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어권의 최신 조경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는 “Landschaftsarchitekten I, II, III권”이 조경설계사무소의 자료실이나 조경학과의 연구실에 거의 빠짐없이 꽂혀 있는 것을 보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 조경작가나 작품은 국내에 그다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어쩌면 독일은 생태의 나라이며 조경디자인은 ‘별로’라는 통념이 지배하고 있는 듯한데 그 이면에는 독일에 대한 “심각하고 원리 원칙대로 사는 사람들의 나라” 따라서 “예술이나 디자인과는 어쩐지 먼 나라”라는 선입견도 작용했겠지만, 무엇보다도 바우하우스 움직임 이후 20세기 독일 조경이 미국 혹은 영국과는 또 다른 독자적인 길을 걸어 왔다는 사실이 가장 큰 작용을 한다고 보아야겠다.
이에 독일의 독특한 20세기 조경이라는 배경이 낳은 대표적 조경인들의 생애와 작품을 두 회로 나누어 소개하고자 한다. 그 중 오늘 얘기할 칼 푀르스터는 스스로 조경가(Landscape architect)라고 불리기를 거부한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20세기 독일 조경의 대부역할을 담당하였던 인물이고, 칼 푀르스터를 모르고는 독일의 현대 조경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관점에서 그의 생애와 작품을 먼저 소개하기로 한다.
칼 푀르스터는 1970년에 96세로 세상을 떠났는데 30여년이 지난 오늘도 그의 영향력은 생생하게 살아 있어 그가 표방한 “일곱계절의 정원(Garten der sieben Jahreszeiten)”과의 씨름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표현주의 예술과 (Expressionismus) 바우하우스라는 쌍두마차를 타고 20세기의 관문을 선두로 질주하던 독일이 20년대에 불현듯 기수를 바꾸어 모더니즘의 길을 떠나 버린 데에는 1차 대전, 2차 대전과 나치라는 역사적 변수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1차 대전 이후 독일에서는 민족적 주체성을 찾으려는 사회전반의 움직임과 더불어 새로운 조경의 방향을 잡으려는 격렬한 태동이 일었고, 이 태동은 나치 정권이 들어서기 직전인 1929년을 전후하여 ‘新풍경주의’라는 새로운 조경양식을 낳게 한다.
新풍경주의는 결국 독일식의 모더니즘인 셈인데, 이로서 독일은 국제주의 모더니즘과 (Internationalismus) 정식으로 결별을 선언한다.
新풍경주의는 이후 독일 20세기 조경의 기틀이 되었고, 1960년대 말 환경운동이 여기서 갈라져 나오게 되는데 이를 탄생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세 명의 조경인이 칼 푀르스터, 헤르만 마테른, 헤르타 함머박허이다. 다음 호에 소개하게 될 헤르만 마테른, 헤르타 함머박허는 젊은 부부로서 당시 신세대를 대표하는 인물들이었으며 칼 푀르스터는 이 둘의 代父역할을 한 사람이다.
특기할 것은 칼 푀르스터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엄밀한 의미에서 조경인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는 원래 정원사였고 정원사이기를 고집하였으며 동시에 자연 철학자였다. “나는 다시 태어나고 또 태어나도 정원사가 될 것이다.” 혹은 “온 세상 사람들이 정원사라면 세상은 평화로울 것이다.”라는 말은 괴테의 “신이 나를 정원사로 만들었다면 나는 더 행복했을 것이다.”라는 말을 이어 받는 것으로 기실 푀르스터는 괴테의 낭만주의적 고전주의의 유산을 그대로 이어 받고 있다고 봐야 한다. 정원사의 사회적 위치를 확고하게 하는 데에도 적지 않은 공헌을 한 그는 평생 3백여종의 숙근초화류를 육종하였고 30권의 책을 썼다.
그는 낮에는 정원을 만들고 해가 지면 포츠담 자택 서재의 녹색 전등갓 아래서 글을 쓰는 생활을 70여년간 지속한다. 마지막 날까지 푀르스터는 조경과 집필의 작업을 멈추지 않았는데 그가 그리 오래 산 것은 정원사로서 할 일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라고 그의 제자들은 말하고 있다. 그의 소망은 “온 세계의 정원화”였고, 그 방법론으로 세계 곳곳에 전시용 정원을 만들어 네트워크로 연결 할 것을 제시한다.
실제로 그는 1910년 그의 저택 정원을 전시용 정원으로 개방하고, 1934년 포츠담 프로인트샤프트 섬에 두 번째의 전시용 정원을 짓는데 성공하며 그와 뜻을 같이하는 동료들과 훗날 그의 제자들이 전 유럽에 세운 전시용 정원이 현재 서른 곳을 헤아린다.
그의 저택과 정원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유명한 녹색 전등갓을 포함하여 그의 서재는 지금도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수많은 그의 글들은 자연철학뿐 아니라 샘솟듯 하는 정원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로 점철되어 있는데 그만의 독특한 언어구사와 최상급으로만 진행되는 자연예찬은 오늘의 정보문화 시대의 정서로는 읽기가 벅찬 감이 있어 “너무 달콤하기에 쓴 독주로 중화시켜가며 읽어야 한다.”는 ‘푀르스터 독서 방법론’이 제시될 정도이다.
그는 유럽 전역에 수많은 작품을 남겼으나 단 한 장의 도면도 그려 본 적이 없는 조경인 아닌 조경인이다. 그럼에도 그를 기리는 기념정원이 곳곳에 만들어 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정기적으로 열리는 정원전시회에는 칼 푀르스터 이름으로 그의 아이디어를 딴 일곱 계절의 정원을 만드는 것이 마치 필수 과목처럼 되어 있다.
고 정 희 Go, Jeong-Hi 삼성에버랜드(주) 환경개발사업부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댓글(0)
최근순
추천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