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동길 ([email protected])
최근 도시 자투리 공간이나 공개공지 등에 대한 활용방안을 놓고 다양한 논의들이 이뤄지고 있다. 필자가 맨 처음 도시생태복원에 대한 전체 원고를 구상할 때 자투리 공간 부분은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이나 생태놀이터를 중심으로 소개할 계획이었다.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이나 생태놀이터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공간들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환경부의 자연마당 사업이 생기면서 생태계보전 협력금 반환사업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기 때문에 소규모 생태계 복원 사업이라는 명칭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은 시행한지 10년이 훨씬 넘어서 많은 독자들이 익히 잘 알고 있는 사업일 것이라는 생각에 생태놀이터를 포함해 우리 생활 주변 공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자투리 공간들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도심 공간 내에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공간dead space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앞으로 원고에서는 ▲자투리 공간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 ▲자투리 공간의 활용사례를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자투리 공간의 향후 활용 방안 순으로 연재를 이어가고자 한다.
자투리 공간의 개념
우리가 생활하는 공간들 대부분은 체계화된 도시계획이나 다른 여러 가지의 공간 계획에 의해서 만들어진 곳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공간을 계획하고 이용하다 보면 예상치 못하게 방치되는 공간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렇게 도시계획에서 방치와 방기가 만들어 낸 공간을 자투리 공간이라 한다. 이러한 자투리 공간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는 존재하고 있으나 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공간이고, 다른 하나는 활용되고는 있으나 적합하지 않게 쓰이는 공간(김미나, 2008)이다.
한편 도시에서 유휴 공간이란 ‘쓰지 아니하고 놀림’
이라는 뜻으로 도시 속에 위치하고 있지만 활용되지 않거나 적합하게 쓰이지 않는 공간을 말한다(송원경,2013). 유휴 공간은 도시계획이라는 적극적인 개입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으로서 기능과 역할에 대한 수명과 활용이 다하여 생긴 공간이 아니라 그 공간에 대한 방치와 방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을 의미하기 때문에 도심 속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백나영, 2002). 쉽게 접근하자고 한다면, 자투리 공간은 별 쓰임새 없이 남겨져 있는 작은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조동길은 1974년생으로, 순천대학교에서 조경을 공부했고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생태복원 및 환경계획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의 대표이사로서 생태복원, 조경, 환경디자인, 경관 등 다분야를 통합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자연마당 조성 등 생태복원 사업과 남생이, 맹꽁이 등의 멸종위기종 복원 관련 R&D 사업을 이끌고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서 생태복원 분야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생태복원 계획 설계론』(2011), 『자연환경 생태복원학 원론』(2004) 등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