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조경헌장 세미나 _ 한국조경의 리얼리티
  • 환경과조경 2013년 7월

한국조경의 위기와 가능성이 공존하는 시대

2009년 유럽을 시작으로 전 세계로 확산된 경제위기라는 단어가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사회 전반에 걸쳐 경제 위기론이 드리워있다. 뿐만 아니라 농촌에서는 농업의 위기, 대학에서는 인문학과 공대 위기론, 최근에는 원전비리로 인한 전력위기에 대한 불안까지 감돌고 있다. 특히 건설분야의 위기는 관련 분야뿐만 아니라 국민 전체를 충격에 휩싸이게 만들었다. 지금 한국사회는 위기론에 휩싸여 있다.
조경분야에도 위기감이 돌고 있는데, 이는 비단 하루 이틀 일이 아니다. 10년 전, 20년 전, 30년 전에도 조경분야는 위기를 말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한국의 현대조경 역사는 위기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때문에 조경분야에서는 한국조경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법을 찾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하지만 한국조경의 40년 역사 속에서도 아직 조경분야는 안정되지 못한 상태이다.
지난 5월 24일에는 대학로 예술가의 집에서 ‘한국조경의 리얼리티’라는 주제로 ‘조경헌장 세미나’가 열렸다. 위기의 해법을 찾기보다, ‘한국조경’ 그 자체를 거칠게 뜯어서 들여다보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세미나는 조경헌장 제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한국조경’의 정체성 확립의 초석을 다지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날 세미나에서 배정한 교수서울대학교는 현재 조경분야가 처한 상황에 대해 ‘조경의 위기와 조경의 가능성이 공존하는 시대’라고 진단했다. “제도권 조경은 일감이 없다고 아우성인데, 도시 환경과 시민은 보다 높은 질을, 보다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의 질을 요구하는 상황이다.”라면서, “바로 이 아이러니한 지점에서 조경은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비전을 디자인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관에서 주도하는 대규모 인프라 사업이 많이 줄었다. 그런데 아직 조경분야에서는 관 주도의 대규모 인프라 사업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기존의 조경사업들은 여러 업체가 수주한 하나의 사업만으로도 몇 년을 먹고 살만큼 수입의 규모가 컸다. 인프라를 구축할 국토는 한정되어 있는데, 너나 할 것 없이 조경업종에 가담하면서 파이는 그만큼 쪼개져 점차 작아졌다. 업체수가 늘어난 만큼 인프라 구축은 더욱 가속화되었고,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시점보다 빠르게 일감이 줄어드는 원인이 되었다.
다행인 것은 대규모 인프라 사업들이 줄어드는 시점에 배 교수의 말처럼 시민들의 조경에 대한 요구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선 당시 ‘국비지원을 통한 공원조성, 생활권 마을숲 조성, 훼손된 산길·물길 되살리기, 도시·농촌 생태마을만들기’ 등이 공약으로 제시되었고, 정권교체 이후에는 주요 국정과제로 ‘국가도시공원, 동네쉼터, 도시농업 공간, 생활권 마을숲, 생태놀이터 등 도심 생태휴식공간의 확충’이 구체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국토교통부 업무분담녹색도시과에 조경이라는 단어가 명시되기도 했다. 위기라기보다 조경사업의 형태가 달라졌고,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하는 시기인 것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조경분야 대부분이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그 원인은 무엇일까?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