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전통옥외계단
  • 환경과조경 1996년 3월
계단은 건축물의 기단을 쌓아올려 생긴 계단과 높낮이가 다른 두 공간을 연결시키는 계단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그 중 기단형 계단은 권력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고대의 신전에서는 인간이 신과 동일평면에 산다는 것을 불경이라 하여 신의 주거를 높여 권위의 증대를 도모하였다. 우리나라 궁전의 경우 왕이 기거하는 정전에 딸린 계단을 가장 높이고 규모를 크게 축조하였는데 사찰의 경우도 중심이 되는 대웅전이 가장 높게 위치하여 수많은 계단을 통과하도록 하였다. 우리나라의 궁전은 대개 평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계단의 형태도 기단형이나 사찰의 경우 그 입지에 따라서 계단의 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나며 그 계단을 특성별로 분류하면 평지형 계단, 구릉형 계단, 산지형 계단 그리고 입구형 계단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 키워드: 계단, 평지형계단, 구릉형 계단, 산지형 계단 ※ 페이지: 138~141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