하고, 대상지 주변은 밀집된 주거단지로써 주거와 상업용지, 시민의 공공이용 용지로서의 탈바꿈이 집중적으로 요구되는 지역이다. 뒤이스부룩 시에서 150년 이상된 공업용지로써 본 대상지에는 새로운 두 개의 과제가 주어졌다.
첫번째는, 장기적으로 계획하고 있는 도시내부의 "Grn Ring(녹지벨트)"을 연결시키는 하나의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었고, 두번째는, 뒤이스부룩시를 위해 라인강을 도시 내부와 연계시키고 살아 숨쉬는 주거단지로 발전시킴과 동시에, 시민을 위해 라인강을 가까이 제공하여 느끼고 체험하게 하는 것이다.
"Rhein Park"을 통하여 이 두 개의 과제를 실현함으로써 점차적으로 질 높은 도시의 주거, 여가, 휴식과 상업의 발전이 연결되며 지속가능한 기능의 다양함을 산출해내고자 한 것이다.

1등안
Bonifatius Kirche Platz로 인접하는 곳에 넓은 두 줄의 Allee를 라인강까지 교통차단 지역으로 설정하고, 건축물의 형태는 단위블럭형 구조를 이용한다. 블록형 내부의 저층형 건축을 포함한 블록형 가장자리 건축부분은 중간중간 사이를 떨어뜨린 구조를 취함으로써 주거단지 내부의 가로수길을 조성한다.
특별한 이용을 제공하는 새로운 장소의 열(列)로서 각각의 서로 다른 단독형 건축물 구조는 높은 Quality를 유지하면서 서로 다른 밤과 낮의 도시 실루엣을 라인강으로 보여주게 될 것이다.
건축의 용도는 서비스업, 주거, 호텔, 레스토랑, 질 높은 상업, 문화공간 등으로 이용된다. 교통면에서 단지 내부의 도로는 거주민을 위한 차도로 이용하고, 블록 내부의 정원로와 두줄의 Allee는 질 높은 보행자 전용로로 제한된다.
단지의 도시설계 축은 Rhein Park 안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라인강으로 유도되며, 새로이 밀집된 주거 단지와 녹지의 풍경은 분리되어 큰 대조를 이루어 조성된다.
녹지는 끝없이 펼쳐있는 초지 풍경을 만들고 그 초지는 조금씩 경사면으로 올라가기도 하고 내려오기도 하는 새로운 모형들로 변화시켰다. 이로써 방문자는 복잡한 라인공원 단지의 변화가를 떠나 서로 다른 길들을 걸어 가벼운 초지의 경사면으로 인도되어 산책할 수 있도록 유도된다.
과거의 역사적 산물로써의 중요한 것들은 설계에 첨가/반영시켜 새로운 시설물로 재이용한다는 원칙하에, 기존의 담으로써 경계물들은 대상지 바닥형태를 변형시키는 데에 이용되며, 서로 다른 관찰자의 시각을 자극/변화시킴으로써 Skatepark, Streetball, Beachvolleyball 등의 이용형태를 제공한다.

위의 설계안들을 보면 도시계획에 있어 조경설계가 반드시 도시설계단계에서부터 참여하여 함께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독일에서 조경가가 하고 있는 역할을 볼 수 있다. 독일에서의 조경설계는 건축/도시설계가 만들어 놓은 건축물 주위의 주어진 공간에 조성하는 소극적인 설계가 아니라, 도시설계와 조경설계가 같은 선상에서 목적하는 바를 위해 최대의 해결안을 찾아 외부공간을 해석해 내는 것이 당연시 되고 있다.
건축물에 대한 형태와 방향, 밀집도 등에 해당하는 외형적/물리적 부분에 대한 결과물 판단을 위해서도 조경의 역할이 중요하다. 건축물 위치와 방향의 변화, 덧붙여 건축물의 특성에 따라 도시와 도시 외부공간의 Quality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조경설계는 도시 외부공간에 대한 “해답”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목적하는 바에 대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고, 수학적/물리학적인 공간에 대한 최고의 답을 제시해야 한다. 도시계획과 건축에서 도시의 미적인 추구를 위해 만들어내는 선과 면과 사물은 이러한 답을 제시하지 못하며, 조경가가 함께 대상지의 경관을 논리적으로 분석해냄으로써 결과적으로 합리적인 공간이 도출되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도출된 공간은 지속가능한 기능적인 다양함을 추구함으로써 합리적 해답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안 수 연 Ahn, Soo Yeon
S+R Freiraumplanung 설계사무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