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식물원 ; 일본의 식물원
    - 북해도대학 농학부 부속 식물원이 식물원은 완만한 지형으로 아름다운 샘과 내가 흐르고 있었던 옛지형이 도시의 발달과 더불어 사라지면서 이 식물원에 그러한 옛자취를 다시나마 발견할 수 있으며, 원주민조의 움집터도 보존되고 있다. 이 식물원의 자연은 북해도 중남부의 평지림이 잔존한 형태로 느룹나무, 고로쇠나무, 산단풍, 엄나무, 넓은잎황벽나무, 오리나무, 물참나무 등이 많다. 느룹나무의 수령은 1백년부터 2백년 전후로 식물원내의 커다란 경관요소가 되고 있다. 이들 자연림에 덧붙여 북온대의 주요한 수종을 자연의 풍치를 해치지 않도록 적지를 택하여 식재하고 있다. - 경도부립식물원1924년 설립, 1946년 이후 12년간 연합군에 접수된 바 있다. 1961년 휴식의 장, 교양의 장으로서 면목을 일신하여 다시 공개돠었다, 폭넓게 일반시민에게 개방된 식물원으로서 일본에서 가장 잘 정비된 식물원중 하나로 약 1만여종을 수집하고 있다. 정문에 이르는 느티나무 열식수는 차분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으며, 원내에는 넓은 잔디를 전경으로 수목들 사이로 주변의 산들이 조망된다.- 신대식물공원대채적으로 평탄한 부지에 조성된 것이나 일부 잡목림이 남아있고 인공연못 등도 있는 공원식의 식물원이다. 특히 과별또는 지역별로 식재하는 식물원적인 견본형식이 아니라 조원, 도시녹화에 유용한 식물을 생태적으로 적절하고 또한 각각의 아름다움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배식을 고려하고 있다. 식물로는 대나무원, 장미원, 석남화원, 목련원, 작약원, 매화원, 동백원, 애기동백원, 야초원, 생울타리 견본원, 침엽수원 등이 있으며 화훼의 종류, 품종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용현황은 입원자수가 많아 연간 2백만을 넘는다. 부지의 확장, 관상대온실의 건설이 계획되고 있다,. - 미도시이 공원은 건축 가다끼미즈오에 의한 건축과 조경의 토탈디자인 작품으로 1988년 조원학회상을 수상한 바 있다. 전체적인 구성은 회유식으로 되어있고, 부분에도 각각 입체적인 회유성을 가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는 곳마다 갖가지 경관이 전개된다. 또한 건축물도 내외가 혼연일체가 되는 공간이 곳곳에 나타나 물과 수목이 어루어져 계절과 함께 변화하는 모습을 관상할 수 있는 점이특징이라 할 수 있다. ※ 키워드 : 일본, 식물원, 북해도대학농학부부속식물원, 경도부립식물원, 신대식물공원, 도가섬, 미도시. 일본식물원※ 페이지 : 86 ~ 91
    • / 1996년07월 / 99
  • 식물원 ; 영국의 식물원
    - 큐우 식물원왕립 큐우식물원은 원래 왕실의 경원에서 비롯되었다. 그 당시에는 규모가 아주 작은 개인정원 정도의 규모였을 뿐이다. 당시 해외의 각 식민지에서 진귀한 식물들을 수집해 즐기기 위한 정원의 개념을 넘어서지 못했으나. 약 2백년전부터 식물 학자가 정식 식물원장으로부임한 이후부터는 식물원이 기능에 걸맞는 식물의 수집, 배치및 연구에 막대한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으며,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본격적인 식물원의 발전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왕립 에딘버러 식물원왕립 에딘버러 식물원은 옥스퍼드 식묵원이 개원한 1621년에 이어 1670년에 아주 조그만한 대지규모로 시작하였는데 이는 현재 매년 개최되는 Chesea Flower Show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Chelsea Physic Garden과 1759년에 개원한 큐우식물원에 앞서 영국에서는 두 번째로 장구한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큐우식물원이 왕식의 개인정원에서 비롯된 것과 달리, 양용식물의 연구를 위해 의사들이 세웠다는 점이 특이하다.- 케임브릿지대학 식물원케임브릿지대학 식물원의 조성은 식물연구 실험실의 개념에서부터 비롯되어 1754년에 설립되었으나. 8년 후에 대학식물원으로 재출발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식물원의 발전은 식물학 교수였던 John Stevens의 헌신적인 노력에 의한 결과였으며, 그의 제자가 바로 종의 기원으로 유명한 Charles Darwin이다. 1831년에 이르러 15헥터 면적의 규모를 가진 현재의 부지에 자리잡게 되었다.- 웨스튼버트 수목원이 수목원은 Robert Stayner Holfird와 Sir George Lindsay Holford의 두사람에 의하여 1829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 관심을 보인 식물은 생장속도가 더디고, 수령이 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주목류, 회양목류, 참나무류, 자작나무류 및 단풍나무류 등을 중심으로 식재하기 시작하였다. 1956년에는 Forestry Commission으로 관리권이 위임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키워드 : 영국, 영국의 식물원, 식물원, 큐우 식물원, 왕립 에딘버러 식물원, 케임브릿지대학 식물원, 웨스튼버트 수목원※ 페이지 : 72 ~ 79
    • / 1996년07월 / 99
  • 식물원 ; 러시아의 식물원
    - 모스크바 중앙 식물원1945년 4월에 설립되어 작년 7월에 설립 50주년 창립기념행사를 가진 모스크바 식물원은 식물원의 총면적 약 3백60헥터 중 2백헥터 정도의 자연식생지역 중 참나무림의 자연보호지역을 보유하고 있어서, 울창한 숲속을 연상 시킬 정도로 아름다운 정원이나, 서유럽의 유명한 식물원과는 달리 조경에는 그리 신경을 쓰지 않고 있는 듯 하다. 면적은 3백60여ha 정도로 그리 넓지 않으나, 2만1천종류의 식물과 26만7천점의 석엽표본을 수집해 놓고 있다. 주요한 온식은 번식용을 포함하여 8동이 있으며, 조직, 직원 미 연구 인력에 대한 내용은 아직 공개되어 있지 않다. 이 식물원은 독립국가 내의 모든 식물원을 대표하며, 외국에서 접촉을 원할 경우에는 중앙 식물원을 거치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세인트 피터스버그의 코마로프 식물연구소 식물원이 식물원은 주로 약용식물과 도입식물을 위한 연구목적으로 1714년에 개원하였으며, 1823년에 세인트 피터스버그 제국 식물원으로 개칭하였다. 식물원에는 당태 러시아의 유명한 식물학자들이며, 조경수목에도 흔히 나오는 명명자인 Fischer, Maximovicz, Trautvetter 등이 활동하기도 했다. 석엽표본실에는 약 30만점의 석엽표본이 보관되어 있는데, 특히 1800년대 말에 이미 이곳의 식물학자들이 서울까지 와서 식물채집을 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당시 채집하여 명명된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기준표본이 상당수 보관되어 있다. ※ 키워드 : 러시아 러시아 식물원, 식물원, 모스크바 중앙 식물원, 세인트 피터스버그의 코마로프 식물연구소 식물원※ 페이지 : 98 ~ 101
    • / 1996년07월 / 99
  • 식물원 ; 독일의 식물원
    인간이 자연의 신비를 파헤치려는 노력은 인류역사와 더불어 싹터 오늘에 이르렀으며, 이 같은 노력은 직접·간접으로 우리의 생활을 현대화시켰고, 오늘날 인간이 우주속의 세계로 접근하는 새로은 인류역사를 창조하는데 원동력이 되었다고 본다, 생물의 1차 영양원인 식물은 인류가 지구상에 나타난 이래 자연을 탐구하는 첫 번째 대상이었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지구상에는 25만종이상의 고등식물이 있어 우리에게 의식주, 의약품, 산업원료 및 천연원로서뿐만 아니라 예술과 종교 등의 대상으로 또는 인류를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으로서 관계를 가지고 살아왔던 것이다, 그 중 식료로서의 식물은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지구상에 있는 모든 생명체는 사실상 식물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식물에 관한 지식은 인류의 출현과 함께 더불어 시작되었으나. 급속한 인구의 증가와 산업의 발달은 많은 식생을 파괴하였으며, 이는 환경변화의 주요한 원인이 되어 동식물을 포함한 지구 생태계에 의협을 가하고 잇는 실정이다, 따라서, 머지 않아 지구상에 있는 식물의 약 1/4정도가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사태는 몇몇 지구 보존론자들만의 몫이 아니며 그들만이 지구를 지킬 수 있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본다. 우리 모두가 지구상의 식물들을 보존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식물을 보존하려는 노력의 최전선에 있는 기구는 식물원이라고 본다. ※ 키워드 : 독일, 독일의 식물원, 식물원 ※ 페이지 : 80 ~ 85
    • / 1996년07월 / 99
  • 세계화와 문화경관
    첫째, 문화경관은 결코 전통적인 의미의 설계 행위의 산물이라고 할 수는 없다. 문화경관은 오랜 세월에 걸쳐 많은 사람들이 행한 여러 결정의 산물이다, 둘째, 그러한 문화경관을 건물, 마을, 도시 등의 고정물, 넓은 의미에서 고정물을 채우는 ‘장치’와 같은 유사고정물, 그리고 동물 교통수단, 사람과 사람의 행태를 포함하는 비고정물로 구성된다. 셋째, 모든 감각 양태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이 세가지 경관 구성요소는 독특한 성격이나 ‘분위기’를 연출한다. 사람들은 그러한 분위기로 즉각 느끼고 체험하지만. 적절한 서술언어를 찾기 힘들기 때문에 그것을 묘사하기는 어렵다. 글로벌 경제란개발이 확산되며 공장과 사무실 건물이 다양한 장소를 위한 상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그 양상이 유사해지는 경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근대화나 개발의 상징으로서 그러한 요소들이 지닌 의미들이 혼합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유사화 경향과 생산 상품의 획일성으로 인해 문화경관들 관의 차이가 더욱 사라지게 된다. 자동차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고속도로, 주유소, 주차장등의 확산으로 인해 이러한 현상은 가속화 된다. 문화경관에 미치는 세계화의 중요한 영향은 경관들의 독특한 지역적 정체성이나 흔히 장소성이라 불리는 분위기가 상실된다는 점이다. 또한 광고, 사인, 빌보드, 신호 등경관의 유사고정물과 사람들이 옷을 입는 방식과 차량 등 경관을 구성하는 비고정물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난다. ※ 키워드: 세계화, 문화경관 ※ 페이지 172 ~ 175
    • / 1996년07월 / 99
  • 식물원 ; 중국의 식물원
    - 중국최초의 남경중산식물원중국에서 현대적 의미의 본격적인 식물원이 설립된 것은 1929년 남경중산식물원이 최초이다. 그 후 1934년의 노산산림식물원에 이어 전국에 1백50여개의 식물원이 설립되어 있다. 중국 식물원 설립에 큰 업적을 남긴 사람은 진인창 교수이다. 그는 각고의 노력끝에 남경중산 식물원을 설립하고 세계적인 식물원으로 가꾸는 기틀을 마련했다. 그 후 1937년부터 45년까지 일제의 침략에 맞선 8년항전을 겪으면서 식물원도 전쟁의 포화속에서 예외는 아니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중국과학원이 설립되고 식물원 복구 사업도 활발해지게 되었다. 1954년에는 남경, 노산 두 식물원이 복원 되었고 전국 각지에 새로운 식물원이 속속 설립되게 되었다. 항주, 북경, 곤명, 삼양, 광주, 무한 식물원이 창립되었다, 1958년 이후에는 하얼빈, 해남도, 계림, 서안, 남청, 민권, 상해 등지에도 대규모 식물원 또는 수목원이 세워졌다, 이 때의 식물원 및 수목원 설립에 큰 힘믈 쏟은 사람은 식물학자 채희도 교수였다. - 북경식물원북경식물원은 남원과 북원 두곳으로 나누어져 있다. 북경식물원 남원은 중국과학식물연구소에서 1950년에 설립을 추진하여 1955년 북경시 인민자치정부의 허가로 북경시향산 근처 58ha 부지에 세워졌다. 해발 67~71m의 구릉지대에 위치한 이곳은 여름철 최고 기온이 41.3도씨 이며, 겨울에는 최저 -19.8도씨이고 연 강우량이 634.2mm이다.보유식물 종 수는 약 3,000종으로 소나무, 포플러, 느릅나무, 라일락, 인동, 백합, 장미, 모란, 포도, 꽃사과속 식물들이 중점적으로 수집 식재돼 있다. 원예식물을 식재한 정원 지구와 경제 식물구, 수목원 지구로 나뉘어져 있다,- 임업토양연구소 수목원심양시에는 중국과학원 임업토양연구소수목원이 있다. 면적은 5ha이며 보유수종 2백 70여 종에 철쭉, 단풍, 버들과 포플러를 연구할 수 있는 좋은 시설이다. 온실 1동은 450㎡이며 심양시 청년대가 삼단1호에 있다.- 심양응용생태수목원그 외에도 1955년에 설립된 중국과학원응용생태연구소 소속의 심양응용생태수목원도 둘러 볼만하다. 심야시 동릉구 만유당로 20호에 자리한 이 수목원은 면적6ha에 2백93종의 수목이 자라고 있다. 잎갈나무, 소나무, 단풍나무, 버드나무, 등이 중점적으로 수집 식재돼 있다. 그리고 목본 중심의 약용식물 1백여종이 식재된 약용식물원은 이 곳의 자랑거리이다.- 장춘삼림식물원장춘시 임업연구소 소속 장춘삼림식물원은 시동남쪽 정월담 국가삼림공원 내에 있다. 시중심에서 18km거리에 있으며 1982년 설립당시 18ha로 출발했으나 ‘88년 현재 총 면적이 150ha로 확대되었다. 수목원 지구에는 교 · 관목 3백10종이 식재돼 있는데 장미과, 인동과, 침엽수가 자란다. 또 면적 ha에 마련한 장백산 삼림식물 수직분포 복원지는 백두산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수집 식재해 놓은 곳으로 우리에게도 좋은 연구 대상이 될 수 있을 것 이다.- 남경중산식물원남경중산식물원은 중산 손문을 기념하여 1922년 중국 최초로 건립되었다. 남경시동교 풍경구와 거시구 3km에 걸쳐 자리한 이 식물원은 중국 최대를 자랑한다. 총 면적 18ha로서 3천여 종의 식물을 확보하고 있다. 남경중산식물원은 세계54개국 5백64개 식물원과 학술교류 협정을 맺고 있으며, 국제자연자원 보호연맹. 세계자연기금회, 국제식물원협회에 가입 활동하고 있다. - 남경약용식물원1958년에 창건된 이 곳은 총면적 25ha로서 중국 약과대학 중약학원의 연구 또는 실습장으로 활용돼 온 시설이다. 약용식물에 관한 재배법, 약리학적 분석까지도 연구되고 있으며 약용식물 조직배양 등의 연구성과에 있어서 세계젹인 명성이 높다. ※ 키워드 : 중국, 식물원, 남경중산식물원, 북경식물원, 임업토양연구소 수목원, 삼양시수목원. 장춘삼림식물원. 남경중산식물원※ 페이지 : 92 ~ 97
    • / 1996년07월 / 99
  • 식물원 ; 미국의 식물원
    미국의 유명한 식물원- 국립수목원수목 연구를 목적으로 1927년 설립이 가결되어 1973년에 수목원은 4백44에이커의 넓은 국가지정 사적지에 터를 잡았다. 50만점의 식물표본을 소장하고 있고 방대한 표본으로 나무이름을 익히고 원예에 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룬 경관속에서 걷거나 또는 차를 타고 다니며 볼수 있다., 수목원에는 애호가를 위해 각종 워크샵, 투어, 화초전시회 등이 잇따라 열린다. 따라서 이곳은 연구소이자 살아있는 박물관이라 불러도 좋다. 실제로 학부모들은 아이들에게 약초원에서 껌, 치약 등에 들어가고 약재의 원료가 되는 나무를 찾아보게도 한다. 또한 연못에서 오리떼에게 먹이를 주며, 골프장과 같은 넓은 잔디밭에서 마음껓 뛰어 놀 수 있어서 가족 나들이에 적합한 곳이다, 워싱턴 DC에 있으며 입장료는 무료이다.- 롱우드 가든듀폰회사의 대재벌의 일원이었던 프랑스계의 피에르 듀폰이 고향 프랑스를 생각해서 광활한 자연림을 개척해서 분수가 있는 넓은 정원을 만들고 중세풍의 유리오닐을 세우고 세계각지의 원예식물을 수집하였다. 1954년에 84세의 나이로 피에르 듀폰이 사망하자 롱우드 가든을 전시, 강의. 교육, 즐거음 등의 목적으로 대중이 이용하기 위한 재단이 설립되었다. 넓이는 1천에이커이며 3백50에이커의 화단, 3.5에이커의 온실, 20동엔 난초, 수생식물, 열대식물, 선인장과 다육식물이 있으며 실내외에 모두 1천1백종의 식물이 전시되고 있다.- 국립 식물원미 국립식물원은 살아있는 박물관으로 주로 열대식물이 전시되고 있다, 매일 9시에서 5시까지 열리며 입장료는 무료이다. 표본온실은 1933년에 완공되었는데 아열대, 열대, 사막식물들을 수집, 보전하고 있다. 여기에는 난초, 벌레잡이 식충식물, 약용식물, 독초 등이 특별전시된다. 식물원 안팎으로는 식물계의 환경적가치와 미학적, 문화적, 경제적, 심리적 가치를 위해 늘 전시를 하고 있다,- 미국의 대학식물원아름다운 코넬대학 캠퍼스안에 천9백에이커의 면적에 식물원, 수목원, 천연지역등을 포함해서 Cornell plantation이라고 한다. 천연지역에는 개울, 호수, 계곡, 폭포까지도 있다, 잘 설계된 산책로는 숲속으로 나 있고 개울과 폭포를 따라 길게 열려 있다. 1천 5백에이커의 수목원에는 다양한 수목과 꽃피는 관목들이 훌륭한 경관을 이루도록 식재되어 있다. 식물원에는 학생과 방문객을 위해서 교육자료로 제공되는 암석원, 야생초원, 약초원, 전통작물 콜렉션. 철쭉 콜렉션, 잡초원, 독초원, 고산식물원, 화초원 등이 있다, 1935년에 최초로 설립되었다.- The ARNOLD ARBORETUM하버드 대학 수목원으로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곳이며 보스톤 남쪽 근교 쟈마이카에 있는데 2백65에이커의 면적이다. 7천여종의 교목, 관목, 덩굴식물을 평지와 동산에 식재하였다. 이 식물원의 후원자 James Arnold에 의해 1872년에 설립되었으며 Charles Sprague Sargen가 초대식물원장으로 계획, 설계되어 설립되었으며 미국의 조경가 Fredric Law Olmsted를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MORRIS ARBORETUM모리스 수목원은 92에이커의 면적에 남만적이고 아름다운 경관속에 빅토리아 사원, 은둔동굴, 백조호수, 두개의 일본식 정원, 조각원, 장미원 등으로 구성되었다, 야트막한 구릉지, 숲이 있는 사유지는 John과 LydiaT. Morris의 소유였으나 1932년 Lydia가 죽은후에 식물연구와 교육을 위한 센터로서 펜실바니아 대학에 유증한 것이다. 야외 관찰원에는 교목과 관목 6천8백여종이 수집되어 표찰을 붙여놓았는데 자연풍경식의 구불구불한 산책로와 계곡, 특별정원 등이 있다.- Virginiatech Arboretum캠퍼스의 면적은 3백20만평이나 되며, 골프장, 비행장, 목장, 연못, 스타디움들이 있고 강의동과 기숙사를 포함해서 1백여개 건물이 숲속에 자리잡고 있어 캠퍼스 전체가 식물원이라고 할 수 있다. 식물원은 24ha로 넓은 면적은 아니지만 암석원, 침엽수원, 왜성식물원, 녹음수원이 아기자기하게 꾸며져 있고 특히 숙근초와 한해살이 화단에는 각종의 화초가 품종별로 식재되어 아름답기 그지없다, 식물원에는 한국자생의 도라지. 범부채, 붓꽃 등의 초본들와 으름덩굴, 분꽃나무, 모감주나무, 국수나무 등이 반갑게 맞이하며 특히 한국 고유식물인 분꽃나무가 한국에서 조차 보기 힘든데 이곳에 와서 줄지어 심어져있는 것은 감격스러울 뿐이다,캠퍼스에서 실내 체육관으로 가는길에는 은행나무가 가로수로 식재되어 있고 우리나라 자새식물인 산딸나무가 고목이 되어 많은 꽃을 피우고 있으며 서어나무, 누릅나무, 비술나무, 한국 어느산에서 캐어간 황금잎 소나무까지 식재되어 있다.- Uuiversity of Californoa at Berkeley Botanical Garden1890년에 식물원이 설립되었고 1920넌대에 현재의 장소인 Strawberry canyon에 옮겨졌다. US Berkeley 식물원은 33에이커의 면적에 1만여종 식물과 변종이 전세계에서 수집되어 식재되었으며 미국의 5대 식물원중 하나이다. 아름다운 경관에 자리잡고 있는 식물원은 Strawberry계곡과 못, 폭포등이 있어서 한층 더 증진 시켜 준다. ※ 키워드 : 미국, 식물원※ 페이지 : 62 ~ 71
    • / 1996년07월 /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