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생태계 복원(3); 대형저류지 생태환경 복원
1. 들어가며
지난 4월 21일 새만금 방조제의 물막이 공사가 완료되면서 새만금사업이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새만금사업 추진은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내부간척사업, 2011년 이후부터 관광과 산업, 물류단지 등 복합용지로 개발할 계획이다. 그러나 지난 14년 5개월 동안 지루한 법적공방속에서 과업이 지연되어 온 주된 원인은, 대규모 개발사업에 있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친환경적 개발이라는 패러다임의 변화와 더불어 새만금사업의 수질문제, 농지조성 타당성문제나 갯벌의 환경적 가치, 해양환경변화 등과 같은 환경문제에 대한 비전제시 부족과 실천력 부재에 있다. 이제 모든 개발사업은 경제성 등을 고려한 효용성은 물론, 환경성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
현재 새만금 내부토지이용계획에 대한 종합적 연구가 국토연구원 등에서 진행중이다. 이는 농지를 중심으로 관광, 산업 등 다양한 토지이용이 수립될 것으로 예상된다. 필자는 새만금 간척지의 친환경개발을 위해 정부 후속세부실천계획(2001.8)에서 제시한 '환경용지(약 3,000ha)'에 대한 친환경적 활용방안에 관해 2005년부터 2년간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면서 새만금 사업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방대한 자연지역인 새만금 환경용지는 간척지의 가장 저지대와 방파제, 방수제로 둘러싸인 저류지 기능을 한다. 저류지를 포함한 환경용지는 새만금 전체대상지(40,100ha)와 그 주변 유역을 생태 환경적으로 연계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용지야 말로 친환경생태복원의 메카가 될 수 있는 곳이다. 본고에서는 환경용지를 둘러싼 새만금 간척지 전체 대상지의 생태환경적 특성과 토지이용방향을 짚고, 환경용지의 친환경적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새만금 사업의 생태환경적 비전을 제시할 것이다.
2. 새만금 간척지(40,100ha)의 생태환경적 개발
새만금은 만경강과 동진강이 합류하는 군산과 부안 앞바다에 방조제, 방수제 등으로 둘러싸여 40,100ha에 달하는 간척지가 될 것이다. 필자가 주로 연구하는 대상지는 새만금 간척지 전체에서 3,000ha 규모의 환경용지이다. 환경용지의 생태환경적 활용을 위해서는 그 상위계획으로서 간척지 전체의 생태적 토지이용계획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필자는 환경용지의 생태환경적 비전을 제시하기 이전에, 새만금 간척지의 친환경적 개발 방향을 가볍게나마 짚어 보고자 한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댓글(0)
최근순
추천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