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로타워와 태평로 타임파크 조경에 대한 단상 -
일반적으로 사무 환경이라 함은 실내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심미적 또는 환경 요소들의 모든 구성을 지칭한다. 사무 환경에서 실내 공간의 비중은 대부분 컴퓨터 관련 제품에 의해 좌우된다. 그만큼 컴퓨터가 차지하는 공간감은 크고 사용 빈도 역시 대단히 높다. 실내 사무 환경 구성은 그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취향을 반영하며, 거꾸로 공간구성원에 의해 사무 환경이 변화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내 환경이 아무리 쾌적하여도 특별히 만족할만한 공간감을 느낄 수 없다. 쾌적함과 사유를 동반한 휴식을 제공하기에는 충분치 않다는 말이 된다.
오피스빌딩 내부 공간의 실정과 달리 외부 공간은 이러한 부족한 환경 요소들을 채워줄 수 있는 역량을 가진다. 오피스빌딩 조경은 다른 공간에서의 조경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건물을 장식하는 미적인 효과만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디자인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효과를 요구하고 있다. 빌딩 내부 공간과 연계하여 외부 공간이 지니는 기능 요소로는 주차, 휴게, 관리 기능이 포함된다. 나아가 빌딩 주변의 다른 건물 및 가로의 경관과 이어져 삭막한 도시 전체 경관을 부드럽게 한다. 부드럽다는 것은 경관의 이미지를 보다 자연적인 경관으로 변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 오피스빌딩 조경은 사적 프라이버시를 채워주는 공간이 아니다. 오피스빌딩 구성원의 이용을 넘어서 도시 전체 시민들에게 열려 있는 공간, 즉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인 것이다. 따라서 오피스빌딩 조경의 기본 개념은 공공적인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출발한다. 서울의 경우, 오피스빌딩 조경이 제대로 이루어진 곳이 많은 편이다. 그 중 대표적인 오피스빌딩 조경을 소개하면서 오피스빌딩 조경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교적 최근에 구 화신 백화점 자리에 터를 잡은 종로타워와 태평로 삼성본관 뒷마당인 타임파크가 그곳이다.
긴장과 이완의 공간-종로타워 조경
이곳에는 국세청이 입주해 있다. 종로 사거리라 하면 이곳을 말할 정도로 인지도가 매우 높고, 주변에 다양한 문화가 꽃필 수 있는 입지적 조건을 갖춘 곳이다. 종로타워 자체의 건물 형태도 독특하다. 멀리서 바라보면 건물 꼭대기의 형상이 전체의 분위기를 흡인하는 힘이 있는데 마치 사마귀의 모습을 구상화시킨 듯 하다. 건축 전문용어로 탑클라우드(TOP CLOUD)라고 하는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상층부가 있기 때문이다. 종로타워 빌딩 조경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빌딩 바로 앞 광장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앞 공간은 방문자들의 처음 접하는 곳이므로 좋은 인상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미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장식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건물로 진입하는 공간의 규모와 형태에 어울리는 개념을 적용해야 한다. 진입하기에 편리한 포장된 진입 광장을 확보하여야 하고 환경 조형물이나 수경 시설물, 조경 시설 등이 배치되어야 한다.
휴먼스케일을 무시한 도심의 심술 사나운 폭력자처럼 우뚝 세워져 있는 건물 외관과 달리, 종로타워 앞 광장 공간은 그나마 인간적이다. 포장된 광장에 공룡시대에 함께 했던 살아 있는 화석인 메타세쿼이아를 식재하였다. 도시 오피스빌딩 조경에서 다양한 조경 식재 기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것은 건물과 주변 형태가 정형적이라는 데 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하여 지나치게 도식화된 식재 형태가 몰개성적으로 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경 수목의 수형을 면밀히 검토하여 빌딩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메타세쿼이아는 원추형의 수형을 지녔고 원줄기가 곧게 하늘을 향해 자라는 것이어서 종로타워 빌딩의 수직적 높이를 따라가기에 상호보완적이다.
그러나 작가는 정형적 수형의 메타세쿼이아를 선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형화된 패턴을 거부하였다. 정형화된 수형의 나무를 이용하여 대칭 또는 균형의 미를 선택한 것이 아니라, 통일성과 다양성이 조화될 수 있도록 동양의 천지인 사상에 바탕을 둔 부등변삼각형 식재 기법을 창의적으로 확대 연결하여, 활동적이고 부드럽고 유쾌한 아름다운 공간 배치를 시도한 것이다. 거대한 나무를 심어야 했기에 관수 시설을 꼼꼼하게 설치하여 식재 후의 관리에 만전을 기했으며, 공간 배치의 넉넉함과 조여줌에 의하여 긴장과 이완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도는 조경 시공 이후 발생되는 인간 행태로 여실히 증명되고 있다. 각종 공연이 이 넓지 않은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때로는 독특하게 디자인된 벤치에서 기다림의 여유를 지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로타워 앞 공간의 랜드마크(landmark)는 메타세쿼이아이다. 메타세쿼이아로 랜드마크적 의미를 잘 살렸으며, 또한 보행자 통행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식재 패턴을 적용하여 개방적이고 투과성이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비해 종로타워 옆 공간의 세밀한 묘사 부분은 매우 특출나다. 주택정원의 정치(精緻)함 못지 않는 곳이 이곳 빌딩 주변 조경이다. 도시라는 환경을 잠시 잊을 수 있을 정도이다. 빌딩 주변을 살펴보고 잠시 머무를 여유가 없다면 이곳은 그냥 지나치기 쉽다. 지상부의 교목과 소교목, 관목, 지피식물 등이 어우러져 중층(重層) 식재층을 형성하고 있다. 당장이라도 다람쥐가 튀어나올 정도로 무성하며, 견고하게 다져진 보디빌더의 몸 같은 수풀이다.
면적이 얼마 되지 않는 빌딩 옆 공간에, 중층의 숲을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의 신선함과 생각을 식재 시공으로 표현해냈다는 데 외경심이 생길 정도이다. 메타세쿼이아가 심겨진 빌딩 앞 공간이 삶의 긴장을 그대로 받아들인 채, 개별적인 사색을 일으키게 한다면, 빌딩 옆의 중층 식재 공간은 삶에서 조금 벗어나 완전한 사색을 도출하게 할 수 있는 여유로움을 물씬 품고 있다. 도시에서 생태적 식생 구성이라는 것은 여전히 요원한 일이다. 디자인 측면에서 인공섬 같은 도시에 숲을 만들려는 시도 자체가 비생태적 사고일 수 있다. 그러나 종로타워 빌딩 조경처럼, 주어진 물리적 여건 그대로를 수용한 채, 거기서 출발의 첫 삽을 뜨고, 살아 생동하는 긴장과 이완의 공간으로 율동을 갖추게 한 것은 매우 높이 평가할 만한 일이다. 오피스빌딩 조경의 본보기가 종로타워 조경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낯선 시각 체험-삼성본관 조경
태평로 삼성 본관 뒷마당에의 공간은 매우 절제된 조경 공간이다. 어쩌면 종로타워의 경관이 언뜻보며 지나가는 공간이라면, 이곳 타임파크는 바라보는 공간임과 동시에 마주보는 공간이다. 도시 경관의 무감각한 조경의도와 달리 잘 다듬어진 대왕참나무(핀 오크)를 위요시켜 안정적이며 편안한 공간감을 제공한다. 종로타워의 메타세쿼이아의 식재 기법처럼 대왕참나무 역시 수형을 다듬은 상태에서 부등변삼각형 식재 방법을 기본 식재 패턴으로 적용하였다. 주어진 공간이 소공원 정도의 규모임을 고려할 때, 부등변삼각형 식재 패턴으로 군식에 가까운 배식 형태를 선택한 것은 공간의 활용도를 고려한 것이다. 보여지는 공간임과 동시에 이용되는 공간으로의 실질적인 조경의도가 개입된 것이다.
실제로 이곳은 점심 시간을 이용하여 전통예술공연도 이루어지기도 하는 등, 주변 직장인들의 자부심을 올려줄 수 있는 휴식 공간으로서의 배려가 깃들어 있다. 시설물 또한 개성 있고 깔끔하게 설치되어 나무랄 데 없이 간결한 맛을 안겨주고 있다. 삼성 본관과 삼성생명빌딩이 주변 빌딩들로부터 태평로의 랜드마크를 형성하고 있는 건축적 입지에서, 타임파크의 조경계획은 신중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조경이 건축의 이미지를 넘어설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가는 건축의 이미지에 맞는 조경 식재 유형을 구축하고자 수종 선정에서부터 정교한 건축적 장치를 고려하였을 것이다. 식재된 대표 수종인 대왕참나무는 그러한 의도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자연형 수형으로도 충분히 건축적 외형을 보여주는 대왕참나무를 정형?정지하여 더욱 건축적 형태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주변 건물과 도심의 이미지를 상충시키지 않으면서 어울리게 한 것이다.
다만 아쉬운 것은 대왕참나무의 외형과 달리 타임파크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바라보게 되는 가을의 정취이다. 대왕참나무의 단풍은 윤택이 도는 붉은색이다. 검은 색조가 함께 개입하면서 붉은색으로 물들어간다. 언뜻보며 지나치는 종로타워의 공간이라면 모르겠으나, 바라보며 마주보는 공간에서의 대왕참나무의 단풍은 몰입할수록 정서에 빈틈이 생긴다. 가을은 단풍의 계절이다. 잎이 노랗게 되는 것은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클로로필은 분해되고 저항력 있는 카로티노이드가 남기 때문이다. 그러나 붉은 색조의 단풍은 원인과 과정이 다르다. 푸른 잎에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은 안토시아닌이라는 붉은 색소가 잎이 노화됨에 따라 새롭게 합성되는 것이다. 물론 나무의 종류나 환경의 영향에 따라 차이가 있다. 붉은 단풍으로는 복자기나무를 비롯한 단풍나무류와 옻나무류 등이 익숙하다. 그냥 스쳐보는 경우에는 대왕참나무의 단풍은 낯설지 않다. 가까운 거리에서 바라볼 경우에 마음이 편치 않아진다. 심리적으로 대왕참나무의 단풍 색조가 시각을 통해 긍정적으로 안치되지 않기 때문이다.
익숙한 것은 지나칠 경우가 많다. 낯선 것은 인상적이다. 검은 색조가 개입하면서 진한 붉은색으로 물드는 대왕참나무의 경우, 새로운 시각 경험을 체험하게 한다. 사계절이 뚜렷한 산천에서 보고 느끼던 시각 체험이 낯선 색조의 시각 체험을 만났을 때, 기존의 시각 체험에 추기할 것인가, 배제하여 버릴 것인가에 대한 판단의 독촉을 해결하여야 한다. 마치 목련류의 꽃들이 질 때쯤 꽃잎이 문드러지듯 추하게 되는 것을 외면하는 것과, 꽃 전체로 장렬하게 낙화하는 능소화나 무궁화가 섬
댓글(0)
최근순
추천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