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살나무, 종려
작살나무는 우리나라에 전국의 산록 및 계곡에 많이 자라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100-1,200m에 분포되어 있고 지리적으로는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되어 있다. 이 나무는 가을에 자수정 알처럼 빛나는 자주색 열매가 대단히 보기 좋아 인가 근처에 자주 식재하였고, 또한 양산대, 젓가락 등 여러 가지 생활용구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종려는 중국에서 들어온 나무로 우리나라에는 남부지방과 제주도 및 남해 도서 지방에 많이 식재되어 있고 중부 및 기타 지역에서는 주로 분식하여 온실이나 살내에서 재배하고 있다. 이 나무의 원산지는 중국 및 일본이라고 하나 일본에서는 원산지라고 하는 구주 남부지방에서 야생성인 것을 발견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 키워드: 작살나무, 종려
※ 페이지 : 174-179
-
침묵의 내고향, 절영도 앞바다/부산시 영도구 동삼동
농가에서는 닭이 알을 낳았지만 병아리가 생기지 않고, 돼지는 덜 된 새끼만 낳는데 그나마도 2-3일만에 죽어버린다. 농부들은 시름시름 앓아누웠는데 의사들은 무슨병인지 몰라 손을 못 쓴다.
냇물에는 고기가 죽어 배를 보이고 꽃에는 벌이 날아들지 않으며 숲에선 새소리를 들을 수 없다. 저주받은 이 땅엔 봄이 와도 침묵의 봄일 따름이다.
※ 키워드: 장원, 부산
※ 페이지 : 188-189
-
한국전통의 도시공원 ; 읍수
첫째로 읍수가 주로 위치한 곳은 대체로 읍의 중심이 되는 각종 건물과 시설주변이거나 읍경계를 이루는 성곽, 종교시설 등으로 결국 읍수는 읍의 중심과 경계를 강화함으로써 읍의 장소성을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과거의 읍은 통치시설을 중심으로 읍이 형성됨으로써 관아중심적이고 관 주도적인 경향을 갖고 있으며 수직상의 배치에서도 중심건물외에는 고도제한을 하는 권위주위적 배치가 이루어져 왔다.
※ 키워드: 읍수
※ 페이지 : 140-147
-
국내 리조트개발의 성립과 전개 ; 워커힐을 사례로
한국의 전후에 있어서 리조트의 최초 발생지인 워커힐의 발전과정의 고찰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963년 개관한 국책 호텔로서 한국정부는 국가자본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외화 획득을 목표로 하였다.
특히 주한 미군을 겨냥한 보양 레크리에이션 시설의 종합 휴양지인 리조트 호텔을 조성한 것이다. 워커힐은 1960년대부터 1970년에 걸쳐 한국관광발전의 선국적 역할과 1980년대의 한국호텔산업의 단계적 상승과 국제화에의 발전적 변화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는 측면에서 커다란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워커힐은 외화획득이라는 경제적 효과 뿐만 아니라 본격적인 리조트나 호텔 문화를 서울 시민들의 눈앞에 보여준 효과가 대단히 컸다고 볼 수 있다.
※ 키워드: 리조트, 워커힐
※ 페이지 : 154-159
-
사철푸른 한지형 잔디의 특성, 이용 및 조성법
본격적으로 잔디를 정원에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구한말 문호개방과 함께 서양 문물이 들어오면서 부터라고 생각된다. 덕수궁에 서양풍의 정원이 생겨나 잔디가 식재되었으며, 1900년에는 원산에 외국인들을 위한 6홀 규모의 골프코스가 생겨나기도 하였다.
해방이후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잔디의 사용량은 급격히 늘어나 각종 정원 및 공원을 비롯, 도로비탈면, 경기장, 골프장 등 다양한 곳의 녹화용으로 잔디가 사용되었다.
※ 키워드: 한지형 잔디
※ 페이지 : 148-153
-
조경설계 시공시 고려해야 할 재료별 특성
효율적인 목재보전을 위해서는 조경용 목재의 규격화, 절제된 목재사용, 목제체결 방법의 개선 및 철저한 사후관리체계의 수립등이 심도있게 논의되어야 하며 세계적인 추세가 과거의 맹독성, 중독성의 방부처리에서 환경에 악영향이 적거나 거의 없는 저독성, 무독성의 방부방법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에도 부합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듯 목재보전을 위해서는 종합적인 분석과 이를 토대로 정확한 기준의 설정 및 지속적인 유지노력 등 어느 한분야도 소홀히 할수 있는 부분이 없으며 기본적으로 목재의 속성을 생명체의 연장으로서 바라보는 시각이 우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 키워드: 조경설계, 재료
※ 페이지 : 166-173
-
환경비전21과 조경계의 역할분담
환경비전21의 주요내용과 관련하여 조경계의 적극적인 참여가 기대되는 곳은 첫째로 생태도시 모형의 개발과 보급부분이다. 환경부가 작성한 생태도시조성 국가기본계획에는 1996년 7월까지 생태도시조성 국가기본계획을 수립하고 1997년 12월까지는 생태도시조성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계획들이 완성되면 사업단계로 들어가 2000년 까지는 5-6개 도시에 대해 생태도시조성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2011년까지 전국 주요도시 중 지역여건과 특성을 고려해 10개도시를 선정해 사업을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둘째로 생활녹지의 보전과 확대 및 자연생태계 보전 복원을 위해서는 환경부의 그린네트워크화 구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는 1996년까지 우리나라의 그린 네트워크 기본 모형을 수립하고 1998년까지 지방자치 단체별 그린 네트워크 세부계획을 수립하여 2000년대에 전국 그린 네트워크 추진계획을 완성하느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키워드: 비전, 조경
※ 페이지 : 160-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