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1. 잔디 총론: 잔디의 개념 및 특성
잔디의 정의 및 이용잔디(turfgrass, turf)란 여러해살이풀로 재생력이 강하고 식생교체가 일어나며, 조경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피복성 식물(ground cover)을 말한다. 잔디로 식생된 지표지역을 잔디밭(lawn, lawn ground)이라고 하며, 잔디나 잔디의 뿌리로 차 있는 토양표층이나, 이식 또는 증식의 목적으로 떼어낸 토양표층의 일부를 떼(sod)라고 한다.현재 지구상에는 약 600속 7,500종의 벼과식물이 있지만 이중 잔디로 이용 가능한 종은 30~40종이 있고 이중 실제로 잔디용으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 종은 20여 종(species)에 불과하다. 하지만 각 종마다 수십 개 이상의 품종(cultivar)들이 개발되어 있다.
잔디의 발달 역사잔디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1946년부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1950년대는 잔디과학의 혁명기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기간의 주요 업적을 보면 ①개량형 잔디품종개발, ②잔디 잡초, 병해충용 농약 개발, ③잔디전용 비료 개발, ④깎기, 시비, 관수, 농약살포, 잔디갱신 등의 기계화 등을 들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미국 내의 잔디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 큰 원인이 될 것이다. 이어서 1960년부터는 잔디 관련 산업이 미국 내에서 주요 산업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오래전부터 들잔디가 산과 들에 많이 자생하던 곳을 이용하여 정원, 궁원, 그리고 산소 등을 조성하여 왔다. 하지만 잔디연구는 1960년대에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의 류달영 교수에 의하여 한국잔디의 종자파종 및 영양번식 등에 대한 연구로 시작되었다. 1980년대의 국제대회의 국내 개최와 더불어 잔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1991년 한국골프장사업협회 산하에 잔디연구소가 안양골프장 내에 개설되어 현장감 있는 잔디연구를 실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린키퍼학교가 개설되어 잔디관리 전문가들을 매년 배출하고 있다. 이후 대학 및 기업 산하 잔디연구소가 많이 개설되어 잔디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잔디의 특성잔디는 다음의 몇 가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① 지표면을 덮을 수 있어야 함.잔디는 지표면을 완전히 덮었을 때 환경조절, 경관향상, 부상감소, 먼지감소 등 여러 가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지면피복속도가 빠른 잔디일수록 바람직한 잔디라고 할 수 있다.② 답압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함.잔디는 일반 지피식물과는 다르게 그 위에서 활동이 이뤄지기 때문에 답압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야 한다. 한국잔디는 내답압성이 가장 강한 잔디이다.③ 다년생으로 여러 해 동안 생육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함.여름의 고온과 겨울의 저온을 극복하고 매년 잔디밭을 형성해야 한다. 그러므로 내한성, 내서성, 내건조성 등이 강해야 한다.④ 피해를 입은 후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높아야 함.골프나 축구 등과 같이 잔디면에 피해를 주는 경우 바로 회복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포복경이나 지하경이 있고, 생장속도가 빠른 잔디가 바람직한 잔디이다.
-
Part 1. 잔디 총론: 잔디의 종류 및 생육 특성
전 세계적인 잔디의 분포와 이용은 온도와 강우 패턴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한량·습윤(cool humid), 한랭·반건조(cool subhumid) 기후대에서는 한지형 잔디(Cool-season grass)가 주로 분포하며, 대표적인 한지형 잔디로는 블루그래스(bluegrasses), 훼스큐류(fescues), 라이그래스(ryegrasses), 벤트그래스(bentgrasses)가 있다. 온난·습윤(warm humid), 온난·반건조(warm subhumid) 기후대에서는 난지형 잔디(Warm-season grass)가 분포한다. 대표적인 난지형 잔디로는 한국잔디(zoysiagrass), 버뮤다그래스(bermudagrass), 세인트 어거스틴그래스(St. Augustinegrass), 바히아그래스(bahiagrass), 센티페드그래스(centipedegrass) 등이 있다. 한랭 기후대와 온난 기후대의 중간에 위치하는 전이기후대(transition zone)에서는 한지형 잔디, 난지형 잔디 모두 생육이 가능한데, 우리나라는 전이기후대에 속하여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가 고루 활용되고 있다.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는 잔디는 약 5,000종에 달하며, 이중에서 약 30종 정도가 식재용 잔디로 이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거나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는 종은 약 10여 종 정도다. 한지형 잔디의 경우 대부분의 초종이 활용되며, 난지형 잔디의 경우 한국잔디와 버뮤다그래스, 씨쇼어 파스팔룸(seashore paspalum)이 활용되고 있는데 한국잔디는 전국적으로 활용되나 버뮤다그래스와 씨쇼어 파스팔룸은 내한성이 약하여 제주 해안지역에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
Part 1. 잔디 총론: 잔디의 품질평가
Turfgrass Quality Evaluation잔디 품질평가의 방법“잔디 종류별 품질평가는 www.ntep.org 사이트를 현장 환경에 맞게 적절히 참고하라.”현재까지 가장 공인된 잔디품질평가로는 NTEP(National Turfgrass Evaluation Program)가 있는데, 이는 유망한 잔디품종들을 선택하여 미국 내 40여 개 지역과 캐나다의 6개 지역 등 기후환경이 서로 다른 여러 지역에서 각종 잔디(현재 17종)의 품질 항목을 평가하는 프로젝트를 말한다. 평가항목은 전체적인 품질과 색깔, 밀도, 내병·내충성, 내서·내한·내건·내답압성이며, 매년 평가·분석되어 보고서가 작성되고 있다. 매 5년마다 종합보고서도 제출되고 있는데, 전 세계 30여 개국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 품질평가 사업은 미농무성의 벨츠빌연구센터(Beltsville Agricultural Research Center(BARC) in Beltsville, Maryland, USA)에서 주관하고 있으며 공식 시험은 미국 내 각 대학에서 실시하고 현장 시험은 NTEP staff과 GCSAA(미국코스관리자협회), USGA(미국골프협회)의 협력 하에 여러 지역의 골프장에서 평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평가하는 잔디품질 항목은 다음과 같다.· 많이 발생하는 병(달러스팟, 브라운패치 등)에 대한 내성이 있는가?· 건조 및 고온에 대한 내성이 있는가?· 잔디의 밀도는 타 품종에 비해 우수한가?· 색깔은 짙은 녹색인가? 생육 속도는 어떠한가?· 조성 속도는? 각종 병과 스트레스 장애 피해로부터의 회복력은?· 낮은 시비 수준과 관수, 농약의 사용에도 품질이 유지되는가?· 낮은 예고에도 생육 장애가 없이 품질이 유지되는가?
위의 항목을 세분하여 1~10점을 각 지역별 기간별(주로 월별)로 최소유의차검정(Least Significant Difference, LSD)으로 통계 분석하여 항목별 품질 성적을 발표하고 있다(표 1).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종자회사는 물론이고 개별 소비자까지 잔디 품질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장 기후환경에 알맞도록 지역 자료를 선택 적용해야 한다. 우리나라 중부지역은 미국의 중서부지역의 자료를, 제주도나 남부 해안지역은 대륙성과 해양성기후를 가진 지역의 품질평가 결과를 선택해야 한다. 우리나라 기후는 ‘8’번으로 표시된 전이지역(Transition Zone)의 온대기후대와 비슷하며, 지역으로는 KS(캔자스, Kansas), IL(일리노이, Illinois) 주를 많이 선택하는 것이 좋다. 현재 NTEP에서는 세계 각 지역의 환경을 분석하여 그 지역에 적합한 잔디품종을 선택하는 유료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이렇듯 공개된 잔디품질평가 자료를 참고함은 물론이고, 이제까지 기후환경이 다양한 우리나라에서에서는 지역별로 또는 프로젝트별로 잔디 품질평가 시험이 진행된 사례가 많았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잔디 품종선발을 시도하였다.
-
Part 2. 잔디 시공 및 관리: 공간의 종류와 용도를 고려한 잔디 초종 선정 방법
Selecting Turfgrass Typ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nd Uses of the Space잔디는 생명체이고 미적, 기능적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지속적인 생육이 필요한 식물이다.사람들은 종종 장식품의 역할을 잘 감당하는 조경식물을 원하기도 하는데, 원하는 모습과 색이 변함없이 제공되어 언제나 만족스러운 장식품의 역할을 감당하는 생물을 욕심내곤 한다. 그런 면에서 선인장이 이와 같은 요구를 가장 잘 만족시키는 식물이 아닌가 생각한다.상당기간 물과 비료 없이도 살 수 있으며 누군가가 건드려서 망가트리려 하면 가시로 찔러서 자신을 보호하는 기특한 식물인 선인장은 매우 천천히 자랄 수밖에 없다. 물도 비료도 아주 조금만 필요로 하고 나쁜 환경에서도 잘 견디는 편이다.
반면 잔디는 푸르른 잎이 촘촘히 나서 땅바닥을 가려주고 마구 밟아도 가시로 찌르지 않으며 반겨주고 망가져도 빨리 회복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빨리 자라지 않으면 사람들이 원하는 가치를 제공할 수 없으나 너무 키가 크게 자라면 사람들이 자꾸 깎아야 하는 등 관리상에 번거로움을 주기도 한다. 그렇지만, 잔디는 산 사람뿐만 아니라 죽은 사람에게도 이불이 되어 흙이 떠내려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이런 잔디는 천천히 자라면서 질긴 줄기로 흙을 붙잡아야 착한 잔디가 된다.
잔디는 생물이기에 환경에 예민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너무 추우면 얼어 죽고 그늘이 지면 배고파 죽고 너무 마르면 말라 죽고 비료를 너무 많이 주면 병에 걸려 죽는다. 따라서 잔디가 열악한 환경에도 견딜 수 있는 능력을 갖추면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다. 그런데 생물이 모든 면에서 우수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각각의 장점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경이란 인간이 필요한 자연의 모습과 기능을 인위적으로 만들지만 가장 자연스러우면서 기존의 환경 및 기후에도 잘 적응해야 좋은 작품이 된다. 조경식물들은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기능과 모습을 가지지만 주어진 환경에 잘 적응하여야 하는 사명을 가진다. 그 중 잔디는 매우 열악한 환경을 견뎌내야 한다. 춥거나 더워도, 나무 그늘이 져도, 비가 너무 많이 와서 물이 고여도 견디어야 하는 동시에 사람들이 마구 밟고 망가트려도 견디며 빨리 회복하여야 한다. 그래서 어떤 조경식물이나 농작물보다 불쌍한 생물이다.
식물은 자기가 가진 특성과 적응력을 바탕으로 어려운 상황을 최대한 견디지만, 한계를 넘으면 죽게 된다. 그래서 전문가는 예상되는 환경과 용도를 신중하게 고려하여 잔디를 선정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고려하여야 할 점들을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본다면‘용도 및 관리 정도’와‘생육 환경’으로 볼 수 있다. 잔디는 용도에 따라 잔디가 가져야 할 특성이 매우 다를 수 있다. 매일 축구 경기를 하는 공간과 1년 중 사람이 거의 들어가지 않는 관상용 공간은 용도가 매우 다르다. 반면 생육환경은 대부분 이미 정해진 조건이고 사람이 바꿀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잔디가 가진 환경 적응성의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본 기고에서는 먼저 용도별 공간의 특성과 잔디 선정에 필요한 생물적 특성을 설명하고 잔디를 선정하는 원칙 및 순서와 방법을 알아보기로 한다.
-
Part 2. 잔디 시공 및 관리: 잔디 시공 방법
Turfgrass Establishment Methods새로운 잔디밭을 만들때 소규모 면적일 경우에는 잔디를 외부에서 들여와 그대로 심으면 되겠지만, 골프장과 같이 대규모 면적일 경우 잔디 씨앗으로 파종을 하거나 잔디 식물체의 일부를 잘라서 번식시켜야 한다. 이처럼 잔디를 번식시키는 방법에는 종자에 의한 번식과 영양체에 의한 번식으로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잔디의 종류와 생장 특성에 따라 종자 번식이나 영양체 번식을 선택하게 된다.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소위 말해서 양잔디라 불리는 한지형 잔디는 주로 종자번식(파종)을 하고, 한국잔디류는 뗏장을 풀어헤쳐서 작게 자른 영양체 번식(식물체 번식)을 주로 행하여 왔다. 그러나 1980년대 중후반에 들어서면서 국내 골프장의 건설 붐과 더불어 잔디의 부족이 심해지고 종자의 발아처리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한국잔디류도 종자번식을 하게 되었다.잔디의 종자번식과 영양체 번식은 잔디의 종류나 생장 특성, 만들고자 하는 잔디밭의 용도나 여건, 기후적인 특성, 지형 등에 따라서 서로 달리 선택하며 2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기도 한다.여기에서는 잔디를 어떻게 시공하여 잔디밭을 만들어 나가며,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잔디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다루어 보고자 한다.
-
Part 2. 잔디 시공 및 관리: 잔디 관리방법 및 사례
Turfgrass Management and Examples잔디의 종류잔디는 발생기원지와 생육형에 의해 크게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로 나뉜다. 잔디는 각 종별로 품종도 다양하며, 그 특성은 NTEP(National Turfgrass Evaluation Program)에서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잔디밭의 용도 및 기대 품질 수준에 따라 잔디 관리 수준은 상당히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잔디 관리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동일한 잔디일지라도 사면용, 관상용(정원용) 및 스포츠용에 따라 관수, 예초 및 시비, 병 방제 및 갱신작업과 환경 적응성이 상당히 다르기 때문이다. 그린, 티, 페어웨이, 경기장 등의 스포츠용 잔디의 경우 기대 품질 수준이 높고, 정원, 공원 등의 관상용 잔디는 중간 정도이고, 비행장, 고속도로 등의 사면용 잔디의 경우는 기대 품질 수준이 낮다. 기대 품질 수준이 높을수록 잔디의 환경적응력은 낮아지게 된다.본 고에서는 잔디를 수준 높게 관리하기 위해 잔디의 종류와 이에 따른 병충해 및 잡초에 대해 알아보고 잔디밭 및 골프장의 잔디 관리방법과 사례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art 2. 잔디 시공 및 관리: 잔디 품셈 및 조달청 잔디 규정 개선 방안
Estimation of turfgrass and Public Procurement Service’s Reform Plan on Turfgrass Regulations우리나라 잔디 산업은 골프장, 축구장, 아파트 조경 등의 팽창으로 인해 해마다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과거 30년 전에는 한국잔디만 주로 생산하였지만 오늘날에는 한국잔디 뿐만 아니라 켄터키블루그래스, 버뮤다그래스, 크리핑벤트그래스 등 다양한 잔디가 고객의 수요에 부응하면서 개인과 기업에서 대규모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잔디 산업의 발전과 달리 조경공사에서 잔디는 액세서리 정도로 여겨지고 소홀히 여기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조달청에서 제공하는 잔디의 정보만 보더라도 과거에 만들어진 잔디 규격과 기준이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어 잔디 전문가로서 안타까울 따름이다.
이에 잔디 산업 발전에 걸맞고 다양한 잔디가 관공서 등 각종 수요처의 요구에 맞게 공급 및 시공될 수 있도록 잔디분야에 대한 오류와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적산, 품셈, 표준품셈, 내역서, 일위대가표 등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Part 3. 잔디 산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 잔디산업의 현황 및 관련단체의 역할
Present of Turfgrass Industry and the Role of Related Organization in Korea서언지난 수십 년 동안 사람들은 잔디(turfgrass)를 이용하여 삶의 질을 증진하고,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시간과 자본을 투자하여 노력해 왔다. 경제적 생활수준이 높아질수록 먹거리에 관한 관심도 보다는 오락과 레크리에이션 등을 통해 정신적 편안함과 만족감을 위한 활동에 많은 노력과 비용을 소비하기 때문이다.오픈스페이스에서 뛰거나, 쉴 수 있는 여유로운 삶이란 바로 경제적 만족감 이후에 가능하기 때문이다.필자가 27년을 천안에 살면서 여가를 즐기러 가끔 방문하던 곳은 온양에 있는 현충사였다. 그곳에 가면 이순신 장군의 정기를 받을 수 있고, 넓은 잔디광장과 수려한 수목이 있어서 좋았다.Z0여 년 전만 해도 그 넓은 잔디밭에는 울타리가 쳐 있었고 출입금지 표시가 있어서 들어갈 수 없었기에 잔디를 전공하는 나에게는 그림의 떡과 같은 곳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누군가 나의 마음을 읽은 것처럼 잔디밭 주변에 설치되었던 출입금지 표지를 제거하고 잔디광장을 시민들에게 개방하기 시작한 것이다. 요즘은 그곳에 방문하면 주차할 공간이 없을 정도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넓은 오픈 스페이스에서는 아이들이 뛰어놀며 가족들의 웃음을 볼 수 있는 그 곳이 바로 열린 잔디광장이다. 아름다운 열린 공간을 개방해서 행복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한 잔디의 역할은 실로 대단하였다. 얼마 전에는 세계적으로도 가장 우수한 경영능력을 보였다는 인천국제공항을 방문했다. 목적은 활주로 내에 있는 잔디생육 상태를 진단하는 것이었다. 골프장 5개 면적에 달하는 5,000,000㎡의 공간에 심어진 잔디의 주된 기능은 비행기 운항을 원활하도록 하게끔 비산 먼지(날리는 먼지)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었다. 활주로 내에 있는 잔디의 생육은 왕성하였고, 그 본연의 의무를 다하고 있었다. 이러한 잔디의 역할은 금액으로 가치를 매기기 어려울 정도로 높다고 생각되었다.경제적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녹지의 역할 및 면적도 늘어나고 있으며, 품질도 높아지고 있다. 2010년 서울 시내 자연공원, 도시공원, 기타공원 등의 총수는 2,531개로 보고되고 있다. 10년 전에 1,243개였던 것에 비하면 매년 공원 개수가 10%씩 증가하였다. 2002년 월드컵 축구대회를 위해 켄터키블루그래스로 조성된 서울월드컵경기장에는 국내외 관광객의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는 잔디 관련 산업이 활발하고 잔디의 재배 및 이용도 늘어나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가 아닌가 생각된다.
-
Part 3. 잔디 산업의 현황과 전망: 신품종 한국잔디 세녹·밀록
New variety Zoysiagrass Senock and Millock한국잔디의 분류와 육종의 역사88서울올림픽 이후 잔디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전원주택 잔디 조성 등의 이용이 늘면서 신품종에 관한 관심도 높아졌다. 잔디품질이 우수한 품종, 생육지속기간이 긴 품종, 조성속도가 빠르고 용이한 품종, 종자형 품종 등 목적에 부합되는 다양한 품종의 개발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신품종들이 국내외에서 개발, 사용되고 있다.한국잔디류(Zoysiagrass)의 원산지는 한국을 포함하여 일본, 중국 및 환태평양지역의 동남아시아이다. 한국잔디류에는 들잔디(Z. japonica), 갯잔디(Z. sinica), 왕잔디(Z. macro stachya), 금잔디(Z. matrella), 비단잔디(Z. tenuifolia) 등의 5종이 있다. 한국잔디류 중 낮게 자라며, 정기적인 잔디 깎기에 적응되어 잔디로 이용되고 있는 종은 들잔디, 금잔디, 비단잔디 등 3종뿐이다. 그러나 이들 종간에도 자연교배에 의한 종간교잡종들이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안가 근처에서 들잔디와 갯잔디의 자연교잡으로 발생한 잡종들이 생육속도가 빠르고, 잔디품질이 좋아 판매용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현재 한국잔디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이 엽폭 3~4㎜ 정도인 중지(medium leaf type zoysiagrass)류이다.한국잔디의 신품종 개발은 한국잔디 유전자원이 탐험가들에 의해 아시아지역으로부터 미국으로 도입된 1895년 이후부터 진행되었으며, 1951년에 미국골프협회(USGA)에서 개발한‘Meyer’품종은 미국 내에서 현재까지도 이용되고 있는 우수 품종이다. 난지형 잔디인 한국잔디는 건조에 강하고, 내병성이 높은 유전적 특성이 장점으로, 조성속도가 느린 단점에도 미국에서 다수 품종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한국잔디류는 주로 영양번식으로 이용됐으나, 종자형 품종의 육종개발로 한국잔디류의 이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Zenith’와 같은 종자형 품종은 이미 국내에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65년 서울대학교에서 한국잔디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1990년 단국대학교는 서울대학교로부터 47계통을 분양받아 잔디육종을 시작했으며, 1991년과 1992년에 걸쳐 한반도의 서·남해안에서 총 93개의 지역종을 수집하여 유전자원을 확보하였다. 수집한 잔디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잔디 기본 5종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기본으로 하여 선발, 인공교배, 합성품종, 형질전환 등의 방법으로 신품종 한국잔디 ‘세녹, 밀록’을 육종 개발하였다.세녹과 밀록은 한국잔디 전문가인 최준수 교수 연구팀이 1990년부터 십수 년에 걸쳐 육종 개발하여 특허 등록한, 한지형 잔디와 비교해서도 잔디품질이 매우 우수한 신품종 잔디이다. 건국대학교에서는 한국잔디 ‘건희’품종을 육성하였으며, 삼성에버랜드 잔디·환경연구소에서는 ‘안양중지(특허:KR 10-0277113 B1)’이외에 다수의 품종을 육성하였고, 삼덕중지와 함께 국내에서 상업종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
Part 3. 잔디 산업의 현황과 전망: 신공법 개발: KSGS공법
Development of New Method: KSGS Method들어가며그동안 잔디분야에서 개발 혹은 발명은 새로운 품종의 개발이나 비료, 약품 등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오늘날 잔디가 우리 생활의 중요한 활동공간이 되면서, 많은 사용에도 잘 견디며 지속적으로 좋은 품질을 유지하고 관리/운영 또한 용이하여 최대의 활용성이 보장되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공법은 아래의 단계별 과정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잔디활용의 전반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1. 초종의 선정: 지역의 기후적 환경과 용도 및 가능한 관리수준에 맞는 초종을 선정2. 지반구조의 결정: 초종과 사용정도 및 관리수준에 맞는 지반구조 결정3. 잔디조성방법 선정: 전체 공정에 따른 시공시기와 사용까지의 여유기간에 맞춰 현지파종, 평떼심기 및 롤잔디 깔기 등을 선택4. 관리 및 운영: 자체 관리팀이나 외부 용역, 혹은 병행으로 관리 및 운영1~4단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표 1>과 같다.공법의 개발 및 발전잔디 조성 공법의 개발과 발전은 특정 운동을 하는 경기장의 지반 조성방식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스포츠구장은주로 영국에서, 골프장의 그린은 미국골프협회(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의 USGA방식이 기본이 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골프장의 건설이 본격화되면서 USGA방식을 기본으로 하되 여름에 집중호우와 고온다습한 한국적 기상여건을 감안하여 모래와 자갈의 규격을 약간씩 변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여 왔다. 경기장의 경우는‘2002 한·일 월드컵’을 개최하면서 월드컵조직위원회의 잔디분과위원회에서 USGA를 기본으로 광 조건과 바람에 대한 적용, 재료 규격의 변화 및 유용한 첨가제를 찾는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었다. 특히 경기장에 사용하는 켄터키블루그래스(Poapratensis L.)의 적응과 관리기술을 체득하는데 노력하여 전국에 켄터키블루그래스로 조성된 경기장이 많아지고 관리수준도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