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주택정원의 바람직한 조성방향을 각 정원 양식에 내재하는 주요 구성개념의 고찰을 통해 설정하고, 우리의 현황에서 대두되는 문제점에 비추어 기본적인 설계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주택정원의 개선을 위한 설계 방향의 설정에 있어 기본적인 문제점들을 거칠게나마 살펴보면 첫째, 주택정원의 조성에 있어 방법론의 부재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앞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전통의 단절과 정원에 대한 인식의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공간구성 및 시각구성 개념의 빈곤에서 나타나는 공간체계의 미확보 및 공간별 성격의 불명료함이다. 셋째 내적 질서 개념의 주거공간 조성에 따른 주거환경의 쾌적성 및 사회·행태적 교류의 부족이다. 즉 프라이버시는 잘 확보되는 편이나 공간·시각적 연결의 부족으로 주거환경의 쾌적성이 떨어진다. 넷째 옥외공간 이용에 대한 인식 부족 및 시설미비이다.
주택정원에 있어서도 새로운 양식이란 소수 설계가의 제안이나 어떤 형식적인 제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오랜 시간에 걸쳐 다양한 시도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생활의 장으로서 주민 집단의 사회, 문화적 속성 등의 제요인들과 깊이 있게 접합되어 합의를 이룰 때 비로소 형성되는 것일 터이다.
※ 키워드 : 한국전통정원의 공간구성, 일본 현대주택 공간구성, 구미현대 주택정원공간구성
※ 페이지 : 48~57
주택정원에 있어서도 새로운 양식이란 소수 설계가의 제안이나 어떤 형식적인 제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오랜 시간에 걸쳐 다양한 시도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생활의 장으로서 주민 집단의 사회, 문화적 속성 등의 제요인들과 깊이 있게 접합되어 합의를 이룰 때 비로소 형성되는 것일 터이다.
※ 키워드 : 한국전통정원의 공간구성, 일본 현대주택 공간구성, 구미현대 주택정원공간구성
※ 페이지 : 48~57
댓글(0)
최근순
추천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