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칼럼] 정원박람회에 대한 세 가지 바람
  • 환경과조경 2017년 11월

2004년이었을 것이다. 『환경과조경』의 남기준 편집장이 독일의 정원박람회에 대한 단행본을 쓸 의향이 있는지 물어왔던 것이. 그래서 2006년 탄생한 것이 『고정희의 독일 정원 이야기: 정원박람회가 만든 녹색 도시를 가다』이다. 순천시 도서관 사서 나옥현 씨가 그 책을 읽고 노관규 전 순천시장에게 추천한 것이 발단이 되었다. 순천시로부터 전화 한통을 받았을 때 그리고 “우리 순천시에서 정원박람회를 개최하는 것이 가능할까요?”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나는 감히 “예”라고 대답했다. 그 무모한 대답에 대한 책임은 순천시 공무원들이 모두 떠안아야 했다. 그리고 2013년, 순천시에서 정말로 국제정원박람회가 개최되었다! 나는 이를 순천의 기적이라고 일컫는다. 따지고 보면 이 기적의 출발선상에는 남기준 편집장의 남다른 혜안이 있었다.

지금은 순천국제정원박람회장이 들어선 그 땅에 적지 않은 개발 압력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때 과감하게 생태 도시를 표방하고 “개발 대신 정원을!” 선택한 순천시의 용기와 결단에 다시 한 번 갈채를 보낸다. 정원박람회가 결의되고 나서 개최될 때까지의 힘겨운 행보를 곁에서 지켜보았다. “정원박람회가 뭐예요?”라고 묻던 공무원들이 점점 전문가로 변신해 가던 일. 중앙의 협력 부서를 찾기 위해 담당 공무원이 환경부, 문화부, 경제부 등등 차례로 문을 두드렸다가 “우리 소관이 아닌데”라는 대답을 듣고 쓸쓸하게 돌아서야 했던 일. 결국 마지막에 산림청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 그때 나는 산림청 팬이 되었다.

서울정원박람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동탄 공공정원 등등의 반가운 소식이 차례로 들려온다. 직접 찾아가 보지 못해도 인터넷을 뒤적거리며 응원을 보내고 있다.

개인적으로 세 가지 바람이 있다. 우선 정원박람회가 도시 발전의 큰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더 많은 도시에서 이해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고 정원 문화에 대한 인식의 폭이 넓고 깊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지난 8월 이곳 베를린에서 열린 행사에 갔다가 한국 문화를 홍보하러 오셨다는 귀한 분을 만났다. 그분이 내게 이런 질문을 했다. “조경이 꽃꽂이랑은 다른 겁니까?” 그 질문을 받자 문득 존경하는 고 박경리 선생의 모습이 떠올랐다. 2004년도 청계천 복원사업 공사가 한창일 때 그분께서 신문에 투고한 글을 읽었다. 선생께서는 “청계천 복원 공사에 조경하는 사람들이 왜 끼어들어”라고 일갈하셨다. 그때 정말 놀랐다. 글을 끝까지 읽어보니 ‘조경하는 사람들은 비싼 시설물 만들어 파는 사람들’이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계신 듯 했다. 많은 사람과 정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지만 백이면 백 정원이나 조경을 바라보는 시선이 저마다 다르다. 이는 앞 못 보는 사람들이 코끼리 더듬는 것과는 양상이 다르다. 그들이 앞을 보지 못해서가 아닐 것이다. 그보다는 확실히 더듬어지지 않는 정원의 속성 때문일 것이다. 정원박람회를 찾는 방문객들이 많아지고 거기서 정원의 수많은 얼굴과 만나게 되면 정원 문화에 대한 인식이 깊어지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나의 가장 큰 바람은 정원박람회를 통해 한국 정원이 재발견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옛것의 재현이 아니라 우리 정원의 정체성을 찾아 가는 것이다. 내 경우 여기 독일에서 많이 시달리고 있다. 한국 정원을 소개해 달라는 요청이 이따금 들어오는데 옛것을 소개하고 나면 “지금은?”이라는 질문이 반드시 따른다. 정원의 전통이 한때 단절되었음은 이해하겠는데 언제 다시 연결되어 어떤 모습으로 거듭났는지 혹은 날 것인지 궁금해 한다. 나도 그것이 알고 싶다. 나 홀로 해결할 수 없는 것이기에 동료들과 후배들이 그 대답을 찾아주기를 바라고 있다. 혹은 함께 찾아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매우 어려운 숙제다. 이 숙제를 풀어보기에 정원박람회보다 더 적절한 곳이 있을까?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이 하나 있다. 정작 종주국 독일에서 정원박람회가 난항을 겪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첫 조짐은 아마도 2013년 함부르크에서 시작되었던 것 같다. 이번 베를린에서 열린 국제정원박람회가 10월 15일 우울하게 문을 닫았다. 2백5십만 명의 방문객을 기대했으나 그 반밖에 달성하지 못했다. 평균에도 못 미친 것이다. 올해 날씨가 너무 안 좋았다는 것을 가장 큰 이유로 들고 있다. 날씨가 정말 안 좋긴 했다. 오프닝 날 추위에 덜덜 떨었고 봄꽃이 다 얼었으며 여름 내내 비가 주룩주룩 내렸다. 정말 날씨 탓이었을까? 작품이 좋지 않았던 것은 결코 아니었다. 오히려 그 반대였다. 높은 완성도를 보인 백 헥타르의 마스터피스였다. 볼거리도 많았고 음악회 등의 크고 작은 이벤트만 자그마치 팔천 건이었다. 그 때문이었을까? 정원박람회 피로 현상이 시작된 것일까? 독일은 정원 포화 현상을 겪고 있나? 그럴지도 모른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폐허가 된 국토에 다시 꽃을 피우기 위해 정원박람회가 시작되었고 통일 이후에는 구동독의 발전을 돕기 위해 또 한 번 크게 탄력을 받았다. 그리고 이십여 년이 지난 지금 전 국토의 정원화 작업이 마무리 되어가는지도 모르겠다. 이제는 느긋하게 즐기는 일만 남은 것 같다.

우리도 정원 포화 현상이 오는 그날을 바라보며 부지런히 걸어야 할 것 같다. 제주도, 충청도, 강원도를 지나는 동안 어느새 통일이 되어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에서도 정원박람회가 개최되는 그날을 상상해 본다.


고정희는 공학박사다.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에서 농교육학을 전공한 후, 베를린 공대에서 환경조경학을 전공했다. 베를린에서 써드스페이스 환경아카데미를 운영하며 조경과 환경을 접목시키는 과제에 주력. 정원의 역사와 정원 문화에 대한 집필 활동을 겸하고 있다. 독일 칼 푀르스터 재단 부회장, 베를린 건축가협회 조경분과 멤버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는 2019년 독일 바우하우스 100주년을 맞아 개최될 ‘조경의 모더니즘’ 전시회와 학회 준비에 여념이 없다. 개인 소유의 정원, 즉 나만의 낙원보다는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중요시 하고 있다.

 

이달의 이미지.jpg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