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힘의 각축장, 남산의 역사
‘남산의 힘’, 2015.8.7~11.1
  • 김정은
  • 환경과조경 2015년 10월
vnam05.jpg
‘인혁당 재건위 사건 피고인들의 진술서’, 1975,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1960년대 이후 남산 아래에는 국가와 정권 수호의 방패 역할을 했던 중앙정보부와 수도방위사령부가 자리를 잡았다. 특히 41개동 건물의 무소불위 ‘중정’은 ‘남산’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우리에게 남산은 어떤 의미일까. 누군가에게는 데이트코스로 한번쯤 가봤음직한 남산타워와 케이블카의 기억으로, 누군가에게는 한 시절 안기부가 자리한 어두운 공간으로 기억되기도 할 것이다. 한편 2009년부터 서울시는 한양 도성 복원의 일환에서 남산 회현자락 정비를 추진하면서 문화재와 공원의 접점을 모색하고 있기도 하다.

서울역사박물관은 광복 70주년 특별 기획전으로 2015년 8월 7일부터 11월 1일까지 ‘남산의 힘’ 전을 1층 기획 전시실에서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일제강점기와 근현대 시기를 거치면서 권력 등의 힘에 의해 크게 훼손되었다가 다시 우리 곁으로 돌아온 남산의 변화에 대하여 250여 점의 관련 역사 자료들을 망라하여 생생하게 보여준다. 전시는 ‘목멱, 한양의 안산’, ‘식민통치의 현장’, ‘국민교육장 남산’, ‘돌아온 남산’ 이렇게 4부로 구성되었다.


겸재 정선, 김홍도의 그림으로 만나는 남산

1부 ‘목멱, 한양의 안산’에서는 남산이 한양의 내사산 중 하나로 한양의 수호 산이자 친근한 앞산으로 자리 잡는 과정이 전시된다. 남산은 국가 제사의 공인된 공간이자 민간신앙의 성지로서 조선 초기부터 국사당과 와룡묘, 남관왕묘 등이 자리 잡고 있었다. 또한 아름다운 풍광을 배경으로 관리들의 계회 등 풍류의 장소로도 각광 받았다. 사도세자가 쓴 ‘남관왕묘비명’을 비롯하여, 겸재 정선의 ‘목멱산도’(백납병풍), 김홍도의 ‘남소영도’, 김윤겸의 ‘천우각 금오계첩’ 등 쟁쟁한 조선 화가들의 필치로 남겨져 있는 남산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한일합병조약 체결의 현장이자 황국신민의 언덕

2부 ‘식민통치의 현장’에서는 일제의 강점으로 남산이 겪게 되는 훼손의 역사가 펼쳐진다. 1880년대부터 일제는, 임진왜란 때 일본군 주둔지 ‘왜성대(남산 북쪽 일대)’ 지역에 일본공사관, 통감부, 통감관저 등을 설치하였고, 1910년 8월 22일에는 데라우치 통감과 이완용이 한일합병조약을 체결하면서 남산은 국권상실의 현장이 되고 만다.

일제에 의해 가장 심각하게 훼손된 지역은 전망이 좋은 남산 회현자락이었다. 일제는 이곳에 여의도의 두배에 가까운 43만m2의 대지를 조성하여 조선신궁을 세우고 신사참배를 강요했다. 이 밖에도 남산에는 일본인 거류지였던 왜성대에 경성신사, 경성호국신사, 노기신사 등이 있었다.

조선의 정신을 훼손하려는 시도는 이에 그치지 않고, 충신을 기려 만든 장충단을 장충단공원으로 개조하고 그 안에 이토 히로부미를 기리는 사당 박문사를 짓기도 했다. 한편 남산을 일본식 대공원으로 개조하기 위해 우리 전통 소나무 대신 벚나무와 아까시나무를 계획적으로 이식시켰다.

식민통치의 현장 코너에서는 ‘한국합병조약 및 양국황제조칙의 공포에 관한 각서’(1910), ‘경성부남산공원설계안’(1917), ‘조선신궁전경도’, ‘노기신사 수조’ 등 일제의 남산 개조를 통한 황국신민화 정책의 실체를 보여 주는 자료들이 대거 전시되었다. 특히 ‘노기신사 수조’는 남산 내에서 완형을 유지하는 거의 유일한 식민 유산으로 노기신사 터에 자리 잡은 남산원 측의 배려로 이번 전시를 통해 공개되었다.


한국현대사의 압축 공간

3부 ‘국민교육장 남산’에서는 1945년 8.15 광복 이후 현대사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으로서 남산을 이야기한다. 해방 이후, 다시 남산은 냉전으로 분단된 나라의 상징 공간이 되어 좌익 집회가 주로 열리는 이념의 무대가 되기도 했고, 조선신궁 자리에는 건국 대통령의 초대형 동상이 세워지고, 국회의사당 부지 조성공사가 진행되기도 했다.

1960년대 이후 거대 도시가 된 서울 속의 남산은 콘크리트 바다 가운데 푸른 섬이 되어갔다. 또한 남산은 국민교육장이 되어 반공을 주창하는 자유센터가 장충동에 들어서고, ‘애국애족’의 동상들이 산 중턱에 무수하게 세워졌다.

또 산 아래에는 국가와 정권 수호의 방패 역할을 했던 중앙정보부와 수도방위사령부가 자리를 잡았다. 특히 41개동 건물의 무소불위 ‘중정’은 ‘남산’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한편 정부의 경제발전 드라이브 속에서 남산은 공원용지 해제를 통해 급속히 개발되었다. 거대한 외인아파트와 각급 호텔이 다수 들어섰고 도로와 터널이 남산을 관통했다. 야외음악당, 도서관, 국립극장 등 시민위락 시설과 함께 남산 케이블카와 전파송신탑(서울타워)도 이때 세워지게 된다. 지나친 개발 정책은 향후 남산에 대한 보호 의식을 점차 싹트게 하였다.


권위주의 공간에서 시민의 공간으로

4부는 1990년대 탈권위주의 시대에 들면서 남산이 ‘자연’, ‘사람’, ‘역사’의 공간으로, ‘우리들의 남산’이 되는 과정과 함께 남산의 아름다운 모습과 남산 관련 최근의 주요 이슈들을 소개했다.

‘남산 제모습찾기 사업’은 권위주의 청산과 자연환경문제가 제기되면서 시작되었다. 안기부와 수도방위사령부가 남산에서 떠나갔고, 경관을 훼손했던 외인아파트가 폭파·철거되었다.

최근에는 자연환경 복원과 시민 휴식 공간 조성을 위한 시설 철거 사업이 오히려 역사의 기억을 지운다는 문제제기가 있기도 하다. 안기부 터를 인권기념관 등 평화의 공원으로 조성하자는 목소리 같은 남산을 되살리려는 다양한 노력들이 오늘도 활발하다.

전시 마지막 부분은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은 남산을 시민들의 눈을 통해 보는 코너로 마련되었다. ‘추억 속의 남산’이라는 제목으로 시민 공모를 통해 모은 사진 중 30점을 전시했다. 남산의 다양한 역사와 기억은, 남산이 ‘산’이라는 자연에만 그치지 않고 문화, 그리고 사회 구성원과 소통하며 지금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한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