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서울, 그린 바이브 뚝섬한강공원에서, 5월 16일부터 10월 8일까지
  • 환경과조경 2024년 6월

여름의 싱그러움과 예술적 정취를 느낄 수 있는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가 지난 5월 16일 뚝섬한강공원에서 개최됐다. 이번 정원박람회는 5월 16일부터 26일까지 학술대회, 산업전, 문화 행사 등이 열리는 본행사와 5월 27일부터 10월 8일까지 상설 전시로 진행된다. 2015년부터 열린 서울정원박람회는 올해 9회를 맞았다. 역대 박람회 중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는 가장 큰 규모이자 최장 기간의 박람회다.

 

서울시와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환경과조경이 주관한 올해 정원박람회의 주제는 ‘서울, 그린 바이브Seoul, Green Vibe(서울에서의 정원의 삶)’, 부제는 ‘컬러풀 한강Colorful Hangang(색색가지 한강)’이다. 한강을 배경으로 강과 정원이 어우러진 여가 공간을 제공하고 정원으로 다채로워질 한강 경관을 강조하며, 정원이 가지는 힘과 역할에 주목했다.

 

[크기변환]seoul 01.jpg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이 열린 뚝섬한강공원

 


뚝섬한강공원을 다채롭게 만든 정원

뚝섬한강공원에 다양한 정원 전시가 펼쳐졌다. 초청정원(1개소), 작가정원(10개소), 학생동행정원(10개소), 시민동행정원(15개소), 기업동행정원(17개소), 기관참여정원(4개소), 글로벌정원과 시민 참여로 조성한 정원(19개소) 등 76개의 정원이 뚝섬한강공원 곳곳에 조성됐다.

 

초청정원 ‘앉는 정원’은 지난해 서울시 조경대상을 수상한 김영민 교수(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와 김영찬 소장(바이런)이 조성했다(34쪽).

 

seoul 02(예비).JPG
초청정원인 앉는 정원에서 사람들이 다양한 형태로 정원을 즐기고 있다.

 

 

작가정원 국제공모는 ‘정원이 가진 회복력(resilience with garden)(작가정원 A)’과 ‘정원과의 동행(garden for all)(작가정원 B)’의 두 부문으로 나눠 진행됐다. 작가정원 A는 ‘섹션 가든(Section Garden)’이, 작가정원 B는 ‘기억과의 동행’이 금상작으로 선정됐다. ‘회복의 시간’이 작가정원 A은상을, ‘바이오로지컬 셀프 오거나이징 가든(Biological Self-Organizing Garden)’과 ‘겸재선생님 한강공원에서 뵈어요’가 작가정원 B 은상을 수상했다. 작가정원 A 동상에는 ‘더 버터플라이 이펙트(The Butterfly Effect)’가, 작가정원 B 동상에는 ‘호미 정원’, ‘정원의 삶: 토룡은 큰 물에도 스러지지 않는다’, ‘뚝둑, 걸어보길’, ‘심심해지다 I 명상하다 I 고마워하다(Be Bored I Meditate I Appreciate)’가 선정됐다(36~81쪽 참고).

 

학생동행정원은 학생들의 창의적 아이디어가 돋보였다. 공모에는 국내외 조경, 원예, 정원, 건축, 도시계획, 산업 디자인 등 관련 학생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42팀 중 1차 심사를 통과한 10팀이 정원을 조성했다. 현장 심사 결과 금상에는 하늘(상명대학교)의 ‘영원한 순간들(Etermal Moments)’이 선정됐다. 노을 지는 한강의 찰나의 순간을 정원에 담은 이 작품은 노을의 색과 부드러운 분위기를 섬백리향, 톱풀, 하설초, 그라스류 등의 식물을 통해 표현했다. 시간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가벽에 반사되는 노을빛이 달라지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그린보배의 ‘계절이 꽃피우는 마음’과 네잎클로버의 ‘평화 가든(A Plece Garden)’이 은상을, 시즈닝의 ‘기억의 색이 물들어 철이 들 때’, 연화의 ‘함께, 뚝섬’, 옥윤의 ‘타버린 시간: 변화에도 웃을 수 있길’, 이삭의 ‘스물 네 조각: 불완전한 너’, 조경은의 ‘스타 플러워 인 유(Star Flowers in You)’, 사람과 자연의 ‘언제나 나, 너, 하늘을 봐요’, 그러태의 ‘나의 옛날 나루터 이야기’가 동상을 수상했다.

 

서울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시민동행정원 공모에는 46팀이 참가했다. 1차 심사를 거쳐 15팀이 정원을 선보였다. 어반그림의 ‘감각을 품다, 사계매력정원’이 금상을 수상했다. 금상작은 멸종 위기에 처한 벌의 이야기를 정원으로 표현했다. 벌과 더불어 곤충, 새 등 다양한 생명체가 정원에서 식물과 함께 공존하는 모습을 담았다. 꽃 벼리다의 ‘내 마음속의 매력정원’, 꽃피우는 한강의 ‘도랑이 있는 논시밭 풍경’이 은상을 수상했다. 행복한 가드너의 ‘삼삼한 매력정원’, 행복한 정원사의 ‘바람길로 소요하는 매력정원’, 놀자방의 ‘보물찾기’, 가든 앤 가드너스의 ‘정원의 시간은 섬세하다’, 맘스터치의 ‘아이와, 함께, 바라는 정원’, 오인오색의 ‘잃어버린 감각을 되살리는 매력정원’, 나 그리고 우리의 ‘싱그러운 힐링 정원’, MZ니의 ‘윤스르르 매력정원’이 동상을 수상했다.

 

[크기변환]seoul 03-2.jpg
하늘, ‘영원한 순간들’, 학생동행정원 금상

 

 

[크기변환]seoul 04.jpg
어반그림, ‘감각을 품다, 사계매력정원’, 시민동행정원 금상

 

 

자치구 동행가든은 각 자치구의 도시 매력을 부각할 수 있는 장소에 조성되어 일상 가까이에서 정원과 정원 문화를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25개소가 조성됐고, 강동구, 광진구, 금천구, 노원구, 도봉구, 동대문구, 영등포구, 성동구, 성북구, 용산구, 은평구, 종로구가 우수상을 수상했다.

 

 

환경과조경 434(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