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생태골프장 ; 골프장 개발을 위한 환경적인 접근
  • 환경과조경 2000년 9월
골프장의 계획과 디자인은 골프장 건설 프로젝트의 목표를 위해 활용, 실용, 거리, Par등의 조건을 깊이 연구해야 하고,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입지의 모든 정보를 분석하여 디자인해야만 한다.
환경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해결책은 계획과 디자인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성공적인 골프장 개발에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골프장의 건설과 관리상의 문제점은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풀 수 있다. 입지에 대한 정보를 재고하고 검토한 후에, 디자이너는 자기의 컨셉을 골프장 디자인에 넣어야 한다. 디자이너는 환경적인 문제와 디자인 사이에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킬 것이며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단계에서 사례조사(case study)가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디자인 과정에서 가장 신중하게 검토해야할부분은 늪지대, 야생동물보호구역, 채소재배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민감한 자연지역은 때때로 확실하게 구분될 수 있는 다른 특징을 보여줄 수 있어 이러한 구역이 골프장에 속하면 자연 보존적인 골프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늪지대를 비롯한 민감한 자연구역을 없애야 하는 단계에 놓이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자연보전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민감한 자연구역은확연한 구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디자인 작업중 입지조건의 정보에 의해 디자이너는 현지답사를 하게 되는데, 가장 민감한 자연 구역은 늪지대라고 할 수 있다. 늪지대의 위치에 따라 특징과 질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보존적인 가치가 없는 늪지대에 대해 디자이너는 보존 유·무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만약 없앨 경우, 새로운 늪지대 조성이 야생동물의 서식지 제공은 물론 골프장의 일골프장내 환경보존 사례이다.

민감한 동물보호구역 디자인
Giant’s ridge golf course의 조성은 도립공원 한 복판에 짓는 골프장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골프장의 경우 가장 힘들었던 점은 야생동물(특히 희귀종)에 대한 동물 보호구역을훼손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첫 대 책은 많은(약30회) 현장 답사 후에 마지막 디자인을 한 것이다. 이러한 잦은 현장답사가 모든 사람이 만족하는 마지막 디자인을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 가장 고심했던 것은 grading 문제점이었다. grading을 결정하기 전에 표면배수 처리를 했고 이것이 주변지역의 오염을 막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주변 계곡으로의 표면배수의 역류를 막기 위해서였다. 17번홀의 경우, 위치가 호숫가이다. 그래서 grading으로 호수로 바로 들어 가는 표면배수를 막았다.

민감한 자연환경의 보존
The Old Tabby Links 골프장의 초기 계획기간 중에, 골프코스 디자인 팀은 땅 개발자, 건설업자, 고고학자, 생물학자, 식물학자, 해변보존전문가, 조경, 토목 등과 함께 공동작업을 하였다. 이 공동작업에서 특히 주의할 것은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고 해변가의 민감한 지역이며 야생동물 거주지가 위치해 있어 보존해야 하는 지역이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문제점은 회랑(corridor)지역이 골프장 부지를 가로 지르는 것이었고 두 번째 문제점은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의 보존이었다. 그래서 마지막 디자인 단계에서 넓은 회랑지역을 보존하는 의미로 골프장의 특징을 바꾸었고 아주 중요한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은 골 프장 중간에 보존하는 것으로 골프장의 특징을 바꾸었다.
그래서 아래의 3가지 방법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였다. 첫째, 잔디로 인한 녹지대는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을 피하였다. 클럽하우스로 가기 위한 9번홀의 경우 두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의 중간을 통과하게 하였고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보존을 위해 기존의 건 물을 파괴하여 그린을 조성하였다. 둘째,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의 발굴과 디자인으로 17번홀의 경우, 발굴한 후에 그린의 위치를 디자인했다. 셋째, 현장에서의 보존(고고학적인 지역)과 미래의 발굴을 생각한 디자인으로 18번홀의 경우 현장을 보존했고 16번홀의 경우 미래의 발굴을 위해 그린지역을 옮겼다. 또 다 른 문제는 늪지대에서 물이 빠져 나오는 경우인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늪지대 → buffer zone → 해변가’식으로 buffer zone을 살려두었고, 두 번째로 늪지대로부터 물 유출을 막기 위해, 억새풀이나 갈대같은 기존의 풀을 늪지대 주변으로 크게 조성하였다.
위의 두가지 방법으로 처리한 지역은 얼마동안 늪지대로부터 물 방출을 막을 수 있었고, 풀과 모래는 물을 여과하는 작용까지 하게 되었다. 또 다른 문제는 야생동물 보호구역의 보존과 건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디자이너는 자연스러운 “dune”을 건설하였다. 그래서 디자이너가 만든 dune은 기존의 풀 종류와 같은 것을 식재하여 새로운 동물 서식지를 제 공할 수 있고 또한 골퍼에게 자연적인 아름다운 해저드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럼으로해서 골프장부지의 1/4이상이 기존의 것과 같은종의 풀이 식재되었다.
골프장 부지속의 조그마한 섬(기존의 자연)들은 지속적인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 남게 될 것이며 다음세대를 위해서라도, 골프장 을 디자인하고 건설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개발되어야 할 부분과 개발된부분과의 조화이며, 자연에 순응하여 기존의 자연과 인공의 자연이 함께 어우러져야 하는 것이다.


※ 키워드 : 골프장, 골프장개발, 환경, 골프장환경적접근
※ 페이지 : 82 ~ 87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