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전통문화속에 담긴 조경 ; 전통회화속에 나타난 자연관과 조경양식
  • 환경과조경 1997년 9월
산수화의 구도법에 따르면 조선시대 정원에는 고원에 해당하는 쳐다보기, 심원에 해당하는 들여다보기, 평원에 해당하는 되돌아보기와 멀리보기의 시각형태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세가지 시점을 위한 삼원법의 의미는 조선시대 정원의 계획원칙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 사례로 전라남도 담양의 소쇄원, 광주의 환벽당 등을 들 수 있다. 산수화를 통해 본 한국인의 경에 대한 태도는 자연의 일부를 취사선택하여 자연의 정수를 포착하고 더 나아가서 자연경관의 의미를 추상화하거나 상징화를 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키워드 : 전통문화, 전통회화, 자연관, 조경양식, 전통조경양식
※ 페이지 : 78-82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