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18세기 실경화와 조경
  • 환경과조경 1999년 10월
경복궁 배치 본지 ’98년도 8월호부터 11월호까지 경복궁을 18세기 무렵의 실경화와 현재의 모습을 놓고 이야기했는데 그 때 놓친 것이 전체 배치와 부분을 그린 지도라는 생각이 들어 마침 자료를 구할 기회가 있어서 이번 호부터 2회에 걸쳐 이 지도를 중심으로 경복궁 이야기를 엮어 보려고 한다. 「경복궁전도」는 삼성출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크기 54.3×85.0cm의 채색필사본이다. 조선 전기의 경복궁의 구조를 그린 것인데, 태종 때 조성한 경회루, 세종대에 동궁(東宮), 후궁(後宮), 혼전(魂殿), 학문연구기관 및 후원 등이 건립되어 왕궁다운 모습을 갖추게 된 이후의 경복궁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지도는 전체적으로 조선 전기의 경복궁의 구조를 보여 주지만‘日星儀’(일성의) 동쪽에‘丁亥親蠶碑’(정해친잠비)라 쓰여 있어 1767년(영조 43) 이후에 만든 지도임을 알 수 있다.「경복궁도」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53.5×82cm의 채색도면이다. 내용 중에‘丁亥親蠶’(정해친잠)이라는 곳이 표기되어있다. 정해년은 영조 43년(1767)으로서, 그해 3월 10일(갑술)에 영조는 내전, 왕세손들과 더불어 경복궁에 가서 채상례(採桑禮)를 행하였다. ‘정해친잠’이라 표기한 것으로 보아「경복궁도」는 앞의「경복궁전도」와 함께 1767년 이후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경복궁전도」와「경복궁도」이외에 장서각 소장(문화재관리국 보관)의「경복궁지도」(42.5×57cm)와 서울대학교 구관 도서관에도 청 프린트로 된 경복궁의 옛 도면이 있다. 이 도면들은 후대에 그 당시 전해지고 있던 어떤 도면을 모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 키워드:경복궁의 공간구조,경복궁전도 ※ 페이지;136~137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