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어떤 디자인 오피스] 서도
축적된 랜드스케이프를 탐구하고 재해석해 장소에 새로운 연속성을 부여하다
  • 환경과조경 2024년 11월
[크기변환]seo 1(메인).jpg
Ⓒ유청오

 

 

오피스의

시작


사무실을 시작한 건 설계를 하다 보면 장소가 지닌 정체성을 단순히 컴퓨터 화면과 종이의 결과물로 구현할 수 없다는 갈증 때문이었다. 이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시작한 게 디자인 빌드였다.

 

사무실 개소 후 첫 디자인 빌드 프로젝트는 보리(Voree)였다. 보리는 서해라는 서사가 담긴 랜드스케이프와 농경 문화가 스며 있는 장소다. 이 지역이 가진 독창적 정체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지역의 고유한 질감을 디자인에 반영하고자 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해의 석양과 청보리, 메밀의 생산적 경관을 감상하는 공간이 만들어졌고, 지속가능한 로컬리티가 형성됐다. 클라이언트, 건축가, 조경가, 시공자가 긴밀하게 협의했다. 덕분에 보리만의 고유한 정체성이 드러나는 공간을 만들 수 있었다.

 

[크기변환]seo 2.jpg
보리 아키후드 건축사사무소, 공간시공 에이원과 협업 Ⓒ유청오

 

 

장소의

탐구와 해석


오랜 세월 동안 장소는 생태학적 요소와 인문학적 요소로 인해 고유한 모습으로 변화한다. 그래서 우리는 과거와 미래를 이을 수 있게 현 시점에 필요한 순기능을 디자인 요소로 도입해 지속가능한 경관을 만들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조성된 공간은 긴 생명력을 지니게 되고 동시대의 공유 공간이 된다.

 

보리는 영광군 백수해안도로 한편에 위치한 작은 카페다.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지역의 고유한 랜드스케이프를 발굴하는 과정을 가졌는데, 그때 해안가의 차가운 바닷바람을 맞으며 자란 청보리, 해안 절벽과 석양을 감상할 수 있는 잠재적 자원을 찾을 수 있었다.

 

이곳을 새롭게 조성하기보다는 기존 경관을 온전히 이어갈 수 있는 설계를 하며 지역 고유의 질감을 유지하고 주변 자연 경관에 순응하게 했다. 전면에 긴창이 설치된 건축물에서 석양과 청보리밭의 파노라마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차경을 통해 방문객이 건축물 내부에서 자연 경관을 감상하고, 외부로 나와 자연의 경이로움과 서사적 풍경을 직접 경험하길 바랐다. 이를 위해 외부 공간으로 안내하는 유입 요소가 필요했다. 청보리밭에서 해안 절벽의 파도 소리와 석양을 감상할 수 있는 두 곳을 결절점으로 설정했다. 결절점에는 인근 지역에서 자란 팽나무를 식재했으며, 목재 오브제를 설치해 방문객의 흥미를 유발하고 진입을 유도하고자 했다. 그늘목 아래에 서면 서해의 환상적인 해질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크기변환]seo 3-1.jpg
Ⓒ유청오

 

 

고유한

질감 찾기


땅의 기억과 흔적

장소의 고유한 질감은 땅의 기억과 흔적에 새겨져 있다. 용산어린이정원 프로젝트에서는 현장에서 독특한 반달 패턴의 담장을 발견했다. 반달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패턴화해 이 장소의 고유한 색상과 질감을 표현했다. 아이들의 생각을 담을 수 있는 반달 모양의 낙서판, 가족들이 담소를 나누는 반달 테이블, 다채로운 활동을 유도해 생동감을 불어 넣는 두더지 잡기, 용산 미8군 클럽무대에서 모티브를 얻은 무대 놀이터 등 독특한 패턴의 디자인을 통해 이 지역의 기억과 흔적의 이야기를 담고자 했다.

 

시경원(時景園)에서도 비슷한 시도를 했다. 대상지는 고봉산의 낮은 구릉지에 야생 초지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었다. 그 지역이 지니고 있는 경관적 특성과 땅의 흔적을 존중하여 장소가 지니고 있던 기억에 어긋나지 않고 온전히 이어갈 수 있도록 그 지역의 식생 경관을 그라스와 암석 소재를 활용해 디자인했다.

 

[크기변환]seo 4-1.jpg
숲으로의 일상, 용산어린이정원 내가 그린 정원 공모 대상작, 2023 피오니가든과 협업 Ⓒ우승민

 

 

소재의 물성

재료의 물성이 그대로 드러나는 소재를 활용해 디자인한다. 재료 본연의 질감을 감상할 수 있으며, 시간 변화에 따라 재료의 물성도 함께 변화해 단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암석은 지역마다 색상과 질감이 다르다. 예부터 마을의 담장에 쓰인 돌은 집터, 경작지에서 나오기도 하고, 주변 산이나 강가에서 주워 오기도 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지역마다 석재의 특성을 구분했다. 그래서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 암석을 활용해 디자인에 적용한다. 목재도 종종 활용한다. 목재는 시간의 물성을 잘 나타내는 소재다. 영구적이지 않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자연으로 환원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색감과 질감의 물성이 변화한다. 주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아 사람의 피부가 닿는 곳에는 목재를 주된 소재로 활용한다.

 

식물

식물로 고유한 질감을 만들어내는 건 어려운 일이다. 자연스레 씨가 떨어져 오랜 시간 동안 천이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식생 경관을 아무리 비슷하게 묘사하더라도 본연의 모습을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도 최대한 유사하게 연출하기 위해 주변 식생을 관찰하고 관련 문헌 조사를 진행한다. 대상지 인근 지역의 생태 조사 보고서를 참고하다 보면 지역 자생종과 식생 환경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기초 자료를 토대로 기후 조건, 생육 환경, 수급 여부를 고려해 수종을 선정한다.

 

인문학 관련 문헌을 조사하면 식물에 담긴 이야기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끼는 맨땅이 드러나 식물이 전혀 없는 곳에 가장 먼저 나타나 다른 생물이 살 수 있는 터전을 만들어 주는 식물로 알려져 있고, 과거에는 아기 기저귀 재료로 사용됐다는 이야기가 담겨 있는 식물이다.

 

이렇듯 식물에 담긴 이야기는 사람들이 좀 더 쉽게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흥미로운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생태학적, 인문학적 특성을 고려해 수종을 선정하고 식재 디자인을 한다. 식재 디자인은 다양한 색감을 이용한 화려하고 돋보이는 식재 패턴보다는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연의 색감을 이용해 자연이 주는 서정적 느낌을 전달하고자 한다.

 


seo 6-1.png
Ⓒ우승민

 

[크기변환]seo 6-2.jpg
너머, 제7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대상작, 2019 파주 지역의 바람, 돌, 식물을 통해 임진강의 고유한 색상과 질감을 표현했다. Ⓒ우승민

 

 

보태니컬

커뮤니티


사람들이 자연을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쁜 일상을 잠시 뒤로 하고 자연이 전해주는 위안과 환기의 시간을 갖고 싶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보태니컬 커뮤니티(botanical community)는 생명의 근원이 되는 식물을 매개체로 자연과 사람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인사이드 아웃 가든(Inside Out Garden)은 친근한 영화 캐릭터와 정원이 결합된 형태로 사람들이 좀 더 쉽게 자연을 이해하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아홉 가지 색깔이 전하는 식물 이야기를 통해 불안한 마음을 잠시 잊고 마음 속 평온함을 느끼길 바랐다. 

 

대상지는 한강의 서사적 풍경을 차경할 수 있는 입지적 특성이 있다. 한강을 온전히 감상할 수 있도록 눈높이보다 낮은 수종을 식재해 열린 시야를 확보했다. 또한 퇴적층이 형성된 토양으로 원활한 배수가 힘든 구조였다. 토양 치환 및 마운딩을 통해 배수를 원활히 하고 땅의 지력을 높여 생육 환경을 개선했다. 휠체어와 유모차가 진입할 수 있게 보행 동선 폭을 1.5m 이상 확보해 누구든지 편하게 접근하게 했다. 보행 편의성, 내구성을 고려하여 워싱 콘크리트로 바닥을 포장했다. 캐릭터가 위치한 곳에는 높이가 낮은 암석을 함께 배치하여 잠시 걸터앉아 쉴 수 있게 했다.

 

영화 ‘인사이드 아웃’에 등장하는 감정들의 아홉 가지 색깔을 고려해 아홉 가지 색상 구역을 형성했다. 진입부는 웰컴 정원으로 기쁨을 상징하는 옐로우 존으로 설정했다. 구역마다 색깔을 고려해 식재를 연출했다. 열매가 붉은 계열인 산사나무와 팥배나무는 레드 존, 보라색 열매가 있는 뽕나무를 퍼플 존, 단풍색을 고려하여 계수나무를 오렌지 존에 식재했다. 관목과 초화류는 구역별 색상을 고려해 식재했다.

 

서도 2.jpg
인사이드 아웃 가든,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기업동행정원, 2024 콘텐츠 기획은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아이디어플랩이 진행했다. 공간시공 에이원, 피오니가든과 협업 Ⓒ우승민

  

자연이 전해주는

환기와 쉼의 여백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에 이런 대사가 나온다. “내 원체 무용한 것들을 좋아하오. 달, 별, 꽃, 바람, 웃음, 농담 그런 것들 …… 그렇게 흘러가는 대로 살다가 멎는 곳에서 죽는 것이 나의 꿈이라면 꿈이오.” 무용(無用)은 ‘아무런 쓸모가 없다’는 뜻이다. 우리는 비생산적인 무용한 것들을 잊고 살아갈 때가 많다. 그래서 땅과 물, 빛과 바람, 자연의 생명력을 만나는 곳에서 잃어버렸던 무용의 아름다움을 발견해 우리의 삶이 자연으로부터 다시 회복되길 바라며 설계에 임한다.

 

도시에서 잠시 벗어나 나지막한 언덕이 있는 헤아림(林) 정원에 들어오면 새소리와 꽃내음 등 자연이 전해주는 생명력과 무용의 아름다움을 만날 수 있다. 이곳에는 오랜 세월 동안 함께 지내온 능수버들나무와 산들바람이 부는 언덕이 있다. 능수버들나무 테이블에 앉아 자연이 주는 느긋한 여유를 즐기기도 하고, 나무와 꽃, 돌담이 있는 언덕에 오르면 정원의 풍경과 한강이 전해주는 쉼의 여백을 느낄 수 있다.

 

정원의 중점이 되는 버드나무 경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색감이 화려한 식재보다는 암석을 활용한 연출로 버드나무를 강조했다. 능수버들 나무 아래에는 커뮤니티 테이블을 설치해 담소와 간단한 식음 공간으로 활용하고 테이블 하부의 일부를 개방해 휠체어 이용자도 불편함 없이 이용하게 했다. 브랜드 슬로건과 BI에서 모티브를 얻은 돌담을 조성해 해당 브랜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돌담의 높이는 눈높이보다 낮게 해 시각적 개방성을 강조했다. 정원에는 인위적 시설을 배제하고, 돌, 나무, 꽃 등 자연 소재를 활용해 아이들이 건강하게 놀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했다.


 

아카이빙


Pages from lak439(2024년11월호)_웹용-1.png

 

 

오피스의

미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매번 반복적인 문구를 쓰게 된다. 주변 경관에 순응, 지역 고유한 색상과 질감, 온전히 이어가는 디자인, 진귀하고 화려함이 강한 수종보다는 인근 지역 환경에 적응한 수종 중심으로 식재, 자연 소재 등등. 돌이켜 보면 이 모든 게 16년 동안의 실무 경험을 통해 얻은 지혜와 이치라는 생각이 든다.

 

옛 우리 선조들이 그렸던 ‘원(園)’의 모습은 수려한 산과 맑은 물이 흐르고 양지바른 곳에 터를 잡아 경관을 감상하는, 그야말로 한 폭의 수묵화를 보는 풍경이다. 정원을 자연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주변 경관의 일부가 되는 정원을 그려낸 것이다. 우리 정서에 맞는 정원은 이런 모습이 아닐까.


원고를 쓰기 위해 예전 자료들을 살펴보며 잠시 잊고 있었던 랜드스케이프가 사람들에게 전해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하며 스스로에게 울림이 있었던 시간을 보냈다. 스튜디오 명칭을 리스케이프 대신 서도라고 새로 바꿨다. 이름에 담긴 뜻처럼 지혜와 이치를 탐구하고 장소에 새로운 연속성을 부여하는 랜드스케이프를 그려나가고 싶다.

 


seo 10.png

 

 

서도(諝道, 구 리스케이프)는 자연과 사람이 함께 머무는 곳을 작업하는 디자인 스튜디오다. 2020년에 문을 열어 조경설계, 정원 디자인 빌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서도는 한자로 ‘지혜’와 ‘이치’란 뜻을 담고 있으며, 장소에 축적된 랜드스케이프의 본질적인 탐구와 해석을 통해 새로운 연속성을 부여하는 디자인을 추구한다. LH 공공주택 작가정원, 팜 보리(Farm Voree), 신사동 사옥 건축 외부 공간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