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말, 세계 곳곳에는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와 규모의 도시가 출현한다. 이른바 근대 도시라고 규정되는 이 새로운 도시는 도로와 철도, 상하수도, 전기 등의 기반 시설을 바탕으로 자원과 인구를 흡수하여 자본주의 경제를 동력 삼아 성장하였다. 오늘날 도시의 균일성과 보편성도 이러한 도시 성장 방식에 기인한다.
보편성의 측면에서, 공원 역시 근대 도시라면 당연히 갖춰야 할 도시 시설이다. 그러나 공원은 도시 생성 이후에 불거진 각종 도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었고 도시의 생성보다는 도시의 질서 유지에 필요한 일종의 장치였다. 다른 시설과는 시간차를 두고 등장한 공원은 근대의 이미지를 즉물적으로 드러내기 보다는 반反역사성과 공공성, 계몽과 교화, 자유와 민주등의 근대성을 실천하는 공간이었다. 이상이 우리가 근대의 산물로서 이해하고 있는 공원의 요체다. ...(중략)...
박희성은 중국 사대부의 미의식이 어떻게 완성되어 중국 정원 발달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원림, 경계 없는 자연』,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우리엔디자인펌을 거쳐 지금은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에서 동아시아 각국 수도(首都)를 연구하고 있다. 동아시아 전근대 정원 문화와 근대 도시 시설의 도입, 교류, 발전 양상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탐구 중이다.
* 환경과조경 354호(2017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댓글(0)
최근순
추천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