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에디토리얼] 중국 현대 조경의 진격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한 기대가 부풀고 있는 봄의 절정, 5월의 특집 지면을 중국 조경설계사무소 Z+T 스튜디오의 근작들로 엮었다. Z+T를 이끄는 조경가 장둥(Zhang Dong)을 처음 만난 건 2019년 1월이었다. 『빅 아시안 북(The Big Asian Book of Landscape Architecture)』(Jovis, 2021) 출판 기획 워크숍을 위해 베이징에 모인 서울의 오피스박김, 상하이의 Z+T, 상하이‧서울‧선전의 랩디에이치(Lab D+H)(본지 2019년 6월호 특집), 도쿄의 오버랩(Overlap), 싱가포르의 샐러드 드레싱(Salad Dressing), 방콕의 SCHMA 등 아시아 여러 나라의 젊은 조경가들은 최근의 혁신적 작업들을 공유했을 뿐 아니라, 식민지 근대화와 파행적 도시화의 유산, 전통에 대한 강박과 피로, 서구에서 수입한 조경 직능의 불안정성과 조경가 간 세대 갈등, 신자유주의 글로벌 경제 체제가 낳은 해외 스타 조경가들과의 경쟁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동시대 중국 조경에 투런스케이프(Turenscape)의 위쿵젠(Yu Kongjian)만 대입하는 게 고작이었던 나에게 베이징 워크숍에서 목격한 조경가들의 작업은 신선한 충격 그 이상이었다. 특히 랩디에이치와 Z+T 스튜디오의 근작들은 중국 조경에 대한 나의 막연한 선입견을 무너뜨렸다. 지체된 근대화와 광속의 도시화를 겪은 중국의 공공 경관과 상업 공간을 급속도로 채운 건 관 주도 조경과 도시설계의 엉성한 졸작이거나 다국적 대형 설계사무소의 무성의한 복제품뿐일 것이라는 편견을 그 자리에서 바로 버렸다. 중국 조경의 변신은 조경 교육의 변화와 긴밀한 함수 관계를 맺고 있다. 1952년 베이징 임업대에서 시작된 조경 프로그램은 1970년대 말 덩샤오핑의 ‘4대 근대화’ 선언과 개방 정책의 여파로 세를 확장했다. 1980년대 후반에는 개설 조경학과 수가 60개에 달했으나 주로 전통적인 원림과 농업 기반 정원술 위주의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수준이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대부분이 폐과되어 베이징 임업대, 난징 임업대, 상하이 농대 세 학교에서만 조경 교육의 명맥이 유지되는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세기의 전환기를 앞둔 시점에 귀국한 위쿵젠, 왕샹얼웅(Wang Xiangrong), 후제(Hu Jie) 등 1세대 해외파 조경 인력이 베이징대, 칭화대, 상하이 퉁지(Tongji)대 등에 새로운 조경 프로그램을 열면서 다시 전환점을 맞는다. 뿐만 아니라 21세기의 첫 10년간 급속도로 진행된 도시화와 그에 따른 환경 문제, 베이징 올림픽과 상하이 엑스포 개최, 국가유산 보존, 전국생태보안계획 등과 맞물려 조경 교육의 양적 성장과 질적 진화가 동시에 일어났다. 2011년에 이르면 대학과 대학원 조경 프로그램이 70여 개로 늘었고, 2013년에는 약 180개로 폭증한다. 이제 중국에서 전문 직능으로서 조경가의 위상은 그 어느 국가나 문화권보다 높다. 중국 출신 조경 인력은 자국을 넘어 구미권 글로벌 조경설계사무소들의 중추 역할을 하고 있기도 하다. 1990년대 말 이후 중국에서 새로운 조경 교육을 받은 세대의 적지 않은 수는 해외에서 학업과실무를 경험하거나 중국 내에서 자국 특유의 어바니즘에 기반한 실천적 경험을 쌓아가며 선배 세대의 한계를 넘어섰다. ‘빅 아시안 북’ 워크숍에서 만난 젊은 조경가들은 유학을 통해 체득한 서구식 조경을 그대로 이식하고 국가 주도 대형 공공 프로젝트를 통해 급성장한 중국 현대 조경 1세대들과 달리, 동시대 도시성의 회복과 재생, 경관의 재료와 물성, 디자인의 매체와 디테일, 새로운 도시 라이프스타일과 미감에 접근하며 디자인 해법을 생산하고 있었다. 최근 중국 조경의 아방가르드를 한눈에 조감하고자 한다면 『뉴호라이즌스(New Horizons: Eight Perspectives on Chinese Landscape Architecture Today)』(Birkäuser, 2020)를 일독할만하다. Z+T 스튜디오, WISTO, 인스팅트 패브리케이션(Instinct Fabrication), 랩디에이치, YIYU, 모상(Moshang),클로버 네이처 스쿨(Clover Nature School), 푸잉빈(Fu Yingbin) 등 여덟 팀의 다채로운 작업을 접할 수 있다. 베이징 워크숍에서 Z+T의 장둥 소장이 스크린에 투사한 한 장의 사진이 아직도 생생하다. 비 온 뒤 질척거리는 도시 변두리 물웅덩이의 아스라한 추억을 떠올리게 하지만 실은 콘크리트로 섬세하게 조각된 친수 공간의 풍경(‘클라우드 파라다이스’, 2017). 랩디에이치의 최영준 소장이 진행한 이번 호 인터뷰에 실은 사진 속 그 장면은, 전통의 무게와 개발 시대의 속도전을 경쾌하게 넘어서고 있는 동시대 중국 조경의 담백한 한 단면일지도 모르겠다. 브라운필드, 대형 공원, 도심 상업 공간, 유치원 정원을 넘나드는 Z+T 특집 지면이 중국 조경의 현재를 가늠할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초가을, 광주에서 열릴 제58차 세계조경가대회(IFLA 2022 World Congress)에 참가해 Z+T 스튜디오의 강연에 귀 기울여보시길 권한다. [email protected]
  • [풍경 감각] 내달리는 결승점
    한국이 첫 엔데믹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소식이 라디오에서 흘러나온다. 반가운 마음으로 이 글이 실린 『환경과조경』이 출간될 즈음의 풍경을 상상해본다. 벤치와 퍼걸러를 두른 진입 금지 테이프가 사라지고, 우리는 마스크 없는 서로의 맨얼굴을 마주하고 있지 않을까? 너무 성급하게 행복 회로를 돌리고 있는 걸까? 한 달 사이에 새로운 변이가 유행한다거나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다시 강화되어 엔데믹이 기약 없이 미뤄질지도 모르는데 말이다. 줄어들 기미가 보일때 갑자기 확 늘어났던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와 느슨해질 때마다 바짝 조이곤 했던 사적 모임 제한처럼. 섣불리 끝을 말하기엔 이른 시점이지만, 긴 달리기에서 결승점이 (아주 아주) 어렴풋하게 보이는 기분이다. 라디오 뉴스 꼭지 다음으로 옥상달빛의 노래 ‘달리기’가 이어진다. “단 한 가지 약속은 틀림없이 끝이 있다는 것. 끝난 뒤엔 지겨울 만큼 오랫동안 쉴 수 있다는 것.”
  • [모던스케이프] 어린이의 탄생
    민족, 사회, 시민, 문명, 자유, 가족 등 지금은 마땅하다고 알고 있는 개념 중에는 근대기에 처음 등장한 것이 생각보다 많다. 대체로 서구의 전근대 체제가 붕괴하고 그 자리에 새로운 질서가 구축되면서 만들어진 개념들인데, ‘어린이’도 그중 하나다. 산업혁명이 시작된 시기의 서구 사회에서 어린이는 그리 환영받는 존재가 아니었다. 상류층 가정에서조차 어린이는 최소한의 관심만 받았고(당시 유아 사망률이 매우 높았던 점이 이유였다고 한다) 서민 가정의 아이들은 일찌감치 도제 수업에 뛰어들어 부모의 직업을 이어받는 장인이 되거나 계산에 밝은 숙련된 상인으로 컸다. 또 공장에서 기계를 돌리려면 많은 노동력이 필요했는데 아동의 노동은 성인보다 손쉽게 취할 수 있었다. 그 바람에 가난한 하층민 아이들의 노동이 착취되거나 그들에게 학대가 자행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즉 근대 초기만 하더라도 어린이를 가족의 끈끈한 유대감 속에 두기보다는 철저하게 소외하거나 노동의 수단으로 여기는 상황이 보편적이었다. 근대 계몽주의자들이 강조했던 ‘교육’은 이러한 어린이의 이미지에 반전을 가져왔다. 계몽주의의 대표 주자인 장 자크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는 자연의 본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아동의 천성을 강조하면서 이에 맞는 교육관을 주장했다. 루소에게 어린이는 어른과 명확하게 다른 존재였다. 그는 냉혹한 현실에 내던져진 어린이의 고달픈 삶을 결코 용납할 수 없었다. 변화는 상류층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들은 백지장처럼 무해한 어린이가 본성이 건강한 인간으로 성장하려면 학습의 경험이 필요하며 따뜻한 가정 환경과 책임감 있는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때마침 활황이었던 소비 문화가 아동을 주제로 한 문학과 회화를 유행시켰고 서커스, 인형 쇼, 동물원 등 어린이에게 매력적일 만한 아이템들을 만들어냈다. 문학은 아동을 작고 귀엽고 지극히 사랑스러운 낭만의 이미지로 묘사하고 어린이들의 세계를 공상과 동경의 장소로 예찬했다. ‘천진난만한’ 어린이는 회화에도 등장했는데, 이 또한 전에는 없던 일이다. 이전에는 그림의 주인공이 어린이라면 가문의 후계자거나 예견된 지위와 부를 드러낼 목적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근엄한 표정과 움직임이 없는 경직된 자세를 취하기 마련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나비, 꽃, 애완동물 등 여러 소재를 끌어들여 아이의 순수하고 순진한 이미지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쪽으로 변했다. 참고문헌 김정은, “일제강점기 창경원의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 『한국조경학회지』 43(6), 2015, pp.1~15. 박훈, “근대일본의 ‘어린이’관의 형성”, 『동아연구』 49, 2005, pp.35~162. 이영석, “근대 영국사회와 아동 노동”, 『영국 연구』 43, 2020, pp.1~20. 이인영, 『한국 근대 아동잡지의 ‘어린이’ 이미지 연구 – 『어린이』와 『소년』을 중심으로』, 2014,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 編, 『(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報報告書』, 1930, 京城: 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 그림 출처 그림 1. 조선박람회경성협찬회, 『(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報報告書)』, 1930 그림 2와 3. 조선총독부, 『조선박람회기념사진첩』, 1930 *환경과조경409호(2022년 5월호)수록본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