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무엇인가를, 누군가를 기억하는 어떤 방식
  • 환경과조경 2009년 6월

메모리얼: 기념과 추모의 장

사람들은 존경할 만한 국민적 영웅의 죽음을 추모하거나 의미 있는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메모리얼을 만든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묘지는 인류 역사에 있어서 가장 오래되면서도 보편적인 형태의 메모리얼이라고 볼 수 있다.

기념이라는 행위는 기본적으로 죽음의 추모, 과거의 회상, 사건에 대한 사회적 환기 및 치유, 관계자의 명예 고양 등의 목적을 가지고 행해진다. 이러한 기념 행위의 장소인 메모리얼은 개인의 사적인 기억이나 사회 공동체가 공유하는 경험과 기억을 되살리고 치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역사적 사건이나 경험을 장소에 새겨둠으로써 공동체의 기억을 더욱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영원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메모리얼의 디자인 형태

메모리얼의 형태는 국가나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나지만 근대까지만 하더라도 대부분은 조각이나 기념물(monument)의 형태로 만들어져왔다. 미국의 얼굴이자 메모리얼의 집합소라고 말할 수 있는 미국 워싱턴 D.C.의 National Mall에 우뚝 선 “워싱턴 기념비(Washington Monument)”가 그 대표적인 예. 이런 형태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머릿속에 고정관념으로 자리 잡아 기념물이라고 하면 무조건 하늘로 우뚝 솟아 멀리서도 우러러 볼 수 있는 형태를 생각하게 만들었다. 이렇듯 수직으로 솟은 기념탑이나 기둥은 외부공간에서 매우 두드러져 시각적 초점이 된다. 우리나라의 4·19국립묘지나 5·18국립묘지의 중앙에 기념탑이 놓인 것도 같은 이치이다.


상징적 표현의 집합체

일반적으로 기념성을 구현하기 위한 조형설계는 어떠한 설계대상보다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상징적 표현이 요구된다. 기념의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아치, 다리, 기둥, 문, 동상 및 조각, 폭포 및 연못, 분수, 조명 등 다양한 조경디테일 요소들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메모리얼을 구성하는 실체일 뿐만 아니라 의미를 전달하는 매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워싱턴D.C.의 많은 전쟁 기념물 중에서 유일한 국립 기념물인 “제2차 세계대전 국립기념관(National World WarⅡ Memorial)”은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2차 세계대전 중 복무한 1천 6백만 미군을 기리기 위해 지어진 이곳의 중앙에는 분수대가 자리 잡고 있으며, 그 주위로 많은 기둥들이 둘러 서 있다. 분수대의 두 개의 큰 물줄기와 양 끝의 거대한 기둥은 각각 2차 세계대전의 주요 격전지였던 태평양과 대서양을 상징하며, 나머지 작은 물줄기들은 참전국들을 의미한다. 나머지 작은 기둥들은 각각 미국의 50개 주와 그 자치속령을 의미하는데, 국가를 위해 청춘과 목숨을 희생한 군인들의 출생지역을 새겨 넣음으로써 그들의 명예를 다시 한 번 기리고 있다.

기억 속이 아닌 실체적 역사경험의 장

메모리얼은 의도적으로 공동체의 의식이 일어나게 하거나 대화를 만들어 내기 위해 또는 위안을 주거나, 반성과 화합의 장을 만들어내기 위해 디자인 된다. 때문에 잘 설계된 메모리얼에서는 기억 속에만 머무는 역사가 아닌 진정한 물리적인 역사를 경험—방문객들이 그들의 몸으로 메모리얼을 경험함으로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마야 린Maya Lin이 설계한 “베트남 참전용사 기념비(Vietnam Veterans Memorial)”를 들 수 있다. 현상공모를 통해 당선된 당시 스무살의 중국계 미국인, 예일대 건축과 3학년생이 내놓은 이 메모리얼의 디자인은 전통적인 기념비 형식을 깨고 오히려 땅 밑으로 내려가는 파격적인 디자인으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125도 각으로 만나는 250피트(약 70m)의 두 개의 직선이 V자 형의 뾰족한 날개 모양을 이루고, 두 직선은 꼭지점을 향하여 지면으로부터 점점 낮아져 가장 낮은 곳에서 3미터 정도의 깊이가 되었다가 다시 지면으로 올라오게 했는데, 거울처럼 반짝이도록 광을 낸 검은 화강석 표면에는 베트남전에서 죽거나 실종된 57,939명의 참전용사들의 이름을 1957년의 첫 전사자로부터 연도별로 새겨 놓았다.

단순한 디자인이지만, 경사를 이용하고 물성을 이용해 관람자를 참여시킴으로써 참전용사와 현재의 나와의 동질성을 통해 전쟁의 경각심을 말해주고 있다. 땅을 보고 걷다가 고개를 숙여 더 낮은 곳으로 걸어 내려가면서 검은 벽에 새겨진 죽은 자들의 이름을 본다는 사실은 사람들을 종교적인 제의(祭儀)에 참여한 것처럼 슬프게 한다. 사람들은 개개인의 슬픔을 되새기며 눈물을 훔치기도 하고 추억과 명상에 잠기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미국인들 모두가 함께 겪은 국가의 힘겨웠던 역사를 동시에 반추한다. 즉, 개인의 감동이 공공의 감동으로 공유되는 것이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