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광표 ([email protected])
무로마치시대 중기(1392~1492년)는 한마디로 말해 무로마치 고유의 문화가 자리를 잡게 되는 문화 융성기라 할 수 있다. 무로마치막부 3대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滿(1358~1408년)와 8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足利義政(1436~1490년)가 중심이 되었던 이 시기에는 정치와 경제 모든 면에서 무가武家가 공가公家를 압도하여 진정한 무가의 풍토가 형성되었다. 또 당시까지 전통적으로 계승되어 온 공가 문화와 선승들이 중국으로부터 들여온 중국 문화가 결합되는 새로운 문화양상을 보인다.
건축 문화는 요시미쓰의 기타야마北山 문화와 요시마사의 히가시야마東山 문화로 대표된다. 기타야마 문화를 상징하는 건축물은 북산의 킨카쿠金閣로, 공가의 침전조와 선종사원의 건축 양식을 통합한 왕조풍의 밝고 화려한 양식이다. 그리고 히가시야마 문화를 상징하는 것은 동산의 긴카쿠銀閣인데, 서원조가 주가 되면서 여기에 선종사원의 불당 건축 양식이 결합된 비교적 간소하고 세련된 양식을 보인다. 또한, 이 시기는 중국으로부터 일본에 도래하거나 중국에서 공부하고 돌아오는 선사들이 가져온 수묵화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때로, 이것은 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을 만드는 결정적인 동기를 부여하게 된다. 이것으로 미루어 볼 때 중국의 영향을 받아 건립한 선종사원은 중국 문화를 수입하는 거점으로 기능하였으며, 당시의 건축과 정원 양식의 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 무로마치 문화의 산실이었다. 무로마치시대 중기에 축조된 교토의 혼간지本{願寺난덴南殿 터의 정원은 주위에 해자를 파고 토루를 쌓은 다음 내부에 못을 파서 물을 끌어들인 치센池泉 정원이었다. 렌뇨 상인蓮如上人은 정원에 취미를 가지고 호쿠리쿠北陸1 각지의 고보御坊에 개성적인 정원을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 역시 이 시기에 나타난 정원 조성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오닌의 난이 끝나고, 전국시대에 각지에서 할거했던 대영주나 승려 같은 문화인들이 황폐한 교토를 떠나 지방으로 이주하게 되면서 문화의 지방 보급이 촉진된다. 그 한 예가 바로 오우치씨大內氏의 조카마치城下町인 야마구치山口2인데, 오우치 노리히로大內敎弘는 대내관의 북측에 축산관을 짓고 축산전築山殿이라고 이름 지었다. 축산관에는 길이 80칸, 폭 3칸의 해자를 두르고 내측에 못을 팠으며, 가산을 축조하였다고 전해진다. 연가 작가인 소기宗祇가 오우치 마사히로大內政弘(1446~1495년)의 초대로 축산전의 정원에서 노래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3화성畵聖이면서 작정가인 셋슈 도요雪舟等揚(1420~1506년)는 무로마치시대 중기의 정원사 중 가장 빛나는 인물이다. 셋슈는 무로마치시대의 선승이며 수묵화 화가로, 그의 작품 여섯 점이 국보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유명한 인물이다. 셋슈는 지금의 오카야마현 서부의 빗츄備中에서 태어났으며, 소년기에 일찍 교토에 상경하여 쇼코쿠지相國寺에 입산해 선 수업을 받았다. 덴쇼 슈분天章周文4으로 부터는 회화를 배웠다. ‘셋슈’라는 호는 간쇼寬正 3년 원나라 초석범기楚石梵琦(1296~1370년)의 묵적 ‘셋슈雪舟’에서 힌트를 얻어 지은 것이라고 한다. 그 후 명나라와 적극적으로 교류하던 스오周防국5의 다이묘大名인 오우치 노리히로에게 의지하여 운고쿠안雲谷庵에서 주석하다가, 오닌 원년(1467년) 견명선遣明船을 타고 중국으로 건너가 2년에 걸쳐 본격적으로 수묵화를 공부하게 된다. 명나라 유학시절 항저우杭州 근처 닝보寧波에서는 시메이 덴도四明天童 제1좌에 추대되었으며, 베이징北京에서는 리부유안礼部院에 벽화를 그리기도 하였다. 셋슈는 분메이文明 원년(1469년)에 귀국한 후 오이타大分 덴카이 도화류天開図}画楼에 주석했으며, 분메이 10년에는 마스다를 방문하여 ‘익전겸요수상益田兼堯壽像’, ‘산사도山寺圖’, ‘화조도병풍花鳥圖屛風’과 같은 그림을 그리고, 만푸쿠지万福寺에 정원을 조성한다.
이어, 분메이 16년(1484년)에는 야마구치에 조에이지常榮寺 정원을 만들고, 규슈九州의 영산 히코잔英彦山에도 머물면서 구구석방旧龜石坊 정원을 조성한다.6 이밖에도 주고쿠中國 지방의 서부부터 규슈 북부에 이르기까지 셋슈가 조영했다고 전해지는 정원이 다수 있다. 한편 셋슈는 분메이 18년에 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그림 ‘산수장권山水長卷’을 그렸다. 분메이 19년 이후 그는 산사 도코지東光寺에 입산하여 87세에 죽을 때까지 이 절에서 수행했고, 그가 죽은 후 이 절에서 다비했다(醫光禪寺, 안내 팸플릿).
로쿠온鹿苑 킨카쿠지金閣寺 정원
로쿠온지는 가마쿠라시대인 겐닌元仁 원년(1224년)경에 지어진 사이온지 긴쓰네西園寺 公經(1171~1244년)의 호화로운 별장 기타야마다이北山第가 있었던 곳에 창건된, 임제종 상국사파의 선종사원이다. 긴쓰네는 친아시카가막부파였는데, 죠큐承久의 난 이후 권력을 잡고 태정대신太政大臣에 올랐으며 가문의 보리사인 사이온지를 창건했다.
가인歌人인 후지와라노 사다이에藤原定家(1162~1241년)는 긴쓰네가 만든 기타야마다 이를 보고 느낀 본인의 생각을 그의 일기인 『명월기明月記』에 썼는데, 가로쿠嘉祿원년(1225년) 정월 14일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小野健吉, 2009, p.124). “45척 높이의 폭포에 놀라고, 청청한 못물 등 모든 것이 신기하게 보였다. 정원의 청징淸澄함은 그 어디에도 비유할 바가 없다.”
아미타여래를 봉안한 본당을 중심으로 하는 기타야마다이는 정토식 치센 정원으로 조성되었는데, 폭포가 강조되고 못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없는 못의 형식(大橋治三·齊藤忠一, 1998, p.104)이 사다이에에게는 신기하게 비쳤던 모양이다. 기타 야마다이는 창건주 긴쓰네로부터 무려 10대에 걸쳐 사이온지 가문에 의해 경영되었으나, 결국은 사네에이 대에 이르러 세력이 약화되면서 요시미쓰에게 양도된다. 오에이応永 원년(1394년) 쇼군 직을 아들 요시모치足利義持(1394~1423년)에게 이양하고 출가한 아시카가 요시미쓰는, 그로부터 3년 후 사이온지 가문으로부터 기타야마다이를 양도받고 저택 개조에 착수한다. 평소 사이호지를 좋아했던 요시미쓰는 기타야마다이를 개조하면서, 사이호지의 정원을 모방하여 이곳 정원을 만들려 했다는 말이 전해진다. 실제로 요시미쓰는 이곳에 조성되어 있던 정토식 정원을 선종식 정원으로 개조하였는데(大橋治三·齊藤忠一, 1998, p.104), 이것은 그에게 있어 기타야마다이 개조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였다.
홍광표는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경기도 문화재위원, 경상북도 문화재위원을 지냈으며, 사찰 조경에 심취하여 다양한 연구와 설계를 진행해 왔다. 현재는 한국전통 정원의 해외 조성에 뜻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전통조경』, 『한국의 전통수경관』, 『정원답사수첩』 등을 펴냈고, “한국 사찰에 현현된 극락정토”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 한국조경학회 부회장 및 편집위원장, 한국전통조경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