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문화와 일상 속의 조경
<환경과조경>에서 실시한 ‘한국 현대조경 대표작’에 관한 설문조사 중,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크게 끼친 조경공간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문결과를 보면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도시 안의 대규모 공원이다. 일산 호수공원, 올림픽 공원, 분당 중앙공원 등은 시민들의 생활 속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공간이다. 두 번째 유형은 도시의 자연 인프라를 이용한 하천변 공원이다. 양재천이나 한강 시민공원들은 길게 뻗어 있는 자연녹지 공간으로 시민들의 생활공간과 더 많은 접점을 가진다. 세 번째 유형은 도시 내에 산재한 소규모 공원같은 녹지 공간과 가로 등이다. 서울 시내 쌈지공원이나 덕수궁 보행자 거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우리의 일상 생활 속에서 조경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주 5일제의 실시로 여가, 레저 공간으로서의 도시공원의 필요성은 더욱 중요해 졌고, 웰빙 열풍에 힘입어 자연생태공간의 가치는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도시 생활 공간 내에서 차지하는 공원과 녹지 공간들의 가치와 의미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단지 도시 내에 조경공간이 양적으로 늘어났다거나 또는 일상 생활 속에서 조경이 차지하는 위상이 높아져다는 차원에서의 해석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일상생활, 우리를 둘러싼 문화와 조경과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얼마나 일상생활에 밀착한 조경설계를 해왔는가? 생활문화를 수용하는 조경을 해왔는가? 라는 질문을 제기해 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시민들의 일상 생활과 문화라는 관점에서 현재의 조경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현상을 조망 해보고, 문제점을 드러냄과 동시에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까지 진행된 도시 공공 조경사업들의 성과는 인정할 만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 주위에 형성된 조경 공간들을 관찰해 보면 공간 구성에 있어 문화적인 면이나 생태적인 면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고, 그 결과 사람과 문화는 부재한 채 물리적 장치만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간 계획시에 문화를 담아내도록 하는 마인드의 변화와 실천전략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공간들은 보다 일상생활에 밀착해야 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현방법을 찾아야 한다.
… 후략 …
조 경 진 Zoh, Kyung Jin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 교수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