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 면적 : 582,262㎡ 대학 특유의 전통과 학풍을 이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계획에 의한 조경보다는 형적 특성을 잘 활용하였으며 생활공간의 주체가 학생인 점을 감안하고 자연형태에 맞게 꾸며졌다. 본관은 이화여대의 얼굴로서 이화동창들의 회고의 상징이다. 본관 옆 김활란 박사 동상에서부터 스크랜튼 여사 석상에 이르는 곳은 동상주변의 잔디가 잘 가꾸어져 있어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휴식공간으로 이용하는 곳으로서 풍부한 자연배경을 시각적으로 무리없이 처리되었다. 학관앞 조경은 인공적인 요소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곳으로서 사루비아를 이용하여 기하학식 정원이 방사형으로 잘 가꾸어져 있으며 후문과 연결된 옥외 공간으로 연결되어 진다. 기숙사 주면 조경은 이화인들의 숙소로서 대단위로 진달래가 조성되어 있어 넓은 휴식공간은 자연미를 살린 토막나무를 사용하여 벤치로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이상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조성되었다. ※ 키워드 : 캠퍼스 조경의 특성, 기숙사 앞 조경, 대학관앞 조경, 김활란 박사 동상과 본관 ※ 페이지 : p28~33
    • / 1989년11월 / 32
  • 농녹빌리지(Nong Nooch Village)
    태국 방콕에서 남서쪽으로 148㎞ 지점에 세계적 휴양도시 파타야시가 있다. 사이암만을 끼고 펼쳐진 수십㎞으 고운 모래밭, 오염이라는 말이 아지은 생소한 듯한 맑은 물, 그리고 곳곳에 박혀 있는 아름다운 산호섬들. 여기 화보로 소개하는 농녹빌리지도 파타야 관광권 내에 포함된다. 파타야 시내의 호텔에서 버스로 15분 거리에 있는 이 농녹빌리지는 우리나라의 민속촌과 비교될 수 있는데 아름답게 꾸며진 정원 등 주변경관이 특히 빼어난 태국의 정통 민속촌이다. 총면적 600에이커에 이르는 농녹 빌리지는 이곳 특산물이 난 전시장과 백조의 유영이 한가로운 아담한 호수를 좌우에 위치시켜 관광객을 맞고 있는데 각 전시장과 공연장을 연결하는 통로와 넓은 면적의 정원은 국내에서 볼 수 없는 남국 특유의 식물과 아름다운 조각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이한 것은 넓은 잔디밭에 각각의 색깔을 지닌 지피식물을 이용, 기하학적인 문양을 새겨넣은 점이다. ※ 키워드 : 태국 파타야의 농녹빌리지, 넓은 면적의 정원 ※ 페이지 : 34~39
    • / 1989년11월 / 32
  • 아름다운 정원 ; 늘 푸른 숲속같은 정원
    위치 : 강남구 방배동 청광빌라 조경 설계·시공 : 조경미술연구소 부지면적 : 700평 조경면적 : 400평 이 빌라는 도로와 연접하여 가로로 지하1층, 지상 3층의 빌라로서 거실 전면부를 넓은 반원형의 대형 유리로 처리하여 시각을 확 트이게 한 쌍둥이 고급 빌라이다. 조경계획에는 보다 안전과 자연분위기 특히,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안전성과 늘푸른 정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숲속 같은 정원을 조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내정이라 할 수 있는 공간에는 인도를 제외하고 넓은 잔디밭을 조성하여 산책과 휴식, 어린이의 놀이터로 활용하였으며, 정문에서나 발코니, 베란다에서 바라볼 때 마치 별장을 연상케하는 싱그러움과 포근함을 제공하기 위해 보다 정교한 잔디밭, 상록수, 활엽수, 화목류, 뾰족하게 솟은 자연석의 적절한 배치로 치밀한 경관을 연출하고 있다. 한편 같은 수종이라도 규격을 달리한 치밀한 설계로서 다양한 변화 추구를 위한 노력의 흔적이 엿보인다. ※ 키워드 : 가이즈까 향으로 울타리 식재, 호박돌 쌓기 담벽, 빌라앞의 감나무, 내정 잔디밭 ※ 페이지 : 22~27
    • / 1989년11월 / 32
  • 삼사해상공원 휴양시설 기본계획
    위치 : 경북 영덕군 강구면 삼사리 9-8 번지외 3필지 계획면적 : 37,975㎡ 본 계획은 모든 계층과 세대를 대상으로 휴양 및 위락 시설을 포함한 다양한 레저시설도입과 기존 주변관광 자원의 연계화를 통한 종합 휴양관광지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조경의 기본방향은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원칙적으로 하여 미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각 시설별 독특성을 부여하고 다양 속의 통일감을 줄 수 있도록 설계한다. 각 시설 및 건물 등의 인공재료에서 주는 딱딱한 분위기를 순화시키고 조망과 활동의 정·동적 공간감을 창출할 수 있는 완충 휴식녹지를 조성한다. 향토에 알맞은 수종을 선정하여 주변 식생과 조화될 수 있도록 하며 4계절 변화를 고려하여 식재한다. ※ 키워드 : 해상공원 휴양시설, 관광환경분석 ※ 페이지 :154~160
    • / 1989년11월 /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