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18세기 실경화와 조경
  • 환경과조경 1999년 11월
경복궁 향원지 「北闕圖形」(북궐도형)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정신문화원 장서각, 고려대학교 박물관 등에 보관되어 있다. 북궐은 경복궁의 별칭으로 조선시대에는 삼대 궁궐이있었는데 북쪽의 경복궁을 북궐(北闕), 동쪽의 창덕궁과 창경궁을 동궐(東闕), 서쪽의 경희궁을 서궐(西闕)이라 불렀다. 「北闕圖形」지도는 고종 대에 중건된 경복궁의 건물 및 문루 등의 배치를 그린 평면도 중 향원지(香遠亭) 부근에서 북문인 신무문(神武門)에 이르는 지역이 표현되어 있다. 이 지도에는 가로 세로 각 1.14㎝의 적색 방안(方眼) 위에 각 건물의 구조 및 크기가 나타나 있는데 칸과 칸을 검 은 먹선으로 구분, 각 칸에는 방(房), 청(廳), 주(廚), 문(門) 등의 건물 쓰임새를 기록하였다. 또한 주요 건물에는 건물 이름, 공포형식, 칸수, 기둥의 높이와 간격등을 기입해 놓았다. 「景福宮配置圖」는「北闕圖形」과 거의 유사한 배치도이나, 이 지도가 좀 더 이전 시기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전체 지도의 크기는 세로 265㎝ 가로 407㎝에 달한다. 전체적으로 이 지도가 이전 지도보다 정확하지는 않으나 건물의 명칭, 기능 등이 더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후원(後苑) 에 속하는 향원지는「北闕圖形」과 조금 다른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향원지는 1456년(세조 2)에 조성되어 취로정(翠露亭)이라는 정자를 짓고 연꽃을 심었다고 한다. 연지(蓮池)의 북쪽에는 1873년(고종 10년)에 건청궁(乾淸宮)을 지으면서 연지를 개축, 섬에다 2 층의 육모정인 향원정을 지었다. 또한 북쪽 건청궁에서 향원정에 들어가는 나무다리를 설치하고 이를 취향교(醉香橋)라 하였다. 최근 향원지의 실측도와「北闕圖形」과「景福宮配置圖」에서의 향원지의 형태는 조금 다른 모습이지만 옛 지도에서는 연못 내의섬 안의 육모정이나 북쪽에 설치된 다리 등 원래의 모습을 볼 수 있어서 향원지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생각된다. ※ 키워드: 18세기, 실경화, 조경, 실경화와조경 ※ 페이지 156 ~ 157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