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도심속 원구단 시민소공원 오픈 ; 서울시 시민의날 맞아 빌딩숲속 쉼터조성
  • 환경과조경 2000년 12월
원구단(圓丘壇)이 다시 태어났다. 서울시내 중심부에 위치하면서도 주변의 웨스틴조선호텔, 프레지던트호텔, 금정빌딩 등 고층빌딩들에 가려 그 역사적·공간적 가치가 숨겨져 왔던 원구단이 맞닿아 있던 시청쪽 부지를 공원으로 조성하면서 새롭게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서울시는 원구단이 국가 지정문화재임에도 불구하고 대로변에서는 보이지 않아 시민 및 관광객의 접근이 어렵다고 판단, 원구단 앞에 위치한 삼성생명의 건물 신축 예정지였던 땅을 매입한 후 공원을 조성하여 지난 10월 23일 새로운 시민의 휴식처로 문을 열었다. 사적 제157호인 원구단은 고종이 1897년 대한제국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천자가 되었음을 하늘에 고하고자 건립된 제단인데,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원리에 따라 둥글게 단을 쌓았다. 고종은 이곳 원구에서 천지에 제사를 드리고 황제위(皇帝位)에 올랐고, 그 뒤 1899년에 원구의 북쪽에 신위판을 봉안하는 황궁우(皇穹宇)를 건립하고 태조를 받들어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로 하였다. 그러던것이 1913년 일제에 의해 헐리고, 터는 지금의 웨스틴조선호텔이 되었는데 1899년에 조성된 팔각정의 황궁우와 석고(石鼓)만이 현재까지 남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 이런 원구단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도심지 한복판에 들어선 원구단 시민공원. 이 공원은 보행자에게 빼곡히 들어찬 고층건물 사이를 걷다가 갑자기 드러나는 광장을 접하는 신선한 경험을 주기도 하는데, 수직적으로 뻗은 대단위 건물 속에서의 보행으로 위축감을 느끼다가 만나는 평면의 광장은 비로소 사람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느끼도록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광장에서는 거리 쪽으로 늘어선 열주들이 먼저 행인을 반기고, 진입부에는 석고를 본딴 석조 안내판이 원구단의 역사적 의미와 공원의 조성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몇 개의 계단을 오르고 나면 파라솔과 의자들, 가벼운 음료를 즐길 수 있는 자판기도 설치돼 잠시 담소를 즐기기에 충분하고, 원구단 측 옹벽에는 인공폭포가 설치되어 시각적, 청각적으로 자극을 준다. 또, 폭포의 우측에는 원구단으로 연결되는 계단이 나 있어 마음만 먹으면 쉽게 원구단에 오를 수 있다. 드리우도록 했고, 주변부는 불규칙한 건축선을 가려주기 위해 소나무, 자작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등 교목과 철쭉, 비비추, 맥문동, 옥잠화, 바위취 등 관목과 지피류를 심었다. 대나무, 화살나무, 사철나무 등도 식재되어 있는데 한국 전통수종을 위주로 다품종 소규모로 식재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이 시민광장이 조성되기 전의 서울시청 앞 광경이 플라자호텔, 프레지던트 호텔 등의 높은 빌딩과 덕수궁의 담벼락만 보여져 삭막한 느낌을 주었다면, 조성 후에는 작지만 아담한 공원이 시민들이 보행 중에 잠시 멈추었다 가는 쉼터가 될 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이 쉽게 원구단을 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소로서의 역할도 하게 되어 시각적·공간적 측면에서 다소 숨통을 트이게해 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멀리서 바라보면 원구단이 전혀 드러나지 않던 이전과는 달리 광장의 나무들 사이로 슬며시 황궁우 건물이 보이는데, 다소 안타까운 점은 안내판 등이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황궁우 건물이 선명하게 드러나지는 않아 광장에서 바로 연결된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금만 여유를 가지고 주위를 둘러볼 수 있는 마음을 갖는다면 광장에서의 편안한 휴식과 함께 원구단으로 이어지는 잠시의 산책을 즐길 수 있지 않을까. ※ 키워드 : 원구단 시민소공원, 원구단 ※ 페이지 : p107~p109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