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조경, 그 이름을 묻다] 건축의 경계에서 조경을 묻다
  • 김정은
  • 환경과조경 2022년 7월

학부에서 건축을, 대학원에서 조경을 전공하고 건축 매체와 조경 매체 모두에서 일을 했다. 분야를 오고가다 보니 조경 매체에 있을 때는 건축 출신으로, 건축 매체에 다시 오니 조경 출신으로 불린다. 그리하여 양분야에 소속감을 느끼고 있으면서 동시에 타자의 시선을 가지게 되기도 한다.

 

『환경과조경』에서 일하던 초기에 조금 의아했던 건 의외로 ‘조경가’라는 단어가 잘 쓰이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대중 매체에서도 잘 쓰이지 않았다. 물론 건축도 비슷한 상황이어서, 일간지 등의 대중 매체에서 건축전문가, 건축설계사 같은 단어를 쓰기도 한다. 그렇지만 조경가 스스로도 조경가라 칭하는 것을 주저한다는 인상을 받기도 했다.

 

건축인의 시선

회사의 동료들에게 ‘조경하면 떠오르는 것’에 대해 가볍게 질문을 던져 보았다. 기자들은 ‘규모는 다양하겠지만, 식물을 다루는’ 또는 ‘기후 환경/친환경 등’ 시스템적 접근을 하는 업역이라고 답했다. 작게는 화분부터 마당/정원, 오픈스페이스, 공원, (대규모) 놀이터, 워터프런트 등의 작업이 떠오른다고 했다. 막내 기자는 건축학과 학생 때는 조경이 공원처럼 도시적 작업이라고 생각했으나, 요즘에는 ‘플랜테리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실내에서 식물이 많이 보여서 ‘그럼 저것도 조경에 속하는 걸까’ 궁금하다고 이야기했다. 역시 트렌드에 민감한 세대구나 싶으면서도, 학계와 업계의 괴리를 드러내는 현상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기자가 아닌 직원들은 (예상대로) 조경을 가드닝/식재 혹은 정원과 동일시 하는 편이었고, 조경가라는 단어를 낯설게 느끼기도 했다. 건축 전문지를 만들며 결국 자주 접하게 되는 조경은 건축물의 외부 공간이다. 종종 건축가들은 조경가가 화룡점정처럼 적재적소에 식재를 해 건축가가 의도한 혹은 의도치 않았던 장면을 완성하게 되는 데 감탄을 표하기도 한다. 혹은 새로 완공된 건축물의 사진 촬영 시점을 정할 때, 수목이 어느 정도 잎을 내밀 때까지 기다리는데, 소위 ‘사진발’을 위

한 것이지만 건축의 완성의 의미 역시 조경이 부여하는 게 아닌가 싶다.

 

그럼에도 건축가들에게 조경가의 콘셉트를 듣는 일은 흔하지 않다. 모두 잘 알다시피 조경은 건축물 시공이 거의 끝나갈 무렵 계획이 시작 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조경가가 주도적으로 개념을 펼치기 쉽지 않은 환경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주 기술적인 부분을 제외하면 건축물의 외부 공간까지 직접 설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건축가도 있으니, 업역의 경계가 모호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그런데 인접 분야 전문가들 혹은 대중들이 조경의 본질을 잘 알지 못한다고 한다면, 이러한 상황은 정도는 다르지만 인접 분야 모두 겪고 있는 문제가 아닌가 싶다. 사전적 의미가 일반적인 사람들의 인식과 가깝게 맞닿아 있다는 전제 하에, ‘건축(가)’, ‘조경(가)’의 의미를 찾아보았다. ‘조경’의 사전적 의미는 “경치를 아름답게 꾸밈”(국립국어원 표준국어사전)이다. 박승진 소장(디자인 스튜디오 loci)의 말에 따르면 핵심에서 벗어나지는 않았다. 그런데 사전에 함께 제시된 용례 “이번에 새로 만든 공원은 조경에 유달리 신경을 썼다”를 보면, 인식이 식재에 머물러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건축은 상황이 다른가? 국어사전은 ‘건축’을 “집이나 성, 다리 따위의 구조물을 그 목적에 따라 설계하여 흙이나 나무, 돌, 벽돌, 쇠 따위를 써서 세우거나 쌓아 만드는 일”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건축가’는 “건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가진 사람. 건축 계획, 건축 설계, 구조 계획, 공사 감리 따위의 일을 한다”고 정리하고 있다. 건축가들 역시 이 사전적 의미가 건축의 문화적 의미를 충분히 아우르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을 것이다. 설계와 시공을 분리해 생각하지 않는다거나 건축 자재비가 드는 것은 당연하게 생각해도 설계비는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건축 설계에 대한 이해가 낮은 것은 조경이나 건축이나 마찬가지로 겪는 일일 것이다.

 

얼마 전 『SPACE』가 진행한 도시 설계에 관한 좌담에서 한 참여자는 “(도시 설계에 관해) 관리형 지식 생산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며, “좋게 보면 도시설계 외연의 확장이고 지식 생산자의 다변화다. 안 좋게 보자면 아무도 전통적 의미의 도시 설계를 하고 있지 않은데 모두가 도시 설계를 하고 있다고 외치고 있다. 씁쓸한 양면성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어쩐지 ‘누구나 조경(에 해당하는 일)을 한다고 한다’는 말과 닮아 있지 않은가. 한 건축가는 이러한 현상이 도시, 건축, 조경 등을 아우르는 산업 자체가 불안정한 탓이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각 영역을 정의하는 데 고심하는 만큼 산업 생태계를 바로 세우는 데 힘을 쏟을 필요가 있다.

 

환경과조경 411(2022년 7월호수록본 일부

 

김정은은 건축과 조경을 공부했다. 『건축인(POAR)』, 『SPACE(공간)』, 『건축리포트 와이드(WIDE AR)』, 『환경과조경(laK)』에서 기자로 활동했으며, 현재 『SPACE』의 편집장을 맡고 있다. 건축과 도시, 조경의 경계를 넘나들며 ‘지금 여기’의 건축 문화를 기록하고 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