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한국자생식물연구회 ; 백두산식물상 연구 등 자생식물 돌보기 14년째
    지금 전세계가 생물종의 종다양성 확보를 위해 종자전쟁까지 선포하고 있는 마당에 우리나라는 월드컵 스키대회에 동계올림픽게임, 지역이기주의를 명분으로 산림 생태학적으로 보존가치가 높은 귀중한 생태계를 파괴하려 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현실을 인식하여 우리자생식물의 원예학적 개발과 이용목적에 따른 개량, 자생종 보존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바로 그때 조심스럽게 꽃망울을 틔우는 우리 야생화의 순수하면서도 화사한 고운 빛깔이 한반도는 물론 세계 곳곳에서 빛을 발하게 될 것이다. ※ 키워드: 백두산, 자생식물 ※ 페이지 : 136-137
    • / 1996년05월 / 97
  • 작살나무, 종려
    작살나무는 우리나라에 전국의 산록 및 계곡에 많이 자라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100-1,200m에 분포되어 있고 지리적으로는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되어 있다. 이 나무는 가을에 자수정 알처럼 빛나는 자주색 열매가 대단히 보기 좋아 인가 근처에 자주 식재하였고, 또한 양산대, 젓가락 등 여러 가지 생활용구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종려는 중국에서 들어온 나무로 우리나라에는 남부지방과 제주도 및 남해 도서 지방에 많이 식재되어 있고 중부 및 기타 지역에서는 주로 분식하여 온실이나 살내에서 재배하고 있다. 이 나무의 원산지는 중국 및 일본이라고 하나 일본에서는 원산지라고 하는 구주 남부지방에서 야생성인 것을 발견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 키워드: 작살나무, 종려 ※ 페이지 : 174-179
    • / 1996년05월 / 97
  • 대구광역권 녹색플랜과 환경보전전략
    앞으로의 환경정책은 환경문제를 둘러싼 여러 가지 외생변수와 환경정책의 지도원리가 지역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수립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대구광역시는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전체사업체의 70%가 금호강변을 축으로 한 도심에 산재하여 이해관계자 모두가 환경관리에 한계를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단위사업체를 위천국가공단조성을 통하여 업종별 특성에 따라 집산시키고 종합적이며 체계적인 환경관리를 세부공정관리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 대국광역권 환경정책의 근본이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환경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 키워드 : 대구, 환경보전 ※ 페이지 : 66-71
    • / 1996년05월 / 97
  • 침묵의 내고향, 절영도 앞바다/부산시 영도구 동삼동
    농가에서는 닭이 알을 낳았지만 병아리가 생기지 않고, 돼지는 덜 된 새끼만 낳는데 그나마도 2-3일만에 죽어버린다. 농부들은 시름시름 앓아누웠는데 의사들은 무슨병인지 몰라 손을 못 쓴다. 냇물에는 고기가 죽어 배를 보이고 꽃에는 벌이 날아들지 않으며 숲에선 새소리를 들을 수 없다. 저주받은 이 땅엔 봄이 와도 침묵의 봄일 따름이다. ※ 키워드: 장원, 부산 ※ 페이지 : 188-189
    • / 1996년05월 / 97
  • 제주도의 개발과 환경보전
    제주도 개발특별법과 제주도종합개발계획의 시행으로 제주도 환경보전의 골격은 갖추어져 있고, 지역주민이나 행정관청의 시행의지도 강하기 때문에 제주도 고유의 자연환경은 유지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와 계획의 결과로 제주도 전체면적의 50% 이상이 여려가지 형태의 제한을 받고 있어 지역주민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실제로 이에 대한 민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제주도 과제는 환경은 보전하면서, 지역주민의 생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역의 경제가 성장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을 찾는 것이다. ※ 키워드 : 제주도, 환경보전 ※ 페이지 : 92-97
    • / 1996년05월 / 97
  • 전라북도의 녹색 네트워크와 환경보전 전략
    전라북도의 녹색플랜전략은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그린 네트워크화 구상의 일환으로 지방행정당국에서 세부적인 추진계획을 세워 시행해야 한다. 이의 추진계획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 추진할 수 있으며 그 하나는 그린의 면적단위를 설정하여 이들 상호간의 네트워킹을 이루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린이 속하는 환경요소에서 각기 독특한 그린 네트워킹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 키워드 : 전라북도, 환경보전 ※ 페이지 : 82-91
    • / 1996년05월 / 97
  • 광주 전남의 녹색플랜과 환경보전
    광주 전남의 환경문제를 해결하여 쾌적한 자연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첫째 환경보전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시민, 정부, 기업의 의식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환경오염의 주체는 가정 사회 거입이든 개개인이기 때문에 개개인의 의식전환이 없이는 처리시설을 설치하더라고 환경개선 효과를 제고하기는 어렵다.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민 스스로가 생활하수, 쓰레기, 에너지 등을 절감하는 등의 실천 활동을 전개하지 않으면 안된다. ※ 키워드 : 광주, 전남, 환경보전 ※ 페이지 : 72-81
    • / 1996년05월 / 97
  • 조경가의 위력과 참조경가의 사명은
    원색적이거나 아니면 거칠고 음산한 식물들이 가로변에 나열된 오늘날의 도로를 달리는 국민들이 이미 역겹지 않다는 사실 그 자체가 곧 그러한 부류 식물들의 품성을 닮아있다는 현상이기에 더더욱 심각한 사회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제는 우리의 국토를 바로 알고 우리스럽게 바로 가꾸어야할 때다. 나라의 지도자는 물론 뼈대 있는 조경가들의 획기적인 시도가 요구된다. 특히 조경가들이 이나라의 국민성까지도 은연중에 뒤집어 놓을 수 있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여야 한다. ※ 키워드: 참조경가, 사명 ※ 페이지 : 52-53
    • / 1996년05월 / 97
  • 지난 3월호를 보고
    일반이 구독할 수 있는 잡지되길, 환경보호에 앞장서는 매체되길, 체계적인 연재물 기획 ※ 키워드: 3월호 ※ 페이지 : 50
    • / 1996년05월 / 97
  • 한국전통의 도시공원 ; 읍수
    첫째로 읍수가 주로 위치한 곳은 대체로 읍의 중심이 되는 각종 건물과 시설주변이거나 읍경계를 이루는 성곽, 종교시설 등으로 결국 읍수는 읍의 중심과 경계를 강화함으로써 읍의 장소성을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과거의 읍은 통치시설을 중심으로 읍이 형성됨으로써 관아중심적이고 관 주도적인 경향을 갖고 있으며 수직상의 배치에서도 중심건물외에는 고도제한을 하는 권위주위적 배치가 이루어져 왔다. ※ 키워드: 읍수 ※ 페이지 : 140-147
    • / 1996년05월 / 97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