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우리 풍경 찾기 IV : 원형(原型) 풍경의 시간적 특성
  • 환경과조경 2003년 3월
풍경에서 시간의 존재 "시간으로 한정되어서, 여름철의 곤충은 얼음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莊子 17장: 秋水編) 자연과 인문현상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는 풍경은 일시적인 풍경에 머물러 있지 않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조감도나 스케치 등과 같이 특정한 시점에 머물러 있는 풍경표현만을 이해하는 정도의 환경디자이너라면, 莊子가 말한 위의 의미를 되새겨 봐야 할 것이다. 老子는 사물의 "實在란 있는 그대로가 아니며 우리들이 실존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시각적으로 촉지할 수 있는(tangible) 것 만으로 존재의 본질을 알 수 없으므로, 촉지할 수 없는 현상(intangible phenomenon)을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道德經, 14장 참고). 이러한 사유는, 필자가 본 연재의 앞 쪽1에서 언급한 서양의 해석학적 현상학자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생각과도 맥을 같이한다. 이처럼 동 서양의 名哲들은 보이는 것에 대해 보이지 않는 것을 상대적 의미로써 중요하게 보고 있다. 이는 시간과 장소의 변화에 따라 사물도 변화하기 때문일 것이다. 사물(thing), 특히 모든 사물을 담는 풍경은 시간의 process에 따라 항상 변화한다. 우리의 눈은 이러한 풍경의 일부분 만을 볼 수 있을 뿐이다. 예를 들어 우리의 눈은 아주 짧은 시간에 일시적으로 보여지는 풍경현상을 감지하기 어렵다. 대지예술가(earthwork artist) Walter De Maria 가 미국 남서부의 뉴멕시코주에서 번개치는 풍경을 포착하고자 한 것(그림 1)이나 Andy Goldsworthy의 작품(그림 2)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일시적인 풍경현상을 잘 포착하지 못한다. 또한 우리의 눈은 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장구하게 변화하는 자연현상을 볼 수도 없다. 이러한 한계는, 겸재의 그림 속에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면, 조금은 해소 될 것 같다. 왜냐하면 일시적인 시점에 머물러 있지 않고, 긴 시간적 변화 속에서 변화하는 자연 그대로를 가공하지 않고 담아낸 것이기 때문이다. 겸재 정선의 그림은 우리의 산천을 실경 이상으로 잘 표현했다고들 한다. 화성(畵聖)은 우리 범인이 볼 수 없는 한계를 뛰어넘어, 사물과 풍경을 보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2. 지난 호에 살펴본 공간지리적 특성에 이어, 이번 호에는 한양과 일본의 에도(동경의 옛 지명)를 묘사한 풍경화에 나타난 계절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