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비탈면 녹화 Part 1. 비탈면과 복원: 비탈면 녹화 계획, 설계의 기준 및 유의 사항
    비탈면 토질과 암질에 따른 특성 및 녹화 방법 비탈면 녹화의 시공 방법은 토질과 암질에 따라 달라지는데, 크게 토사 비탈면과 암 비탈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성토 또는 절토로 이루어진 토사 비탈면은 다양한 식물종의 사용으로 주변의 환경과 유사한 생태적 복원이 가능하지만 토사 유출과 세굴 등에 대한 방지 대책이 필요하며, 경도가 높고 토층이 거의 없은 암 비탈면은 식물의 활착과 지속적인 생장을 위한 식생기반재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토사 비탈면토사 비탈면은 크게 경사도 30도 미만( ~1:1.7)의 성토 비탈면과 경사도 30~45도(1:1.7~1.0)의 절토 비탈면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토사 비탈면은 식물의 생육 여건이 좋아서 식재(잔디, 초화, 교관목)나 종자 파종과 같이 다양한 공법의 적용이 가능하여 계획적인 생태 복원에 적합하다.토사 비탈면에는 씨앗뿜어붙이기, 잔디떼붙이기, 식물 식재 등의 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안정적인 비탈면 녹화와 생태 회복을 위해서는 씨앗뿜어붙이기의 경우 종자 배합 시 공사비 절감을 위해 양잔디와 싸리류 중심으로 녹화하기 보다는 국토해양부의 ‘비탈면 녹화 설계 및 시공 지침’에서 제시한 다양한 종류의 종자 배합량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자 배합시 적어도 1종 이상의 콩과 식물을 포함하는 것이 비탈면에 지속적인 질소원의 공급을 위해서 필요하며 종자의 조기 발아와 비탈면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해 볏짚 거적이나 코아 네트 등의 비탈면 안정화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풍화토/풍화암 비탈면과 리핑암 비탈면 풍화도/풍화암 비탈면은 경사도가 45도(1:1.0) 전후로 비탈면의 붕괴나 토사 유출의 위험이 높아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화 공정이 필요하며, 식물 생육 조건이 열악하여 일정 두께의 식생기반의 조성 필요하다. 관목과 초본 위주의 생태 복원이 가능하며 지역에 따라 아교목의 도입도 가능하다 리핑암 비탈면은 경사도가 45~60도(1:1.0~1:0.7)이며 흔히 불도저의 리퍼로 긁었을 때 자국이 나는 암으로 식물 생육 조건이 열악하여 식생기반 조성이 필요하고, 관목과 초본 위주의 생태 복원이 가능하다.일부에서는 이러한 풍화암과 리핑암 비탈면에도 씨앗뿜어붙이기와 볏짚거적덮기 등의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비탈면에는 식물의 활착과 생육에 필요한 식생기반층이 거의 없어서 식물의 활착과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없으며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최소한의 식생기반층을 조성해 주는 게 꼭 필요하다. 연암, 경암 비탈면 연암과 경암(발파암)비탈면은 경사도가 60도 이상(1:0.7~ )의 급경사로 비탈면 안정을 위해 철망 시공 등의 안정화 공정이 필요하며, 경도가 매우 높고 토양층이 없어서 식물 생육에는 매우 불리한 조건으로, 비탈면 녹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식생기반층의 조성이 필요하다. 식생기반의 두께는 건식 공법의 경우 10cm 이상, 습식 공법의 경우 5cm 이상으로 조성해야 식생 유지가 가능하다.암 비탈면의 생태적인 복원을 위해서는 비탈면을 최대한 완경사로 조성하는 것이 좋으며 요철이 있는 연암이나 다절리 발파암은 전면 녹화 이외에도 암의 요철이나 형태를 살려서 부분 녹화하는 것이 경제성과 경관 측면에서 유리하다. 현재 비탈면 경관 녹화가 필요한 골프장 등에는 암 비탈면 부분 녹화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경사도 70도 이상의 절리나 굴곡이 없는 암 비탈면에는 덩굴 식물 식재의 검토도 필요하다.
  • 비탈면 녹화 Part1. 비탈면과 복원: 비탈면 녹화 관련 제도 및 지침
    도로 분야 비탈면 녹화에 대한 개념이 정립된 시기는 1990년대로서 이 시기에 비탈면 녹화에 대한 다양한 기술과 공법이 개발되었다. 특히 도로 비탈면 녹화에 많은 공법들이 시공되었고 활용되었다. 도로 비탈면 녹화에 활발한 녹화 사업으로 2000년대부터는 다양한 비탈면 녹화 지침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한국도로공사에서 내부적으로 비탈면 녹화에 대한 기준을 만들었지만 전문적인 견해가 반영되기 보다는 비탈면 녹화의 관리 차원에서 만들어 졌다. 그러다가 2005년도에 국토해양부에서 도로 비탈면 녹화 잠정 지침을 만들어 도로 비탈면 녹화에 대한 기준을 제시했고, 이때에 한국도로공사에서도 고속도로 비탈면 녹화 세부지침(2005. 11)을 만들어 배포하여 비탈면 녹화 분야의 골격을 형성하였다.이후 (사)한국조경학회에서 조경설계기준(2007), 조경공사 표준시방서(2008)를 만들면서 비탈면 녹화 부분에 대한 기준과 시방서를 마련하였다.그 후 3∼4년간의 비탈면 녹화 잠정 지침의 검토 기간을 거쳐 2009년에 국토해양부에서 도로 비탈면 녹화 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을 제정하여 전국의 도로 현장에 배포하여 비탈면 녹화 분야의 근간을 형성하였다.또한 2011년도에는 국토해양부에서 건설 공사 비탈면 설계 기준, 시방서를 개정하여 비탈면 녹화에 대한 기준 정립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 비탈면 녹화 Part 1. 비탈면과 복원: 비탈면의 종류에 따른 보호 공법 및 보강 공법
    보수·보강의 개념자연사면에서 절취로 인해 비탈면이 형성되면 지반 내에 지질 구조와 같은 연약층이 존재하는 경우 붕괴가 발생되나 일반적인 비탈면에서는 자체적으로 안정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풍화로 인한 지반물질의 강도 저하로 인해 점차적으로 안전율이 떨어져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되어 붕괴에 이르게 된다. 안전율이란 개념으로 붕괴가 발생되지 않는 비탈면은 장시간이 경과되어도 안전율이 1.0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비탈면에 대한 보수·보강은 계획안전율 이상을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시기에 비탈면에 보수·보강 공법을 적용하여 안전율을 계획안전율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실시한다. 비탈면 안정 대책 공법비탈면의 설계나 공용중에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절토비탈면의 보호 및 보강 공법을 적용하게 된다. 비탈면 보강 공법비탈면 보강 공법은 쌓기 및 깎기에 의해 불안정해진 비탈면에 지반의 저항력을 증대시켜 변형을 최소화시키는 공법으로 강재의 인장력으로 지반의 변형을 억제하는 앵커, 이형철근 및 그에 상당하는 강봉, 파이프 등의 보강재를 지반에 삽입하여 전단강도를 증대시키는 네일, 뜬 돌이나 암반 절리의 변형을 억제하는 록볼트, 비탈면의 활동 토체를 관통하여 말뚝을 지반에 삽입시켜 지반 변형을 억제한 억지말뚝 등이 있다.
  • 비탈면 녹화 Part 1. 비탈면과 복원: 비탈면 녹화의 역할 및 녹화 기술의 변천
    서론국토의 대부분이 산지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에서는 대규모 개발 행위로 다양한 절?성토 비탈면이 양산되었으며, 또한 최근 이상기후 현상에 의한 자연 재해 등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면서 훼손 비탈면의 유형 및 형태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 건설, 광산, 주거단지의 개발 및 자연 재해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비탈면은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 및 보존의 측면에서 생태적?경관적인 대책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비탈면 녹화란 각종 유형의 개발 행위와 때로는 자연 현상 등에 의하여 훼손된 자연을 인간의 노력으로 재생, 복원 녹화하는 것을 말한다. 협의의 개념으로 볼 때 비탈면 녹화는 “대상지를 식물로 피복하여 토사 유출을 방지하고 경관을 회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광의의 개념으로 볼 때 “자연의 회복력으로는 식물의 재생이 곤란한 훼손 지역에 대해서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생육 환경을 정비함으로써 주변 산림에서 식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직접 식물을 도입하여 식생을 재생함으로써 자연의 회복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비탈면 녹화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비탈면 대상지의 환경은 점차로 변화되고, 식물도 이 변화에 부응하여 자연적으로 천이가 진행되면서 스스로 안정화하려고 변화한다는 점이다. 결국 바람직한 비탈면 녹화를 위해서는 현장의 여건에 부합되는 토양 및 수분 조건을 조성해 주고, 여기에 식물이 정착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며, 이때 다양한 품종의 초본 및 목본 종자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최근의 비탈면 녹화는 단순히 훼손지에 식물을 재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목적을 위해서 이에 적합한 기능을 갖는 식물 군락을 조성하는 행위까지 포함하고 있으며, 종자나 식물을 직접 도입하는 방법과 함께 식생 기반을 정비하고 식물이 재생될 수 있도록 유도해 주는 방법도 녹화의 한 범위로 보고 있다. 따라서 식생 복원의 필요성이나 전 지구적 차원에서 동식물 서식지의 복원까지 도모하는 것으로 확대 해석할 필요가 있다. 비탈면 녹화 기술의 변천사1960년대 이전 치산사방 녹화우리나라 비탈면 녹화의 역사를 보면 1960년대 이전의 치산사방 녹화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최근의 생태적인 식생 복원의 개념으로까지 발전되어 왔다. 근대 시대에 있어서 비탈면 녹화의 역사는 치산사방 녹화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산림의 개발 및 전쟁 등에 의한 산지의 황폐화로 한발 및 홍수와 토사 유출 재해가 빈번하였기 때문에 정책 방향으로 벌채를 제한하고 조림을 장려하였으며, 또한 황폐지 복구 공사를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왔다. 1960년대까지는 산지사방녹화 기술, 즉 황폐 산지의 복구녹화가 주축이 되어 황폐한 산지에서의 토사 유출이나 산사태 방지를 위한 녹화 공법으로서 이른바 응급녹화가 주된 방향이었다.이 시기에는 비탈면에서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산복사방 공작물의 조성과 함께 식생의 복구를 위하여 종자를 파종하는 방법과 속성수를 식재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당시에는 대부분 인력 시공 위주로 공사가 진행되었는데, 현재의 관점에서 볼 때는 시공 효율은 낮았지만 상대적으로 자연친화적인 소재와 방법을 사용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비탈면 녹화 Part 1. 비탈면과 복원: 비탈면의 정의와 안전성, 유형별 피해
    비탈면이란 무엇인가비탈면은 흙깎기와 흙쌓기 등의 인공으로 만들어진 경사 지형의 사면 부분을 말한다. 흙깎기 비탈면은 부지를 조성할 때 원지반을 깎아서 만들어진 지반을 말하며, 흙쌓기 비탈면은 기존 지반 위에 흙 또는 암석을 쌓아서 부지를 만든 경우 쌓기 경계부에 만들어지는 경사진 지반을 말한다. 물매가 일정한 단순 비탈면과 물매가 변화하는 복합 비탈면이 있다. 비탈면의 안정비탈면 유형에 따른 비탈면 안정 검토를 실시하여 단ㆍ장기적으로 비탈면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비탈면 안정 검토 시 계산된 안정율(FS)이 기준 안전율보다 커야 비탈면이 안정하다. 안전율은 식 (1)과 같이 비탈면 내부에 가정된 파괴면 또는 실제 발생한 파괴면에서의 전단강도와 전단응력비율, 저항력과 작용력의 비율 또는 저항모멘트와 작용모멘트율로 계산된다.
  • 비탈면 녹화: 비탈면 녹화 공법의 종류 및 특성
    들ノ어ノ가ノ는말2009년ノ도국ノ토ノ해ノ양ノ부ノ에ノ서ノ는ノ「도ノ로비ノ탈ノ면녹ノ화공ノ사ノ의설ノ계및시ノ공지ノ침ノ」을마ノ련ノ하ノ여ノ비ノ탈ノ면녹ノ화공ノ사ノ의품ノ질ノ을향ノ상ノ시ノ키는 특ノ단ノ의조ノ치ノ를시ノ행ノ하ノ고있ノ다 지ノ금ノ까ノ지녹ノ화공ノ사ノ의품ノ질ノ보ノ다ノ는외ノ래ノ종위ノ주ノ의조ノ기녹ノ화ノ와경ノ제ノ성위ノ주ノ의투ノ명ノ하ノ지않ノ는공ノ사수ノ주ノ의ノ관ノ행ノ이고ノ질ノ적ノ인문ノ제ノ점ノ으ノ로지ノ적ノ되ノ어왔ノ다 비ノ탈ノ면녹ノ화공ノ사ノ는도ノ로공ノ사ノ로훼ノ손ノ된비ノ탈ノ면ノ을주ノ변환ノ경ノ과조ノ화ノ되ノ는식ノ생복ノ원ノ을하ノ여훼ノ손ノ된경ノ관ノ을회ノ복ノ시ノ켜ノ야하ノ지ノ만주ノ변ノ생ノ태ノ계ノ의특ノ성ノ을무ノ시ノ하ノ고발ノ아ノ가빠ノ른한ノ지ノ형외ノ래ノ도ノ입ノ초ノ종위ノ주ノ의단ノ순녹ノ화공ノ사ノ를ノ하ノ여주ノ변환ノ경ノ과부ノ합ノ되ノ지못ノ하ノ거ノ나비ノ탈ノ면토ノ질ノ을고ノ려ノ하ノ지않ノ는녹ノ화공ノ사진ノ행ノ으ノ로ノ재ノ황ノ폐ノ화ノ가이ノ루ノ어ノ지ノ는사ノ례ノ가빈ノ번ノ하ノ였ノ다
  • (주)에코청진, IDPLUS, (주)엡스코어
    (주)에코청진 네오스톤 에코 Neo Stone Eco(음이온 블록) ·블록의 유색층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소재를 적용하여 인체와 환경에 유익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진 국내 최초의 신제품이다. ·석산에서 음이온이 많이 발생하는 골재를 채취하여 음이온 선별 과정을 통해 순수한 음이온 분말을 받아 유색층의 재료로 사용하여 블록에서 많은 수의 음이온을 발생하도록 제작하였다(음이온 발생량 300개/㏄ 이상). 일반적으로 상품에 적용할 때, 음이온 발생 수량이 300〜500개 일 때 혈액을 순환시키고, 음이온 고유의 성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충분히 볼 수 있다. IDPLUS 퍼골라 쉴 수 있는 공간이라는 단순한 컨셉으로부터 사람들의 마음을 한층 더 편안하게 이끌어 줄 수 있는 감성적인 요소를 접목시키고자 하였으며, 도심 속의 건축물들과 어울릴 수 있는 한옥의 지붕 구조물을 본뜬 퍼골라로 수목이 제공해주는 청량한 녹음과 함께 휴식의 장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모델명 ID+P 05l규격 4,000×4,000×H3,000(주)엡스코어 자전거 도로용 안전 유도등이번에 출시된 자전거 유도등은 자전거 사용 인구의 증가와 자전거 도로 시설 확충에 따른 안전 시설 필요 등을 기반으로 야간 운행 시 안전하게 자전거 도로를 운행할 수 있도록 돕는 국내 최초의 자전거 도로 전용 안전 유도등이다.
  • 우리꽃벽화수(주)
    문화를 담아내는 진정한 농업인이 되고 싶어얼마 전 TV예능프로그램에‘나의문화유산답사기’의 저자 유홍준 교수가 출연해 문화유산에 대한 깊은 감동을 전해주었다. 이러한 감동은 책이 처음 발간되었을 당시에 독자들 사이에 전해지면서 밀리언셀러에 등극하게 되었다. 또 ‘우리나라 전 국토가 박물관이다.’, ‘�문화는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을 유행시키면서 답사 신드롬으로 전국을 들썩이게 했다. 사람들이 외면하다시피 했던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에 대해 열광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간접적으로 나마 유 교수의 답사를 통해 과거를 살았던 조상들의 삶의 모습이 담긴 문화유산을 생생하게 느끼고 그 흔적들에서 전해져 오는 무한한 감동을 받았기 때문은 아닐까. 유 교수는 문화에 대해 어떠한 거창한 지식이나 단순 지식 전달이 아니라 문화를 느끼고 또 그로 인해 느껴지는 감동을 전해주었던 것 같다. 문화는 시공간을 초월해서 전해 내려오는 위대한 힘을 가진 듯하다.이번 호의 주인공은 우리나라 야생화 종자를 개량, 판매하고 있는 우리꽃벽화수(주)의 박공영 대표이다. 그는 최고의 생명 제품인 꽃을 들고 수요자와 직접 만나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문화를 선사해줌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그리고 이제는 어떠한 것도 사람들의 문화에 흡수되지 못한다면 지속적일 수 없다고 말한다.사람들의 문화 속에 꽃은 단편적인 도구로 밖에 활용되지 않지만 꽃이 가져다주는 힘은 문화를 만들어가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는 박공영 대표의 문화예찬론을 지금부터 소개한다.사진|박상백·자료제공|우리꽃벽화수(주)
  • 쉽게 풀어쓰는 조경토양(8)
    수목이 토양 환경에 의해 피해를 보았을 때 문제는 토양 자체의 건조, 과습 문제 등 토양 환경 불량과 사람에 의해 복토, 심식되었을 때 등 크게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공통적으로 토양의 삼상 중 토양 공극 내 수분과 공기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로 볼 수 있다. 이번 연재에서는 토양 환경 불량에 대한 여러 가지 예와 병징, 방제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건조(乾燥, drought)1)배경수목은 보통 낮에 많은 증산 작용을 하기 때문에 햇빛이 세고 바람이 부는 낮에 수분을 과다하게 잃게 되면 잎이 마르는 등 수분 부족 현상이 발생한다. 건조 초기의 단순한 시들음은 밤에 수분 상태가 좋아지면 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만성적인 건조는 광합성을 저조하게 만들며, 직경 생장도 급격히 감소하여, 나이테가 좁아지면서 위연륜(僞年輪, false annual ring)을 만든다. 일반적으로 낮에 시들었던 잎이나 가지가 밤에 회복되는 것이 정상이다. 만일 시들음 현상이 낮과 밤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면 건조 피해가 있다고 판단한다. 특히 대형목을 철저한 준비 없이 마구 이식하게 되면, 이식 후 건조 피해가 자주 발생한다. 2)병징건조에 의한 피해는 활엽수와 침엽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활엽수의 경우 어린잎과 줄기의 시들음 현상(위조, 萎凋, wilting)이다. 시들은 잎이 가장자리로부터 엽맥 사이 조직에서 갈색으로 고사하면서 말려들어 간다. 오후 햇빛이 드는 남서향의 가지와 바람에 노출된 부분이 먼저 영향을 받는데 피해가 더 진전되면 낙엽이 진다.활엽수가 수분 스트레스를 받으면 잎의 크기가 작아지고 새 가지 생장이 위축되어 엽면적(leaf area)이 감소하며, 가지 끝부터 서서히 죽어 내려온다.침엽수의 경우에는 건조 피해가 초기에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소나무의 경우 건조에 대한 저항성이 커서 탈수 상태에 있더라도 초기에 잎에 가시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가시적으로 잎이 쪼그라들고 녹색이 퇴색하여 연녹색으로 되는 후기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이미 나무가 죽기 직전까지 도달한 상태라고 할 수 있으며, 관수를 하더라도 나무가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방제법관수할 때 1회를 실시하더라도 하층토까지 완전히 젖을 때까지 충분히 관수하는 것이 같은 양의 물을 여러 번 나누어 표층토만 젖을 만큼 주는 것보다 훨씬 더 나무에 도움이 된다.�건조기에 스프링클러로 대면적을 관수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며, 점적관수법(點滴灌水法, drip irrigation)을 이용하여 나무 밑동에만 조금씩 물을 흘려보내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 등나무를 이용한 대규모 녹화
    신문에 끼워져 있는 광고와 함께 오사카후(大阪府) 센낭군(泉南郡)지역의 전용 홍보 잡지가 이따금 딸려 들어온다. 그중에 “카지모토 씨 댁의 등나무 축제, 금년도 개최”라는 광고가 있었다. 장소는 JR 항와선(阪和線)의 이즈미 스나가와(和泉砂川)역과 가까운 곳으로, 집에서 차로 가면 30분 정도의 거리였다.기사를 읽으니 카지모토 씨 댁에서는 매년 등나무 꽃이 만발하는 시기에 토요일과 일요일 양일간, 현지 보존회의 협력으로 자택 뜰의 “등나무 무료 견학회”를 실시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중략) 카지모토 씨 댁의 등나무는 아직 수령 30년 남짓으로 전국에 있는 수령 수백 년 급의 명목과는 비교할 수가 없지만, 젊은 활력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점인 것 같다. 또 불과 30년만에 거목 몇 그루분의 대면적처럼 퍼져 있는 것은 도시녹화 소재로서의 잠재 능력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관리가 소홀하면 송충이가 대량 발생하기도 하여 문제가 되는 녹화 재료이지만, 세밀한 관리를 하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자유롭게 녹음의 캐노피(Canopy)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봄에는 꽃놀이를 즐길 수 있다는 덤이 붙는 우량 소재이다.카지모토씨 댁은, 지붕을 몰탈로 보강하고 손님이 오를 수 있도록 개장해 있었다. 거기에 올라가보고, 만개한 등나무 꽃을 위에서 내려다본다는 것은 각별한 맛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알았다. 도원향(桃源鄕)뿐만이 아닌 등원향(藤源鄕)의 상공을 비행하는 선인이 된 기분이다.번역|한규희 韓圭希어번닉스(주)대표/일본 (재)도시녹화기술개발기구 연구 제1부 연구원日本(財)都市綠化技術開發機構硏究第1部硏究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