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예술이 도시와 관계하는 열한 가지 방식] 경험의 다성학
  • 환경과조경 2017년 8월
jnr01.jpg
서해영, ‘너와 나의 협업의 도구(6명의 자수로 이름 쓰기)’, 지름 90cm, 천에 자수, 2016. 온라인 글쓰기 카페 운영 이후 수차례의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완성된 ‘너와 나의 협업의 도구’는 여성을 둘러싸고 있는 획일적 조건과 환경을 환기하고, 각기 다른 삶을 살아가고 있는 여성 주체가 서로 소통하고 연대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든다.

 

2016년 학술정보 통합서비스 디비피아DBpia의 사회·과학 분야 최다 검색 키워드로 ‘여성혐오misogyny’가 선정되었다. ‘혐오’라는 번역이 적합한가 그렇지 않은가, 어떤 사례에 여성혐오라는 틀을 씌우는 일에 동의하는가 그렇지 않은가는 우선 차치한다 하더라도, 이는 지난 한 해 우리 사회에서 여성혐오와 페미니즘이 얼마나 뜨거운 이슈였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여성혐오’는 ‘혐오’ 또는 ‘반감’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miso-’와 여성을 뜻하는 ‘-gyny’가 합쳐진 말이다. 이는 우리가 일상에서 우리말 ‘혐오’를 생각할 때 떠올리는 그런 의미뿐 아니라, 여성의 성적 대상화, 여성에 대한 부정과 비하, 폭력, 차별, 남성우월주의 등 매우 다양한 양태의 여성에 대한 편견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고대 신화나 설화 등이 여성혐오적 시각을 종종 담는다는 것, 그리고 수많은 탈식민주의 학자, 페미니스트 학자가 기존 서양 철학과 사상, 역사가 주로 서양-백인-남성의 시각에서 기술·구성되었음을 지적한 것은 누차 말하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생산 관계가 문화, 예술, 종교 등의 상부 구조를 결정한다 말하며 프롤레타리아의 해방을 외친 마르크스조차 그의 저작에서 젠더적 권력 구조에 무감각한 시각을 드러낸다는 비판을 받는데, ‘보편’, ‘이성’, ‘객관’을 표방하는 학문이 얼마나 많은 차이와 권력 구조를 간과하는지에 대해 무시할 수 있을 것인가. 여성주의에서 입장론Standpoint theory은 이러한 남성 중심의 기존 사회와 학문이 지배 이데올로기로 기능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지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주변화된 계층이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세계를 정확히 인식하고 질문을 던질 수 있다고 보는 시각이다. 여성 학생이나 학자 자체가 흔하지 않던 시절 사회학자 도로시 스미스Dorothy E. Smith는 남성 위주의 아카데미아에서 혼란을 겪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사회학에 입장론을 제기하며, 이를 인식론에서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 표현하기도 했다. 동물학, 철학, 영문학, 과학사와 과학철학을 두루 섭렵해 1980년대에 ‘사이보그 선언문’을 쓰기도 한 도나 해러웨이Donna J. Haraway는 영장류학, 생물학 등 자연 과학, 즉 하드 사이언스hard science 역시 남성 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왔음을 밝힌 바 있다. ...(중략)...

 

진나래는 미술과 사회학의 겉을 핥으며 다방면에 관심을 갖고 게으르게 활동하고 있다. 진실과 허구, 기억과 상상, 존재와 (비)존재 사이를 흐리고 편집과 쓰기를 통해 실재와 허상 사이 ‘이야기-네트워크-존재’를 형성하는 일을 하고자 하며, 사회와 예술, 도시와 판타지 등에 관심이 있다. 최근에는 기술의 변화가 만들어내는 지점에 매료되어 엿보기를 하고 있다. 2012년 ‘일시 합의 기업 ETC(Enterprise of Temporary Consensus)’를 공동 설립해 활동했으며, 2015년 ‘잠복자들’로 인천 동구의 공폐가 밀집 지역을 조사한 바 있다. 

www.jinnarae.com

 

환경과조경 352(2017년 8월호수록본 일부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