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포스트 코로나, 도시의 안녕을 묻다] 언택트와 온택트, 그래서 빅블러
  • 환경과조경 2020년 10월
msh01.jpg
‘로컬스티치’(localstitch.kr)는 주거와 업무 및 창업 시설이 한곳에 어우러진 공간을 제공하며, 공유와 융통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레이프라운지’ (grapelounge.co.kr)는 원룸형 주거 시설이 밀집한 지역에서 침실과 욕실뿐 아니라 모든 기능을 담은 공간을 제공한다. 그들은 자신의 공간을 공유 라운지라고 부른다. 빅블러는 우리 주변에서 이미 일어나고 있다.


전염병은 일종의 도시병이다. 병원체는 가까운 숙주를 노리고, 숙주는 도시에 모여 산다. 오설리번(Arthur O’Sullivan)은 도시화의 원인을 집적 경제에서 찾았다. 사람과 산업이 좁은 장소에 모이면 생산 비용이 낮아지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주기적으로 찾아와 엄청난 비용을 유발하는 전염병을 계산에 포함시켜도 집적 경제가 유효한지는 잘 모르겠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앞에서 말이다. 21세기까지 와서 도시는 위기를 맞이한 걸까?


전염병에 맞서는 중요 수단으로 언택트(untact)가 강조되고 있다. 사실 언택트는 도시성의 포기와도 같다. 집적을 위해 모여 놓고 만나지 말자니? 그러나 지금 우리가 외치는 언택트는 과거의 그것과 다르다. 천연두나 흑사병이 창궐하던 예전의 도시에서 언택트는 멈춤이었다. 반면 지금의 도시에서 언택트는 지속이다. 온라인에서 만남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온택트(ontact)라고 부르기도 한다. 보건 위생이 아닌 정보 통신의 발달에 힘입어 도시는 살아남을 것인가?


과거의 모든 전염병이 그랬던 것처럼 코로나19도 언젠가 잊히기를 바란다. 그러나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암울하지만 언택트와 온택트가 일상이 된다면, 도시는 어떻게 변할까? 그래도 우리는 모여서 살 것이다. 도시가 살아남을 것이라는 말이다. 일상의 많은 부분을 온라인으로 해결하면서도, 채워지지 않는 집적의 효과를 향유하기 위해 기왕에 만들어놓은 도시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도시의 모습은 많이 바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인구 밀도, 건물의 기능, 오픈스페이스의 역할, 대중교통의 위상 등 많은 이야기가 오가고 있다. 그중 부동산의 관점에서 키워드를 하나 꼽으라면, 나는 공간의 빅블러(big blur)’를 선택하겠다...(중략)

 

* 환경과조경 390호(2020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민성훈1994년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조경설계 서안에서 2년간 일했다. 그후 경영학(석사)과 부동산학(박사)을 공부하고 개발, 금융, 투자 등 부동산 분야에서 일했다. 2012년 수원대학교로 직장을 옮기기 전까지 가장 오래 가졌던 직업은 부동산 펀드 매니저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