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한솔 ([email protected])
조경의 아버지
조경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을 꼽는다면 단연 첫손에 꼽힐 인물이 있다. 조경의 원어인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를 전문업의 명칭으로 자리매김하게 한 주인공이자 도시공원의 전범으로 널리 알려진 센트럴파크의 설계자인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 1822~1903, 이하 옴스테드)다.
옴스테드는 설계가로서 정규 교육이나 도제식 수련을 받은 적이 없다. 또한 조경가 외에 작가, 저널리스트, 사회 비평가, 행정 관료로도 불리는 등 다양한 일을 수행했다. 심지어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라는 조어를 최초로 발명하지도 않았으며, 그 명칭을 오랫동안 공유한 파트너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옴스테드를 ‘조경의 아버지’라 부르는 데 주저하지 않는 까닭은 무엇일까.
진정한 아버지는 유전자의 원천 그 이상이다. 아버지는 불완전한 개체의 성장과 자립을 지지하는 존재이며 때로는 존경의 대상으로, 때로는 반면교사로 떠오르는 규율 그 자체다. 옴스테드는 여러 직업을 두루 경험하고 설계와 글쓰기, 조직 운영을 종횡무진하며 조경업의 안팎을 살펴보고 그 정체성을 구축해냈다. 옴스테드의 남다른 삶의 궤적은 유동적인 경계를 지닌 직능의 미래를 예고한 것이나 다름없으며, 옴스테드가 강조한 픽처레스크(picturesque) 자연미는 조경 직능의 전통이자 한계로 여전히 작용하고 있다.
옴스테드를 조경의 아버지로 기리고 추고하게 되는 것은 그의 업적 못지않은 흔적 때문이기도 하다. 옴스테드는 미국 전역에 걸쳐 500여 건의 작업을 수행했고 조경가로 일하는 동안 6,000여 건의 보고서와 서신을 남겼다. 옴스테드의 두 아들이 미국조경가협회(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s)와 하버드 대학교 조경 프로그램을 설립한 것도 빼놓을 수 없다. 말하자면 옴스테드는 후대의 조경 종사자들에게 전범과 원리, 인력 체계까지 물려주었다. 우리는 여전히, 그리고 앞으로도 옴스테드의 후예로 산다고 해도 틀리지 않는다.
서른이 되기까지: 현장의 배움들
옴스테드는 코네티컷(Connecticut) 주의 하트포드(Hartford)에서 태어났다. 옴스테드 가문은 하트포드에서 여덟 세대에 걸쳐 살았다. 성공한 포목상인 그의 아버지는 풍경 애호가였다. 유년 시절의 옴스테드는 가족을 따라 뉴잉글랜드와 뉴욕 북부 등지의 경치 좋은 곳으로 자주 여행을 다녔다. 전원 풍경의 아름다움과 영향을 강조하는 옴스테드의 미감은 이때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다.
풍경을 체험하며 남다른 시간을 보낸 반면, 옴스테드의 성장 과정은 정규 교육과는 거리가 있었다. 옴스테드는 주로 목사들로부터 교육 받았는데, 예일 대학교 진학에 거의 근접하기도 했지만 옻독이 오르는 바람에 시력 문제가 생겨 학업에 몰두할 수 없었다. 대학에 다니는 대신 옴스테드는 다양한 현실 경험을 쌓았다. 뉴욕의 포목점에서 일하고 중국으로 무역 여행을 다녀오기도 했으며 측량과 화학, 과학적 농법과 농장 운영 등을 익혔다. 옴스테드의 아버지는 다양한 경험을 쌓은 20대 후반의 아들에게 뉴욕 스태튼 아일랜드(Staten Island)에 농장을 마련해주었다. 옴스테드는 이곳에서 농업과 관리 운영의 이론을 실천으로 구현해보았다. 유년기에서 청년기에 이르는 옴스테드의 삶은 조경과 직접 연관되지는 않았지만 미학적, 실무적 측면에서 차근차근 조경 자산을 쌓아가고 있었다.
두 번의 여행과 작가 옴스테드
농장을 경영하던 1850년대 초, 옴스테드는 센트럴파크와 만나기에 앞서 그의 인생을 바꾼 여행을 두 차례 다녀온다. 첫 번째는 1850년에 6개월간 떠난 유럽 여행이다. 이때 옴스테드는 영국 리버풀의 버컨헤드 공원(Birkenhead Park)을 방문하고 큰 자극을 받는다. 옴스테드는 “민주주의 미국에는 이와 같은 민중의 정원(People's Garden)이라 할 만한 것이 없다”는 점을 깨닫고 공원의 접근성이 모든 미국인의 권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 여행에 함께한 친구의 추천으로 옴스테드는 1852년 「뉴욕 타임스」의 전신 「뉴욕 데일리 타임스(New York Daily Times)」로부터 취재 여행을 의뢰받는다. 타임스는 옴스테드에게 남부 지방을 여행하며 노예제를 포함한 농업 방식과 경제에 대해 써줄 것을 요청한다. 옴스테드는 1854년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남부 여행을 다녀왔고 타임스에 일련의 글을 출판하며 이름을 알린다. 옴스테드는 글을 통해 노예제의 서부 확장에 반대하고 남부 지방의 노예제 폐지를 주장한다.
이 무렵 옴스테드는 작가의 꿈을 꾸고 있었다. 옴스테드는 두 번째 여행을 다녀온 뒤 신생 출판사의 파트너와 유명 월간지의 에디터를 맡기 시작한다. 단행본 출간에도 힘을 기울여 첫 번째 여행을 바탕으로 『어느 미국 농부의 영국 여행기(Walks and Talks of an American Farmer in England)』(1852)를 출간하고, 두 번째 여행을 바탕으로 세 권의 연작을 출판한다(1856, 1857, 1860). 그러나 작가의 운명 대신 조경가의 운명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옴스테드는 1856년 출판사 일로 영국 런던을 방문하며 여러 공원을 경험했고, 이듬해인 1857년 센트럴파크의 감독관(superintendent)으로 취업한다.
센트럴파크, 감독관에서 설계자로
옴스테드가 센트럴파크 감독관 자리를 얻은 지 몇 달 뒤, 영국 출신 신진 건축가인 캘버트 복스(Calvert Vaux, 1824~1895)가 감독관인 옴스테드에게 센트럴파크 설계공모에 함께 참가하자고 제안한다. 복스는 원래 앤드류 잭슨 다우닝(Andrew Jackson Downing, 1815~1852)의 부름을 받고 미국으로 왔지만, 다우닝이 1852년에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나고 만 상황이었다. 다우닝은 건축, 경관, 원예 등에서 선구적 이론을 제시한 바 있는 전문가였다. 옴스테드는 복스와 뜻을 함께하며 다우닝이 남긴 생각에 깊은 영향을 받는다. 이전까지 설계 경험이 전무했지만 복스의 제안을 수락한 이후 낮에는 감독관, 저녁에는 설계가로서 공모전 준비 작업에 참여한다.
옴스테드와 복스는 설계공모에 ‘그린스워드(Greensward)’ 계획을 제출해 다른 32팀과의 경쟁에서 이기고 당선된다. 이 제안은 탁 트인 잔디밭을 중심으로 풍부한 식재와 목가적 풍경을 갖춘 동시에 도시와 이용자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풀어낸 수작이었다. 옴스테드와 복스는 지면 아래로 꺼진 횡단 도로를 제안함으로써 도시 교통을 고려하면서도 공원의 감상을 저해하지 않도록 했다. 또한 공원 내에 분리된 동선 체계를 적용해 이용 행태에 따른 간섭을 줄이고 이용자의 움직임을 세밀하게 조정하도록 했다. 센트럴파크는 옴스테드의 첫 작품이자 대표작이며 그의 후기 작업에서 구체화되는 설계 원칙들의 시험장이었다
센트럴파크 조성은 19세기 뉴욕의 공공 프로젝트 중 가장 큰 규모의 사업으로 꼽힌다. 미국인 엔지니어, 아일랜드인 인부, 독일인 정원사, 아메리카 원주민 석공 등 2만여 명의 노동자가 공사에 참여했으며, 암반을 부수기 위해 게티즈버그(Gettysburg) 전투보다 더 많은 화약을 터뜨렸다. 3천명에 이르는 노동자가 약 3,800만㎥에 해당하는 돌과 흙을 옮겼고 36개의 다리와 아치를 지었으며 11개의 고가도로를 건설했다. 또한 50만 그루의 교목, 관목, 덩굴이 식재됐다. 설계공모 당선 이후 옴스테드는 총괄건축가(architect-in-chief)직함을 갖고 전방위로 활동했다. 그러던 중 남북전쟁이 일어난다.
미국 위생위원회와 마리포사 이스테이트
1861년 남북전쟁이 발발하자 옴스테드는 뉴욕을 떠나 워싱턴 D.C.로 간다. 그곳에서 옴스테드는 미국 적십자의 전신이자 북부 연합군의 의료 지원을 담당하는 미국 위생위원회(US Sanitary Commission)의 첫 번째 사무국장이 된다. 옴스테드는 센트럴파크 현장에서 갈고닦은 조직 운영 기술을 발휘하여 병영의 위생을 감독하고 의료 공급 체계를 구축하는 실무를 총괄한다.
위생위원회에서 2년가량 일한 옴스테드는 1863년, 집안의 경제 사정으로 인해 캘리포니아의 대규모 금광 사업지인 마리포사 이스테이트(Mariposa Estate)에 관리자로 취직한다. 옴스테드는 요세미티(Yosemite)계곡에서 가까운 이곳에서 코네티컷과는 완전히 다른 종류의 풍경에 익숙해진 한편, 민간의 상업적 이해관계로 인해 자연이 위협받는 것을 목격한다.
위생위원회와 마리포사 이스테이트 경력은 옴스테드가 조직 운영 기술로 상당히 인정받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위생위원회 경력은 옴스테드가 자신의 조경 설계 필수 원칙 중 하나로 위생 공학을 강조하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했다. 마리포사 이스테이트에서 일하던 당시, 옴스테드는 요세미티 보호구역을 감독하는 위원회의 책임자로 임명됨으로써 환경 보존에 대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미치기도 했다. 1865년 제출한 요세미티 보고서에서 옴스테드는 사익으로부터 공익을 보호하는 것을 정부의 의무라고 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옴스테드는 미국 국립공원 체계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전업 조경가로서의 활동과 이어지는 실천
1865년 캘리포니아에서 뉴욕으로 돌아온 옴스테드는 이후 30년 동안 전업 조경가로 활동한다. 가장 먼저 한 일은 캘버트 복스와 센트럴파크 작업을 마무리 짓고 프로스펙트 공원(Prospect Park)을 설계한 것이다. 두 사람은 옴스테드, 복스 앤드 컴퍼니(Olmsted, Vaux & Co.)라는 사명으로 1872년까지 함께 활동한다. 그 뒤 옴스테드는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조경가(Frederick Law Olmsted, Landscape Architect)라는 직함으로 1884년까지 활동하다가 이후 회사의 이름을 몇 차례 바꾸게 된다. 옴스테드는 1895년 현업에서 물러나고, 그를 도와 일하던 두 아들인 존 찰스 옴스테드(John Charles Olmsted, 1852~1920)와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주니어(Frederick Law Olmsted Jr., 1870~1957)는 1898년부터 옴스테드 브라더스(Olmsted Brothers)라는 사명으로 활동하기 시작하는데, 이 회사 이름은 1961년까지 존속했다. 옴스테드가 세운 회사는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미국 전역에서 공원 설계, 공원 시스템 설계, 주거 단지 설계, 대학 캠퍼스 설계, 국립공원 계획, 도시계획 등 6천여 건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까지 옴스테드의 회사는 조경업의 전문성을 발전시키고 다음 세대 전문가를 교육하는 일을 거의 홀로 감당했다. 찰스 엘리엇(Charles Eliot)과 워런 매닝(Warren Manning), 윌리엄 라이먼 필립스(William Lyman Phillips) 등 그와 관련된 전문가 다수는 훗날 자신의 회사를 차리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두 아들은 미국조경가협회의 창립 멤버이며, 특히 옴스테드 주니어는 하버드의 조경 프로그램을 설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오늘날 조경재단(Landscape Architecture Foundation)은 옴스테드의 이름으로 매년 장학생을 선정함으로써 그 역사와 유산을 기리고 있다.
옴스테드의 유산
픽처레스크 자연미와 민주주의의 이상을 담아내고 대지의 구체적 맥락과 공간의 실용적 기능을 고려하는 옴스테드식 설계는 그가 떠난 지 거의 120년이 흐른 오늘날에도 조경 설계의 기본으로 유효하다. 세간에는 센트럴파크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옴스테드의 작업은 대형 공원 외에도 도시 규모의 녹지 계획과 자연환경 보존, 주거 단지와 캠퍼스 설계를 아우른다. 옴스테드는 미국 국회의사당과 시카고만국박람회를 위한 조경가로 지명되는 등 국가적 프로젝트를 통해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우리가 옴스테드를 조경의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다면 그 동인은 옴스테드의 시작보다는 이후의 과정에 있을 것이다.
현대 조경이 직면하고 있는 기후변화, 사회적 불평등, 질병과 오염의 문제를 도시화와 산업화의 광풍이 몰아치던 19세기의 옴스테드도 고민했다고 한다면 과언일까. 이상과 현실을 이어붙이고 미학과 공학을 접목시키려던 옴스테드의 염원은 지금 여기의 소망과 다르지 않다. 예나 지금이나 설계는 보이는 것만을 바꾸지 않는다.
참고 자료
· National Association for Olmsted Parks, “About the Olmsted Legacy” (www.olmsted.org/the-olmsted-legacy/about-the-olmsted-legacy)
· National Association for Olmsted Parks, “Olmsted 200, Meet Mr. Olmsted-LIFE” (olmsted200.org/frederick-law-olmsted/life/)
· Library of Congress, Collection: Frederick Law Olmsted Papers” (www.loc.gov/collections/frederick-law-olmsted-papers/)
· Library of Congress, “Today in History-April 26” (www.loc.gov/item/today-in-history/april-26/)
· Greensward Group, “Central Park History” (www.centralpark.com/visitor-info/park-history)
임한솔은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감영 원림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경, 건축, 역사에 관심을 두고 설계와 이론, 도시와 자연, 과거와 현재의 경계를 다르게 보고자 한다. 함께 공부하는 사람들과 온오프라인 매거진 유엘씨(ULC)를 만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