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Design Lecture Series IV
    그 네 번째 이야기 - 공존을 위한 디자인지난 12월 23일 대한상공회의소 지하 2층 의원회의실에서 ‘공존을 위한 디자인’이란 주제 아래 윤호섭 명예교수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과의 강연이 개최되었다. 이번 강연은 삼성에버랜드(주)E&A 디자인그룹그룹장 김준연이 주관한 Design Lecture Series의 마지막을 장식한 강연으로 2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환경을 보전하고 회복하기 위한 근원적 해결책으로서의 그린디자인을 교육하고, 주로 폐품을 재활용한 작품 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윤호섭 명예교수는 자신이 만든 작품과 그 속의 이야기로 강연을 이끌었다. 그는 ‘공존’을 이야기하기 위하여 아이티 지진사건 후에 있었던 자신의 일화를 먼저 전하였다. 당시 국제동물애호기금인 IFAW에서 도움을 달라는 메일을 받으면서 새로운 충격에 휩싸였다는 것이다. 당시 그 곳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은 당연하게 떠올렸지만, 동물들도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사실은 염두에 두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 도시숲법(안) 제정반대 토론회
    Debate: Oppositions to the Legislation of Urban Forest Law지난 12월 23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산림청의 ‘도시숲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에 반대하는 ‘도시숲법(안) 제정반대 토론회’가 (사)한국조경학회 주최로 개최되었다. (사)한국조경학회 양홍모 회장의 인사말로 시작된 이번 토론회는 ‘조경영역인 도시공간의 공한지, 공공공지, 주택·공동주택, 병원·요양소, 공장·공단, 인공지반 등에 조성하여 관리하는 녹지를 도시환경숲으로 정의하고 산림청이 다루겠다’는 ‘도시숲법(안)’이 현행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및 기타 유관 법률과 중복되며, 조경영역인 가로조경과 학교조경도 가로숲, 학교숲으로 이름을 바꾸어 산림청 업무로 전담하겠다는 법안으로 조경 고유의 영역을 심각히 침해하므로 법 제정이 불가하다는 조경계의 공식입장을 명확히 밝힘과 동시에 조경인들의 강력한 대응을 천명하는 자리였다. 발제자로 나선 김한배 서울시립대 교수는 ‘도시숲법(안)은 침략적 법안이다’ 이라는 주제로 ‘도시숲법(안)’이 폐기되는 시점까지 조경인들의 단결된 총궐기를 독려하였고, 최신현 (주)씨토포스 대표이사는 ‘도시숲법(안)과 관련 법 비교’라는 주제로 ‘도시숲법(안)’이 현행법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및 기타 유관 법률과 명백히 중복되기 때문에 법률제정 자체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심왕섭 세림조경건설(주) 대표이사도 ‘도시숲법(안)의 조경산업 업무영역 침탈’ 이라는 주제로 껍데기만이라도 상정하여 통과시킨 후 보완 내지 개정을 통하여 소기의 목적을 완수하고자 하는 산림청의 꼼수가 내포된 ‘도시숲법(안)’은 절대로 통과되면 안되는 법이라고 강조하였다.
  • Cha Tae Wook
    위기의 맵핑 _ 인식과 실체차 태 욱차태욱은 미국 공인 조경가이며 수퍼매스 스튜디오의 창립자이자 소장으로서 사무실 내의 모든 설계작업을 책임지고 있다. 미국을 근거지로 한 15년간의 국제적 설계경력을 통해 설계 및 프로젝트 운영, 시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리더십을 발휘한다. 그의 작업의 근본적인 관심사는 경관과 도시, 생태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기회주의적 다양성”과 “비정형적 창의성” 그리고“사회•환경적 책임감”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그의 작업은 대규모 또는 소규모, 상업 또는 공공, 주거 또는 업무 등에 관계없이 모든 프로젝트는 각기 다른 자기만의 기회를 내재하고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으며, 혁신적이고 새로운 설계접근을 통해 이러한 기회를 포착하고 이끌어냄으로써 단순한 설계행위를 넘어서는 의미있는 작업을 추구한다. 하버드대학교 설계대학원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조경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뉴욕, 매사추세츠, 네바다주에 공식 등록된 미국 공인 조경가이며, 친환경전문자격증 LEED을 보유하고 있다.
    • / 2012년02월 / 286
  • Cha Tae Wook
    위기의 맵핑 _ 인식과 실체차태욱차태욱은 미국 공인 조경가이며 수퍼매스 스튜디오의 창립자이자 소장으로서 사무실 내의 모든 설계작업을 책임지고 있다. 미국을 근거지로 한 15년간의 국제적 설계경력을 통해 설계 및 프로젝트 운영, 시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리더십을 발휘한다. 그의 작업의 근본적인 관심사는 경관과 도시, 생태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기회주의적 다양성”과 “비정형적 창의성” 그리고“사회•환경적 책임감”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그의 작업은 대규모 또는 소규모, 상업 또는 공공, 주거 또는 업무 등에 관계없이 모든 프로젝트는 각기 다른 자기만의 기회를 내재하고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으며, 혁신적이고 새로운 설계접근을 통해 이러한 기회를 포착하고 이끌어냄으로써 단순한 설계행위를 넘어서는 의미있는 작업을 추구한다. 하버드대학교 설계대학원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조경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뉴욕, 매사추세츠, 네바다주에 공식 등록된 미국 공인 조경가이며, 친환경전문자격증 LEED을 보유하고 있다.
    • / 2012년02월 / 286
  • 도시숲법(안) 제정반대 토론회
    Debate: Oppositions to the Legislation of Urban Forest Law지난 12월 23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산림청의 ‘도시숲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에 반대하는 ‘도시숲법(안) 제정반대 토론회’가 (사)한국조경학회 주최로 개최되었다. (사)한국조경학회 양홍모 회장의 인사말로 시작된 이번 토론회는 ‘조경영역인 도시공간의 공한지, 공공공지, 주택·공동주택, 병원·요양소, 공장·공단, 인공지반 등에 조성하여 관리하는 녹지를 도시환경숲으로 정의하고 산림청이 다루겠다’는 ‘도시숲법(안)’이 현행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및 기타 유관 법률과 중복되며, 조경영역인 가로조경과 학교조경도 가로숲, 학교숲으로 이름을 바꾸어 산림청 업무로 전담하겠다는 법안으로 조경 고유의 영역을 심각히 침해하므로 법 제정이 불가하다는 조경계의 공식입장을 명확히 밝힘과 동시에 조경인들의 강력한 대응을 천명하는 자리였다. 발제자로 나선 김한배 서울시립대 교수는 ‘도시숲법(안)은 침략적 법안이다’ 이라는 주제로 ‘도시숲법(안)’이 폐기되는 시점까지 조경인들의 단결된 총궐기를 독려하였고, 최신현 (주)씨토포스 대표이사는 ‘도시숲법(안)과 관련 법 비교’라는 주제로 ‘도시숲법(안)’이 현행법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및 기타 유관 법률과 명백히 중복되기 때문에 법률제정 자체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심왕섭 세림조경건설(주) 대표이사도 ‘도시숲법(안)의 조경산업 업무영역 침탈’ 이라는 주제로 껍데기만이라도 상정하여 통과시킨 후 보완 내지 개정을 통하여 소기의 목적을 완수하고자 하는 산림청의 꼼수가 내포된 ‘도시숲법(안)’은 절대로 통과되면 안되는 법이라고 강조하였다.
  • Design Lecture Series IV
    그 네 번째 이야기 - 공존을 위한 디자인지난 12월 23일 대한상공회의소 지하 2층 의원회의실에서 ‘공존을 위한 디자인’이란 주제 아래 윤호섭 명예교수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과의 강연이 개최되었다. 이번 강연은 삼성에버랜드(주)E&A 디자인그룹그룹장 김준연이 주관한 Design Lecture Series의 마지막을 장식한 강연으로 2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환경을 보전하고 회복하기 위한 근원적 해결책으로서의 그린디자인을 교육하고, 주로 폐품을 재활용한 작품 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윤호섭 명예교수는 자신이 만든 작품과 그 속의 이야기로 강연을 이끌었다. 그는 ‘공존’을 이야기하기 위하여 아이티 지진사건 후에 있었던 자신의 일화를 먼저 전하였다. 당시 국제동물애호기금인 IFAW에서 도움을 달라는 메일을 받으면서 새로운 충격에 휩싸였다는 것이다. 당시 그 곳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은 당연하게 떠올렸지만, 동물들도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사실은 염두에 두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 한국의조경 40년, 변화와 혁신의 원년이 될 수 있기를
    2012년 한국조경은 40세의 중년기에 접어든다.인생을 생각하며 한참 열정적인 활동이 가능한 나이일 수도있겠지만, 어느덧 변화를 두려워하고 현재에 안주하고자하는 마음이 커지는 나이일 수도 있겠다. 전자의 경우라면아무 문제가 없겠지만 후자의 경우 변화에 대한 두려움으로기존의 관행과 타성에서 자의적으로 빠져나오기는 참으로어려울 것이다.다시 새해를 지나며 여전히 불안한 신년의 정세 속에서많은 기업들은 물론, 금융계, 정치계, 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리더들이 ‘변화와 혁신’, ‘소통과 화합’을 2012년 기치로내걸었다. 빠른 시대의 흐름과 함께 사회가 각 전문분야에원하는 것도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 크게작용하였음은 굳이 덧붙여 말할 필요가 없다.이에 더해 빠른 사회적 욕구만큼이나 세계화, 국제화,탈영역화 등으로 인한 치열한 경쟁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되었다. 이러한 불안정한 시장분위기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으로 신년초부터 ‘끊임없는 혁신과변화’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조경분야도 그 흐름에 달리서있지는 않을 것이다.최근 모 그룹의 CEO가 강조했던 솔개의 이야기가화제다. 솔개는 약 70년의 수명을 누릴 수 있는데 이렇게장수하려면 약 40살이 됐을 때 구부러져 쓸모가 없어진부리를 바위에 깨고, 노화한 발톱을 뽑은 뒤 무거운 깃털을하나하나 뽑아내는 고통스러운 자기 시련의 과정을 거쳐제2의 생명을 얻는다고 한다. 혹독한 고통을 견뎌내고새로운 비상을 준비하는 솔개를 생각하며, 2012년 40년을맞는 한국조경의 현재를 떠올려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