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오피스박김] 생각하는 디자이너
  • 환경과조경 2020년 5월
critic01.jpg
여울의 못. 전통 정원의 방지를 연상케 하는 사각 못을 제안하고, 한국 정원 연못의 외곽을 둘러싸는 담의 모습과 기능을 ‘물결지형’이라는 대지 조작을 통해 재연했다. ⓒ김종오

 

나는 오피스박김(이하 박김) 김정윤 대표의 제자다. 전역한 지 얼마안 된 까까머리 복학생 시절, 마찬가지로 귀국한 지 얼마 안 된 김정윤의 디자인 수업을 들었다. 서울의 유휴 공간에서 오픈스페이스의 가능성을 발견해보는 시간이었다. 지금은 여기 없는 나의 오랜 친구와 함께 팀을 이뤘고, 구로에 위치한 초, , 고등학교가 나란히 붙어있는 곳을 찾아내 세 개의 운동장을 비롯한 학교 안팎의 환경을 새롭게 디자인했다. 대상지를 리서치해 조닝(zonning)하는 것이 조경이라고 믿던 시절, 아름다운 형상을 하나하나 구체적으로 그려가는 작업은 조경 디자인이 예술의 영역에 속한다는 사실을 일깨워줬다. 조경가는 우리 주위의 모든 것을 디자인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과정이 재밌고 유익했지만 운동장 트랙을 디자인해보라는 주문은 말 그대로 신박했다. 대상지의 운동장이 과연 제대로 기능하고 있는지 리서치해 효율적으로 쓰일 수 있는 새로운 운동장 트랙을 디자인하라는 것이었다. 그때는 그러한 말을 예쁜 형태를 그려오라는 주문으로 여기고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돌이켜보면 실제로 우리는 리서치에 대부분의 시간을 쏟았다. , , 고 교과 과정과 시간표를 입수해 시간대에 따른 공간의 쓰임새를 분석하고 체육 수업에 필요한 모든 종목을 조사해 그것을 수용할 수 있는 오직 단 하나의트랙을 구상했다. 아름다운 형상은 늘 합리적인 리서치를 토대로 그려져야 했다.

 

디자인은 생각을 따른다

그 후로 나는 줄곧 박김의 팬이다. 조경 디자인을 연구하고 글을 쓰면서, 또 학생을 가르치는 선생으로 활동하면서 그들이 발표한 작품과 그들의 제자였던 경험은 (상투적인 말이지만) 내게 큰 귀감이 되어 왔다. 박김은 조경=종합과학예술이라는 케케묵은 수사를 아주 우아하게 공간에 떠낼 줄 아는 디자이너다. 그들의 작업은 예술 작품(works of art)처럼 아름다운 형상을 하고 있고 그 형태는 직관과 여러 과학 테크놀로지의 면밀한 테스트가 빚어낸 산물이다. 양화 한강공원에 구현한 생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그 자체로 아름다운 형태의 랜드폼(landform)인 머드(mud) 인프라스트럭처, ‘당인리 서울복합화력발전소 공원화 설계공모에서 제안한 대상지의 미기후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미적인 형태를 지닌 온돌 랜드폼이 그러하다.1

 

늘 그래왔다는 말은 아니다. 나의 이론의 삶에 있어 선배이자 스승인 배정한(편집주간, 서울대학교 교수)이 일찍이 감지했듯이, 그들의 작업은 2014여울의 못’(현대캐피탈 배구단 복합훈련캠프, 환경과조경20141월호)을 지나면서 생태의 작동을 비롯한 온갖 시스템의 족쇄에서 벗어나 형태의 자율성, 말하자면 순수하게 형태의 생성에 치중한 작업으로 전환하는 것처럼 보인다.2 배정한의 말처럼 보이는 경관(visible landscape)”오피스박김의 2를 대변하는 특징이라면 여전히 그 인장은 유효해 보인다. 근작들에서도 그들은 보이는 경관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3

지금까지 박김의 보이는 경관은 예술가로서 창조성, 그러니까 디자이너의 직관이 발휘된 산물로 여겨지곤 했다. 형태적 아름다움은 박김만의’, 박김다운특징으로 꼽히곤 한다. 원고를 구상하며 박김의 생각을 엿듣고 그들의 생각을 엮은 단행본을 뒤늦게 읽으면서, 박김의 보이는 작업이 늘 현실에 대한 깊은 반성과 사유를 통해 시작되며 이를 디자인이라는 마법으로 현실에 만들어내고 있다는 사실을 확신하게 되었다. 말하자면 그들의 디자인은 늘 비평적인 생각에서 출발한다. 형태적 아름다움에 가려져 그안에 내재한 깊은 생각이 그간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것 같아 이참에 박김의 생각에 한 발짝 더 들어가 보고자 한다. ...(중략)

 

환경과조경 385(2020년 5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정리

1. 박김이 과학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디자인하는 방식은 필자를 비롯한 국내외의 조경 이론가에게 조명된 바 있다. Jillian Walliss and Heike Rahmann, Landscape Architecture and Digital Technologies: Re-conceptualising Design and Making,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16; 이명준, “한국 조경에서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활용에 관한 담론의 변천: 한국조경학회지환경과조경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48(1), 2020, pp.15~24.

2. 배정한, “백지 설계”, 환경과조경20141월호, p.49; 배정한, “비저블 랜드스케이프”, 환경과조경20169월호, pp.40~43

3. 어쩌면 보이는 경관에 대한 집요한 탐구는 박김의 디자인의 과거에서 현재, 아마도 미래까지 관통할 철학일 것이다. 보이는 경관에 대해 내가 더 말해봐야 배정한이 쓴 글에 주석을 다는 일에 불과하다.

 

이명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오랫동안 공부하다가 지금은 한경대학교에서 ‘랜선 친구’들과 즐거운 일상을 보내고 있다. 오피스박김 사무실에 걸린 어두운 녹색과 보라색 커튼을 보다 문득 폴 토마스 앤더슨의 마스터피스 ‘팬텀 스레드’(2017)의 오프닝 시퀀스가 떠올랐다. 영화사에 기억될 조니 그린우드의 아름다운 스코어를 배경으로 1950년대 런던의 의상 디자이너 작업실의 출근길 풍경이 아주 우아하게, 물 흐르듯 펼쳐진다. 씨줄과 날줄이 견고하게 엮여 창조된 이 완벽한 영화는 여러모로 오피스박김과 그들의 작업을 떠올리게 한다. 오랜만에 지적으로 흥미로운 작가와 작업을 만나 쉽게 써야 한다는 강박 없이 편하게 떠들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