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광표 ([email protected])
고카와데라의 정원
고카와데라粉河寺의 창건연기를 담고 있는 『분하사연기회권粉河寺緣起繪卷』에는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 “(고카와데라는) 호키宝龜 원년(770) 이곳의 엽사猟師 오토모노구지코大伴孔子古가 산중에서 상서로운 빛이 발해 그곳에 가보니 천수관음이 출현한지라, 그 자리에 결계結界를 하고 초암草庵을 지어 천수관세음보살을 봉안했다.” 이절은 창건시에 시음사施音寺라고 했는데, 시음사는 사세가 발전해 승방이 550개가 될 정도로 번영했다고 한다.1 그러나 덴쇼天正 13년(1585) 도요토미 히데요시豊神秀吉의 와고로공격根來攻으로 시음
사는 당탑가람堂塔伽藍이 전소되는 병화를 입었고, 급기야 법등이 끊어지고 말았다. 그 후 도도 다카토라藤堂高虎에 의해서 판본당板本堂과 배전拜殿이 건립되면서 법등을 다시 잇게 됐으나, 겐나元和 2년(1616)에 다시 소실됐고, 소실된 당우를 칸에이寛永 2년(1625)에 재복원했다. 이 절의 본격적인 부흥은 기슈紀州에 입봉入封한 아사노浅野가의 후원으로 가능했다. 그러나 그 후에도 소실과 복원이 반복되는 우여곡절을 겪게 되는데, 그러던 중 쿄호亨保 5년(1720)에 법당을 재건하고, 지속적으로 소소한 정비 사업에 착수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고카와데라의 정원은 산문과 본당 사이의 넓은 마당과 본당 앞마당 사이의 단차를 이용해서 만들어졌다. 즉 본당의 전면 공간을 마당으로 만들면서 경사 지형을 처리하기 위해 정원을 조성한 것이다. 이것을 보면 고카와데라의 정원은 지형의 안정성과 시각적 경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석이조의 수단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원은 다양한 석조石組가 중심이 되는 호방한 작풍을 보이는데,2 석조는 학구봉래鶴亀蓬萊가 주제가 된다.
정원을 만든 이는 교토의 정사庭師였던 것으로 전해진다.3 이 정사는 처음에 석단의 우측을 만들고, 그 다음 해에 제자에게 좌측의 정원을 만들도록 시킨다. 교토의 정사가 만든 우측의 정원은 석조를 직벽에 가깝게 수직적으로 조성했고, 그의 제자가 만든 좌측의 정원은 경사를 잘 활용해 약동감이 넘치도록 만들어 서로 비교된다.
석단에는 안에이安永 2년(1773)이라는 명문名文이 새겨져 있어 본당을 완성한 후 53년이 지난 시점에 이 정원이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근년에 이루어진 발굴 조사에서도 정원이 본당 재건 후에 작정된 것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정원은 경사면을 정리한 벽체에 석조를 해 마치 전체가 돌로 조성한 수미산과 같다. 이곳에서 특히 주목을 받는 것은 거북석조인데, 마른 폭포 좌우에 암수 한 쌍의 거북이를 상징하는 구갑석龜甲石과 구두석龜頭石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했고, 축벽 하부 평지 공간에도 또 다른 거북이의 커다란 구두석이 벽체 하부에서 불쑥 머리를 내민 것 같은 느낌이 나도록 배치했다. 또 다른 볼거리는 석단 좌측의 정원에 조성한 마른 폭포인데, 이것은 정원 상단과 하단의 고저차를 이용해 깊이가 충분히 느껴지도록 만들었으며, 마른 폭포에는 깊은 계곡의 느낌을 강조하기 위해서 석교를 높이 설치했다. 이와 같이 깊은 계곡에 석교를 높이 설치한 양식을 특히 옥간식玉澗式이라고 한다(大橋治三·齊藤忠一, 1998).4 한편 석교인 옥간교玉澗橋 옆에는 학의 날개돌羽石을 세워 마치 학이 공중을 날아가는 듯한 느낌을 주도록 했고, 계곡 상부에는 가늘고 긴 돌을 높이 세워 봉래석으로 삼았으니 이것으로 인해서 고카와데라의 정원은 학구봉래정원으로서의 면모를 완성하게 된다.
고카와데라의 정원이 화려한 것은 무엇보다도 이 지방에서 나는 기주청석紀州靑石을 대량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기주청석은 매우 귀해서 교토의 정사들이 이 돌을 얻기 위해 서로 다툴 정도였다고 한다. 교토의 명원에 숨어있는 이러한 이야기들을 생각해보면, 고카와데라의 정원에서 기주청석을 마음껏 사용했다는 것은 교토의 명원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드문 일이 아닐 수 없다. 정원에서 특히 눈에 띄는 기석奇石은 좌측 정원의 단상壇上에 세운 기둥 모양의 수미산 석주石柱로, 이 석주는 양석陽石에 해당되는 봉래석이다. 이 석주의 북측에는 남측으로 구멍이 뚫린 ‘U’자형돌이 놓여 있어 입석인 양석과 대응하고 있는데, 이 돌은 음석陰石으로, 하루에 한번 양석의 그림자가 음석에 와 닿도록 자리를 잡고 있다. 대단한 상상력이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은 음양석은 다이묘 정원에서 자손의 번영을 발원하기 위해 도입하는 것인데, 밀교계 사원의 정원에 이러한 음양석을 도입한 것은 드문 현상이다(野村勘
治, 2015).
홍광표는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경기도 문화재위원, 경상북도 문화재위원을 지냈으며, 사찰 조경에 심취하여 다양한 연구와 설계를 진행해 왔다. 현재는 한국전통 정원의 해외 조성에 뜻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전통조경』, 『한국의 전통수경관』, 『정원답사수첩』 등을 펴냈고, “한국 사찰에 현현된 극락정토”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 한국조경학회 부회장 및 편집위원장, 한국전통조경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