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6) - 15·16세기 이탈리아 정원요소와 본질
 Nature Perfected: Italian Renaissance Garden(6)
 15·16C 이탈리아 빌라정원의 시대적 변천과정과 본질
 15, 16C 이탈리아 빌라정원의 입지 및 공간구조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전자의 경우 15C에는 도심근교, 16C에는 도심내, 부근 등의 다양하게 출현하고 있으며, 지형조건 또한 계곡, 구릉 등의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15C 피렌체 지방의 빌라건물과 주변정원과의 비정형성을 띠는 반면, 16C 초반 로마(Roma)의 코르틸 레 벨베데레(Cortile del Belvedere), 빌라 마다마(Madama)를 분수령으로, 평면의장측면에서 빌라 건물을 중심으로 하는 축선을 강조하는 대칭적이면서, 정형성을 띠는 공간배치형식를 띠기 시작함과 동시에, 입면적 의장측면에서의 노단의 기법이 가미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공간배치형식은 16C 후반 로마 캄파냐(Roma Campagna)지방의 빌라 파르나제(Farnese), 란테(Lante) 등의 정원조영에서 나타나는 복합적인 정원요소의 등장과 더불어 완성형의 형태로서의 15,16세기 이탈리아 정원양식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15,16세기 이탈리아 빌라정원의 입지와 공간구조를 통시적으로 분석한 결과, 정원의 도입기, 형성기, 과도·확산기, 발전기 4단계의 과정을 거치면서 변화하고 있다. 각 단계별 빌라정원의 입지와 공간구조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이 나타나게 된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입기인 15C 피렌체(Firenze)의 빌라정원은 도심근교과 계곡, 구릉에 위치한다는 입지, 지형적 특성과 빌라 건물중심의 공간배치형태, 특히 평면적으로는 규칙성을 띠고 있으면서, 고대 빌라의 정원을 모방 한 것으로, 고대적 특징, 즉 과수원과 채소원이 있는 농원과 같은 외관을 띄고 있다. 또한 식물위주의 매우 단순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15C 피렌체(Firenze)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포데스타(Podesta)라는 정치체제로 나타나게 되는 강력한 가문의 등장, 대규모의 개간사업의 결과로 얻어지는 도심근교의 농업경관의 변화, 또한 의뢰인들의 인문주의적 사고, 즉 고대 문화에 대한 동경의 산물인 전원한거문화의 이상에 따른 도심근교의 빌라 루스티카(Rustica)의 순수한 전원한거의미의 빌라를 선호한 결과 등의 작용요인과 중세에 조영된 카스텔로(Castello) 형태의 잔존하면서, 실제상에서 빌라의 기능을 하는 현실적인 요인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형성기인 16C 초반은 정원문화의 중심이 피렌체(Firenze)에서 로마(Roma)로 옮겨오는 시기로, 교회의 강력한 세력화가 진행됨과 동시에 교황의 권위가 확립하기 시작한 때로, 빌라정원은 도심 내, 구릉에 위치한다는 입지, 지형적 특성을 가지며, 공간배치형태는 평면적으로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코르틸레 델 벨베데레(Cortile del Belvedere)를 조영하는 과정에서는 노단건축법, 기하학적 대칭, 축의 개념이 처음 사용되었으며, 테라스(Terrace)와 노단, 계단, 벽화가 그려진 정자, 청동이나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분천, 고대의 조각상이 처음 정원에 도입되었으며, 빌라 마다마(Madama)의 조영과정에서는 비알레(Viale: 가로수길), 조각과 수목이 함께 처음 정원요소로서 사용되었으며, 토피아리아(Topiaria), 오라 인 무라(ora in muro:담), 발라우스투라(balaustra:난간), 라비린토(labirinto: 미로), 카스카테(cascate: 벽천) 등이 처음 정원요소로 도입되었다(A.Marigherita, 1995). 이에 브라만테(Bramante)와 라파엘로(Raffaelo)는 이러한 조영과정을 통해, 빌라와 정원조영에 거대하면서 총체적인 에디피코(Edifico:건물)-쟈르디노(Giardino:정원)-보스코(Bosco:수림)체계를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정원조영상의 새로운 개념과 기법은 빠른 속도로 추기경, 귀족, 상인, 학자, 예술가 등 모든 분야의 사람들에 의해 모방되어, 일찍이 고대 로마 별장지였던 일곱 언덕과 교외에 정원을 조영하는 풍습이 생겨났으며, 브라만테(Bramante)와 라파엘로(Raffaelo)의 제자들에 의해, 여타지방에 이러한 조영기법이 전파되었다.
 또한 이 시기는 로마(Roma)의 도시계획이 교황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하는 사회적 상황에 연유하여, 이러한 도시계획에 참여하게되는 건축가들을 중심으로, 도시계획의 기법들이 정원조영에도 적용하게 되며,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빌라정원의 공간배치형식에 있어, 정형성을 가지는 형태가 로마에서 출현하고 있었다.


최종희 Choi Jong Hee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전임연구교수(학술진흥재단 지원)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