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비트로 상상하기, 픽셀로 그리기] 파라메트릭 플랜팅 Ⅱ
  • 환경과조경 2020년 11월
lak391_나성진-1.jpg
그림 1. 포레스트 팩으로 만든 ‘진정한 파라메트릭 식재 설계’의 테스트베드 ⓒ나성진


수련

수련은 겨울이 지나서도 계속됐어. 디자이너라면 커피숍에서 우아하게 스케치나 할 줄 알았지. 부모님은 제발 그만하고 공무원 시험이나 보라고 말하셨어. 그런데 괜한 자존심을 지키려다 타이밍을 놓치고 말았지. 이미 내 편은 아무도 남지 않았고, 통장 잔고 바라보며 후회해봤자 마음만 답답해졌어. 정원박람회 때는 그래도 작가 소리도 들었던 것 같은데. 뭐 다들 진지하지는 않았겠지만, 사람들은 내가 작가였다는 사실을 정말 착실하게 잊어버렸어. 마치 서로 굳은 약속이라도 한 듯 말이야.

 

그리고 이 모든 상황은 결국 내가 포레스트 팩을 쓰게 만들었지. 분명 혼자 들떠서 미래를 기대하던 때가 있었는데. 항상 이런 식이지. 자발적 동기가 전개되는 과정이라는 건. 결국에는 변질되고 말아. 감상적인 생각에 근거도 없이 뭐든 할 수 있다고 믿지.

 

고독

나는 고독한 시간에 고립됐어. 참고서도 없이 포레스트 팩을 써야 했지. 세상은 수학 참고서 같은 뻔한 책은 셀 수 없이 찍어대면서 왜 스캐터 프로그램에는 관심이 없는 걸까. 아무도 가지 않은 길 따위를 갈 생각은 없었어. 다 현대 철학이 만들어낸 허구잖아. 20대에 지겹도록 속았다고. 그렇지만 수련은 역시 고독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어. 아무렴 수련은 고통스러워야지. 물론 이것도 1990년대 대중문화가 만든 낭만이라는 걸 알지만 그렇다고 편하게 지낸다고 실력이 늘지는 않겠지. 그래서 렌더링 시간에 배운 도면들을 복습하기 시작했어. 요즘 유행한다는 핏 아우돌프(Piet Oudolf의) 도면들도 찾아봤지. 무턱대고 포레스트 팩의 프로세스와 전통적인 작업 구조를 비교하기 시작했어. 몹쓸 버릇이 도지고 말았지. 이러면 사람들은 또 나를 한심하게 쳐다볼 텐데. 참고서만 있었어도 평범하게 살 수 있었을 거야. 정말 슬픈 일이지. 설계 이야기는 안 하고 또 푸념만 잔뜩 늘어놨네. 이제는 정말 포레스트 팩 얘기를 할 거야. 그렇다고 핏 아우돌프가 나에게 DM을 보내진 않겠지만 말이야.

 

진정한 식재 설계

심각하게 고민하기 시작했어. 진정한 식재 설계란 뭘까. 심지어 침대에 누워 닌텐도를 하면서도 고민했지. 그리고 작가 자격을 잃은 내가 뭔가 정리된 얘기를 해도 되는지 망설였어. 세상은 서로에게 권위를 부여하고, 인가된 권위만이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야. 하지만 그런다고 답이 나올 리 없고 비굴하게 죽기는 싫어서 그냥 말하기로 했어. 슬픈 일이지. 나는 진정한 식재 설계는 이미지의 연출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게 됐어. 좀 갑작스럽긴 하지만 작가마다 특정 이미지가 있고 그 이미지를 계속 반복하더라고. 핏 아우돌프는 자기 스타일 설계를 백 번 반복하고 안드레아 코크란(Andrea Cochran)은 샌프란시스코 스타일을 백 번 반복하는 거지. 그래서 식재 설계에선 맥락이 중요한 거 아닌가 생각하게 됐어. 그제야 복잡한 생각을 떨쳐내고 순수하게 미학적 관점에서 내용을 정리할 수 있었지. 물론 어디까지나 포레스트 팩으로 할 수 있는 내 세계 안에서 말이야. 이제 수련의 결과를 소개해야겠네. 아직 미완성이지만 진정한 파라메트릭 식재 설계에 대해 말이야. ...(중략)

 

환경과조경 391(2020년 11월호수록본 일부

 

나성진은 서울대학교와 하버드 GSD에서 조경을 전공했다한국의 디자인 엘뉴욕의 발모리 어소시에이츠(Balmori Associates)와 제임스 코너 필드 오퍼레이션스(JCFO)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고, West 8의 로테르담과 서울 지사를 오가며 용산공원 기본설계를 수행했다한국미국유럽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귀국 후 파트너들과 함께 얼라이브어스(ALIVEUS)라는 대안적 그룹을 열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