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조경조명(11) - 조명기구 각론(8)(광섬유 조명)
  • 환경과조경 2001년 11월
광섬유 조명 (Fiber optics lighting) 광섬유조명은 에너지 사용 효율이 높고, 칼라연출이 비교적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이 알려 지면서 최근 조경분야에서도 이 시스템의 적용빈도가 높아 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번호에는 광섬유 조명의 시스템 구성방법 및 요소, 그리고 사용방안에 대한 내용을 고찰해 본다. 광섬유의 구성요소 광원(램프)을 내장하고 Lightsource(Generator)부분, 광섬유 케이블인 Lightguide부분, 그리고 말단기구인 Fitting으로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 진다. 각부 명칭은 제조사 마다 다르게 부르기도 하나 대부분 상기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그림은 끝단 발광형 광섬유의 구성으로서 광섬유 케이블 외피는 빛이 새지 않도록 불투명한 외피로 피복되어 있다. 측면 발광형은 Termination과 Fitting이 필요 없으며 광섬유케이블은 투명한 외피로 피복되어 있다. 조광장치 Lightsource(Generator) 조광장치 내부에는 램프(할로겐50W, 메탈150W, MSD200W, 메탈400W용이 있음)와 램프 구동을 위한 장치, 칼라필터휠과 구동 모터(Option사양임, 8칼라), 배기FAN이 내장 되어 있으며, Option 사양일 경우 칼라 동기화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제어부가 첨가 되어 있다. 조광장치는 내부용과 외부용으로 구분되어 있어 외부용의 경우 외부 환경에 견딜수 있는 재질의 박스나 외함용 박스가 함께 공급 된다. 그로므로 설계시 외.내부용 조광기를 명시하여야 한다. ▲ 광섬유 설치사례 광섬유 Cable (Lightguide) 광섬유케이블은 조광장치에서 방사된 빛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Glass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플라스틱류) 2종류의 재질로 제작된다. 조경조명에 주로 적용되는 PMMA케이블은 이용형식에 따라 끝단발광형(Endlight)과 측면 발광형(Sidelight)이 있으며, 각케이블의 규격은 표1과 같다. 이표를 참조하여 요구되어 지는 빛의 양과 설치 여건을 감안하여 적정 사양을 선정한다. 조광기에 부착되어 있는 Polyconnector에는 구경 Ø9 또는 Ø28 규격이 정해져 있어 표1과 같이 케이블 규격에 따라 Polyconnector에 접속할수 있는 가닥수가 한정되어 있음에 유의 하여야 한다. 이성재 Lee, Sung Jae·(주)알토 실장, 전홍철 Jeon, Hong Chul·(주)알토 대리 Landscape Lighting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