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조경』 2018년 5월호 특집, ‘따로 또 같이, 느슨한 연대를 실천하다’는 우연한 기획의 산물이지만, 이 기획의 등장이 결코 우연은 아니다. 지난 몇 년간 기존 조경설계사무소나 단체와는 다른 형식의 그룹이 차츰 눈에 들어왔다. 최근 들어서는 부쩍 작품을 소개하거나 원고를 받을 때 그들이 속해 있는 또 다른 모임들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새로운 그룹의 이름을 들으면 포스트잇에 적어 모니터 앞에 붙여 두곤 했다.
우연히 어느 편집회의 테이블에서 막연한 미래 아이템으로 적혀 있던 이 기획이 5월호의 특집으로 급부상했다. 구슬도 꿰어야 보배라고, 막상 손꼽아보니 생각보다 많은 그룹이 있었고, 그렇게 놓고 보니 하나의 흐름으로 읽혔다.
‘대안과 연대’라는 다소 거창하고 딱딱한 키워드로 이루어진 가제로 섭외를 시작했다. 이들에게서는 조경을 기반으로 하지만 고전적인(기성의) 산업과 분야의 경계를 강조해서는 미래를 꿈꾸기 어렵다는 공통의 인식이 보인다. 공통의 지향 아래 모였으나 개개인의 차이를 존중하는 유연함이 특징이다. 물론 우리의 섭외를 고사한 그룹도 있다. 최대한 많은 모임을 통해 다양성을 드러내는 것이 이번 특집의 미덕이라고 생각했으나 미처 우리 편집부에 포착되지 않은 모임도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서울에 편재되었다는 아쉬움이나 세대를 가르는 것이 아니냐는 불편함도 있을 수 있다는 고려도 있었다. 하지만 이번 기획이 새로운 흐름을 발굴하고 자극하는 첫 단추라 생각하며 섭외를 마무리했다.
특집의 최종 제목은 ‘따로 또 같이, 느슨한 연대를 실천하다’로 정했다. 잠시 ‘지향하다’를 고민했지만 곧 ‘실천하다’로 바꿨다. 이들이 보내온 원고에는 유난히 ‘실천’이란 단어가 많이 등장한다. “자연에 대한 창의적인 접근과 실천 … 새로운 영역의 일을 하나씩 실천하며 … 우리가 실천해나가는 일이 모여 우리가 속한 사회와 환경에 의미 있는 흔적과 영향을 만들어나가길 희망한다.”(자연감각) “이론과 실천, 앎과 삶의 합치를 꾀한다.”(하루.순) “단일 성격의 조경 단위가 하기 힘든 일을 풀어내는 동시에 조경 문화에 긍정적 에너지를 발산하고 싶은 실천적 모임.”(팀 동산바치) “조경이상은 실천을 위한 모임이다. 언젠가 누군가가 할 아이디어는 무의미하다. 바로 지금 여기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기획하고 함께 해나가려는 의지가 구성원의 자격이자 조건이다.” 하나의 깃발 아래 뭉치자 대신, 서로 다름을 인정한 채로 지금 할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우선 실천해보자는 것이 오래 회자된 ‘조경의 위기’에 대한 이들의 결론이다.
이번 5월호는 편집 디자인에도 많은 공을 들였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옥상다반사’ 특집(2017년 2월호) 때 처음 시도했던 명조체의 큰 활자를 다시 한 번 적용했다. 잡지 지면의 메시지는 텍스트로만 전달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어쩌면 훨씬 더 자주) 이미지가 더 강렬하게 의도를 전달한다. 연대란 사람이 하는 것이니 사람이 중심에 오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원고 청탁서를 보내며, 각 팀의 색깔을 잘 드러내는 단체 사진을 보내달라고 주문했다. 그 결과 각 팀의 아이디어를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팽선민 디자이너의 표현을 빌리자면, “막 데뷔를 앞둔 인디밴드의 첫 번째 앨범” 같은 풋풋한 연출의 사진부터, 현장의 공기가 그대로 느껴지는 날것 같은 사진도 있다. 그러나 공통점이라면 이 단체 사진은 주연과 조연이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 혹은 개인의 자의식을 과도하게 드러내기보다 모두가 주연인 수평적 관계를 그대로 보여준다는 점이 이번 특집의 의도에 부합해 보였다.
표지 역시 팽 디자이너의 회심작이다. “다양한 그룹의 존재를 부각하기 위해 표지에 이미지는 적절치 않은 것 같았어요. 그래서 텍스트를 대안으로 선택한 거죠. 컬러는, 텍스트를 강조하기 위해 산뜻한 노란색과 검정색을 배치했어요.” 표지 역시 대안에 도전한 셈. 반면, 이 무크지 같기도 한 표지에 혹시 있을지도 모를 편집부의 반대를 원천봉쇄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시안을 만드는 관례를 깨고, 우리는 더 이상의 대안을 만들지 않기로 모의했다. 우리의 연대와 대안(!)이 독자들에게도 새롭고 흥미롭게 다가가기를 바라 마지않는다.
코다의 코다
이번 361호를 마지막으로 제가 환경과조경을 떠난다는 소식을 전합니다. 안녕이 영원한 헤어짐은 아니라는 어느 노랫말처럼 어떤 방식으로든 다시 만날 기회가 있겠지만 당장은 아쉬움에 발걸음이 무겁습니다. 얼마 전 10여 년 만에 연락한 지인이 잡지를 보았노라며, “너는 여전히 이상주의자로 살고 있구나”라고 말하기에, “나도 시류에 영합하고 싶다”며 웃어 넘겼습니다. 세상 모든 일이 그렇겠지만, 매체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이 시점, 종이 잡지를 만드는 일은 시종일관 이상과 현실을 조율하는 일일 터입니다. 한 호의 문을 닫는 이 지면을 되돌아보니, 종이 잡지가 어떤 가치를 지향해야 하는지, 어떤 대안이 있을지 고민했던 글이 많습니다. 그간 함께 한 독자들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박명권 발행인을 비롯해 배정한 편집주간, 남기준 편집장 그리고 동고동락한 기자들에게도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변화에 적응하려는 시도 못지않게 가치를 지키려는 노력도 도전이라고 생각합니다. 끝없이 도전하는 환경과조경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저 역시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도전을 이어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