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우리민족이 숨 쉬는 곳 연변
  • 환경과조경 1994년 10월
-길림성의 성도 장춘시 : 인구2백만의 삼림 휴양도시로서 2백여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고 길림성의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으로 방사선형의 광대한 면적에는 각종 공원, 녹지 등이 확보되어 있었으나 사회주의국 나름의 복지시설의 나열이었지 오늘의 우리가 생각하는 도시생활의 질적 환경은 아니였다. 장춘시 노동공원 안의 호수풍경으로 그들 전통 문화의 유산을 오늘의 표현으로 보여주고 있다.
-어제까지의 연변 : 길림성 총면적의 1/4을 차지하는 42.700키로미리미터에 주로 한족과 만족등 19 민족과 어우러져 살면서 총인구 2백만중 조선족은 81만5천명으로 40%를 조금 넘고있었다. 자치주에는 연길,도문,돈화,용정,훈춘 등의 5개 시와 안도, 화룡, 왕청 등의 3개 현이 있으며 도합17개의 진으로 구성되어있다. 자치주의 중심 연결시는 조선족 자치주 인민정부의 소재지이고 정치, 문화의 중심지이다. 민족의 현실 도문시는 두만강 북안, 즉 가야하가 두만강과 합수되는 곳에 자리잡고 있으며 철교와 인도교로 북한의 남양과 통하고 있다. 도문해관이 설치되어 있는 국경도시이다. 역사는 50년밖에 안되고 행방후 자치주 직할시로 된후에 경제, 문화면 등에서 발전하여 왔다. 독립운동의 요람 용정은 벌이 넓고 비옥하기 때문에 구한말 조선에서 들어오는 난미들은 이곳 용정을 거쳐 연변으로 흩어져 1924년 일제때에는 연변에서 가장 번창한 도시였다. 급진적 지식인들과 혁명투사들이 글을 가르치면서 반일 계몽운동을 하여 한때 연변 조선족의 반일운동 중심지이기도 하였다. 백두산의 길목, 안도현은 자치주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비로 현 단위이긴 하지만 한국의 충청북도 면적과 비슷한 넓이를 갖고 있다. 백두산이 경내에 포함되어 있어 뛰어난 경관자원을 배경으로 관광산업에 눈을 뜨고 있다.
-변하고 있는 오늘의 연변사람들 : 풀뿌리 보다 질긴 연변의 정착과정은 1640년대 청조 통치가들은 압록강과 두만강 지역을 만족 선조의 발상지라 하여 룡흥지지라 칭하고 이민족의 거주를 금지 시쳤다. 그러나 갖은 방법으로 계속 강안 일대에서 농사를 지어 지방의 관병들로 하여금 막을 길이 없게 하였다. 그들의 의식구조는 분명 2개국에 속하고 또다른 체제속의 동일한 민족으로서 혈통, 기질, 문화, 풍속, 심리, 소질면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와 공통성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들의 의식속에 남아 있다는 민족의 정통의식, 민족의 자존의식, 민족의 친화 의식, 타민족과의 경쟁의식, 애국의식 등은 지난과정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근본적 요서이기도 하지만 내일을 살기 위한 지침으로서도 이어지기만 기원할 뿐이다. 변하고 있는 상황들은 최근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도 중국인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었다다. 중국 인구 12억중 97%를 차지하는 한 족들의 자연증가율과 동화정책에 의한 의도적인 한족 이주 정책에 의한 결과이다. 마지막 상황변화의 한가지는 그들은 그렇게 쉽게 변할 수 없는 지난 역사와 이념을 간직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록 공산주의의 50년 실책을 인정하며 우리와 같은 감정의 민족의 동질성을 한때 찾았으나 그들의 정서적 상대는 결코 우리가 아니라는 점이다. 끈질긴 민족감정의 표현을 이념전달이라는 긴장감으로 오늘의 순간을 극복하지 못하고 오직 이익의 대상으로만 민족을 찾는 현실이 안타까우며 건전한 장래를 염원할 뿐이다. 지혜롭지 못했던 선조들의 업보로 이민족의 변기통이나 끌어안고 괴로워하는 후손들이 다시는 없어야 할것이다.


※ 키워드:길림성, 장춘시, 연변, 연길, 도문, 용정, 안도
※ 페이지:100~106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